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7, No. 1, pp.35-54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25
Received 06 Nov 2024 Revised 10 Dec 2024 Accepted 27 Dec 2024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5.2.37.1.35

국내 평생교육 방법 연구 동향: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변화와 전망 분석

장현순 ; 김경이
가톨릭대학교(박사수료)
가톨릭대학교(교수)
Trends in Lifelong Education Methodology in Korea: Analysis of Changes and Prospect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JANG, Hyun-Soon ; KIM, Kyung-Ye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student)
Catholic University of Korea(professor)

Correspondence to: 02-2164-6555, clara90@catholic.ac.kr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lifelong education methods in South Korea from 2001 to 2023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primary objective is to explore the changes in key research topic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m over time. By apply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study identifies core keywords such as experience-based learning,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educational goals, which have emerged as dominant themes in lifelong education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involves analyzing 181 papers published in KCI-listed journals. NetMiner and Excel were used to perform keyword frequency analysis, co-occurrence analysis, and centrality analysis to track changes in research trends. Results indicate that experience-based learning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have become central to lifelong education, reflecting an increasing focus on learner engagement and experience. The study also highlights the rising importance of digital education and integrative learning methods in the field.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structural flow of lifelong education studies, offering insights into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futur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hould emphasize learner-centered approaches and integrate digital technologies.

Keywords:

Lifelong education methods, Research trends, Keyword networks, Key keywords, Centrality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평생교육은 모든 연령대의 학습자에게 지속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교육 분야로, 사회 변화와 기술 발전에 따라 그 방식과 내용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이러닝의 확산은 평생교육 방법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에 따른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평생교육 연구는 주로 교육 이론이나 정책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연구 동향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 평생교육 분야 연구들이 다룬 평생교육 방법은 주로 체험 중심 교육과 학습자 중심 교육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디지털 교육과 같은 최신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평생교육 방법 연구에서의 주요 키워드 변화를 시기별로 파악하고,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평생교육 연구의 변화 양상을 명확히 드러내고,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2001년부터 2023년까지의 평생교육 방법 연구 동향을 시기별로 분석하고, 각 시기의 주요 키워드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디지털 교육의 확산과 함께 이러닝이 평생교육 방법 연구에서 어떻게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평생교육 연구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등 네트워크 중심성 지표를 사용하여 각 키워드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시기별 주요 키워드의 중요도를 파악할 것이다.

3. 연구의 의의와 차별성

기존 평생교육 방법 연구는 주로 문헌 리뷰, 내용 분석, 또는 특정 연구에 대한 통계적 분석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론은 개별 주제에 대한 심층적 탐구에는 유용하지만, 연구 전체의 연결 구조나 연구 키워드 간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등을 활용하여, 특정 키워드가 연구 네트워크 내에서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 방법 연구동향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단순히 키워드의 빈도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주요 연구 키워드 간의 구조적 흐름과 연결성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평생교육 연구의 전체적인 맥락과 미래 발전 방향을 도출할 수 있다.

4. 연구 문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통해 평생교육 방법 연구의 동향을 분석했다.

  • 가. 평생교육 방법 연구에서 주요 키워드 간의 네트워크 중심성(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 나. 평생교육 방법 연구에서 주요 키워드의 시기별 변화는 어떠한 경향성을 보이는가?
  • 다. 본 연구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평생교육 방법 연구의 특성은 어떻게 드러나는가?

5. 연구의 구성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된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연구 목적과 의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평생교육 방법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고찰했다. 제3장에서는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절차를 설명했다. 제4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주요 키워드의 변화를 시기별로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며,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했다.


Ⅱ. 이론적 배경

1. 평생교육에서 교육 방법의 의의와 주요 유형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 밝히고 있는 Knowles(1980)는 학습 과정에서 성인 학습자의 특성을 자기 주도성과 축적된 경험, 그리고 사회적 역할과 문제해결 중심이라고 하였다. 평생교육의 주 대상자인 성인 학습자는 능동적인 학습을 통해 학습자 자신의 존재 가치를 재확인하고 자율성과 책임성을 증진하여 학습 욕구의 충족과 의사결정 및 문제해결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자 한다는 것이다(Shin, 2004; Jeong and Kim, 1987).

평생교육 방법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도 성인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교육 방법에 대해 강조한다. 교수자중심 교육 방법보다 학습자중심 교육 방법과 학습자의 체험중심 교육방법을 강조하는 것은 이러한 교육 방법들이 성인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한 접근으로 보기 때문이다.

Mezirow(2006)도 평생교육의 좋은 교수자가 갖추어야 할 핵심 자질에 성인 학습자에게 학습이 일어나도록 지원하는 것과 성인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는 곧 성인 학습자들에게 학습의 효과가 나타나도록 적합한 방법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함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교육 방법을 선정할 때는 수업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학습설계와 관리, 평가 등의 제반 활동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Lee et al., 2012). 교수-학습활동에서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과 학습환경, 그리고 비용과 시간적 여유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듯 성인 학습자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교육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분석은 평생교육 영역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하여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성인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촉진하고 지속하는 데 있어 교육 방법 요인이 작용할 것이며, 이는 성인 학습자의 교육 참여를 유지하고 확대함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교육 방법이란 구체적으로 수업 중에 활용하는 교수 방법을 의미하고 이 교수 방법은 교사, 기타 교수자들이 학습을 발생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와 개발 그리고 평가를 위한 지식과 실행력을 의미한다(Byun et al., 2007). 또 다른 의미에서 교육 방법은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기술이나 방식, 수단을 의미하므로 모든 상황에 맞는 절대적이거나 유일한 교육 방법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 목적에 맞는 최적의 방법만 있을 뿐이다(Yoon, 2023). 이러한 최적의 방법은 프로그램의 성과에서도 차이를 보이는데, 그 예로 액티브러닝 교육 프로그램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Jeong et al., 2022)에서 코칭에 따른 프로그램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코칭을 받은 실험집단과 어떤 처치도 받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비교를 통해 교수 방법 코칭 효과를 연구하였다. 코칭 기반 액티브러닝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성과가 일반 강의식 수업에 참여한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성과가 나타났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유형에 따른 효과성 연구(Kwon, 2013)에서 프로그램유형에 따라 활동지향, 목표지향, 학습지향이 만족도에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교육 방법에 따라 프로그램의 성과에 상당한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교육 방법에 대한 탐구는 결국 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참여를 위한 실질적인 방법을 찾고 실천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교육 방법에 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Jang et al., 2013).

평생교육 현장에서 활용되는 교육 방법들은 매우 다양하며, 개별 교육에서의 교육 방법도 하나로 정해지기보다는 여러 방법들이 혼합되거나 변형되어 활용되기도 한다. 평생교육 방법론을 다루고 있는 교재를 기초하면 평생교육 방법들은 다음과 같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Kwon et al, 2001; Shin. 2021; Shin).

첫 번째, 교육 형태나 규모에 따라 집단중심과 개인중심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먼저 집단중심 교육 방법에는 브레인스토밍이나 버즈 그룹, 허들 그룹 등의 방법과 토의법 및 전문가 참여 토의법 등이 있다. 브레인스토밍은 브레인(brain) 두뇌, 스토밍(storming)은 회오리를 일으킨다는 의미로 집단의 구성원들 모두가 특정 주제에 관해 연상되는 생각을 자유롭게 말하는 방법이다. 이를 변형한 방법으로 버즈 그룹(buzz group)은 작은 소그룹으로 나누어 특정 주제에 관해 아이디어를 말하며, 이때 토의하는 모습과 소리가 꿀벌들이 윙윙거리는 것과 같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는 데 부담을 느끼는 교수자들은 버즈 그룹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더 편안하게 느낀다(Corder, 2008). Phillips(1991) 토의는 6명이 6분 동안 문제를 토의한다고 해서 66 토의라 하는데, 각 소집단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격려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대집단에서 전체 의견을 빨리 수렴하거나 집단의 이질성을 활용하고자 할 때 작은 단위로 나뉘어 활성화하는 허들 그룹도 큰 집회에서의 소극성이나 권태로움을 극복하는 장점이 있다. 전문가 참여 토의법으로는 포럼(forum), 패널(panel) 토의, 심포지엄(symposium)이 있는데, 포럼은 25명 이상의 청중이 1명 이상의 전문가와의 개방형 토론에 참여하는 방법이고, 패널 토의는 3~6명 정도의 전문가가 청중 앞에서 주어진 주제에 따라 목적 지향적 대화를 나누는 방법이다. 심포지엄은 하나의 주제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에 대해 2~5명의 저명한 전문가가 일련의 형식적 발표로 진행하는 방법이다. 이외에도 세미나(seminar), 콜로키(colloquy) 등이 있다.

이에 비해 개인 중심의 교육 방법에는 숙련자 아래에서 개별적으로 기술을 습득하는 도제제도가 대표적 방법인데, 검술, 의술, 도자기 기술 수련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컴퓨터보조학습(CAI) 및 코칭 등도 개인 중심 방법에 속한다.

두 번째 범주로 교수자중심 교육 방법과 학습자중심 교육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교수자 중심에는 강의법, 강연법, 질문법 등이 있다. 정보와 지식의 체계적인 전달이 용이한 강의법은 교수법 중에 가장 역사가 깊고, 경제적이며, 근래에는 파워포인트를 주로 사용한다. 강의법과 강연법은 유사하지만 강연법은 많은 수의 청중을 대상으로 연단이나 무대에서 정보를 제공하거나 문제점, 논점을 확인하고 명료화하는 데 유용하다. 다음 학습자중심 교육 방법에는 코칭, 멘토링, 학습계약 등이 있는데, 코칭(coaching)은 운동이나, 예체능 분야, 언어 학습 등 도움이 필요한 학습자가 받는 교육 훈련으로 이제까지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코칭을 관리자가 직원들의 자아실현을 촉진하는 동시에 생산성의 확대를 지원하는 면대면(face-to-face) 리더십으로 보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Shin, 2021). 선행연구에서도 코칭에 관한 많은 프로그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코칭 리더십에 관한 연구도 다수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멘토링의 기능은 심리사회적 기능(psychd-social function)과 경력 기능(career function)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Kram, 1983). 경력 기능에는 보호, 후원, 도전적 업무 부여가 포함되며, 심리사회적 기능에는 상담, 우정, 역할 모델의 기능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학습계약은 학습 계획(leaning plans), 계약과 협정, 개인적 발달을 위한 행동 계획(action plans), 학습자 프로파일(learner profiles) 등의 용어로 불리기도 한다. 평생교육에서 학습계약은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을 강화하는 교육 방법으로 인식된다.

이와 함께 평생교육의 현장성에 적합한 교육 방법으로 체험중심 교육 방법을 들 수 있는데, 체험, 놀이, 활동 경험 등을 통해 접근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학습자가 노인층인 경우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활용도가 높다. 노인 문화예술교육 체험(Min, 2018), 자서전 쓰기 프로그램(Ji et, al., 2011) 등에서 노인들의 체험을 통한 교육 참여가 감수성, 창작 능력을 배양하여 문화적 삶의 질을 증진함을 확인하였다.

평생교육 방법의 유형 중 매체 활용의 교육 방법으로 이러닝과 웹 기반 교육 방법이 있으며, 온,오프라인을 융합한 형태의 블렌디드 러닝, 플립드러닝과 소셜러닝 등이 이에 속한다. 플립드러닝은 블렌디드러닝의 한 유형으로 학습자들이 수업하기 전 교수자가 제공하는 강의를 온라인으로 학습 속도에 맞춰 시청하고, 교실 수업에서는 토의, 프로젝트 학습, 문제해결 등의 활동에 참여하는 것(Hamdan, N. and McKnight, P. E. 2013)이다. 교실 수업 이전에 학습자는 비디오 시청 자료 등을 시청하고, 교실 수업에서는 선행학습을 기준으로 보충학습과 심화학습을 하는 것이라 정의하기도 한다(Lee, 2013).

이밖에도 인공지능, 프로토타입, 메타버스, 사물인터넷(IOT), KOCW, K-Mooc, 가상현실 등 에듀테크(edutech)의 발전에 따라 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는 자원들이 확대되고 있다. 이는 지능정보 기술과 서비스, 신기술과의 결합으로 물리학, 디지털의 경계를 허물어 기술을 융합시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2. 평생교육 방법 선행연구 분석

2000년대 들어 꾸준히 연구 되어진 평생교육 방법연구는 강의나 강연법 등 교수자중심, 집단중심 연구보다는 체험중심, 학습자중심 연구가 주로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학습자중심 교육 방법인 코칭 연구가 2020년 이후 특히 활발한 것은 실제 평생교육 현장에서 코칭 활용도가 높다는 것을 반영한다. 이와 관련하여 코칭을 활용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Jeong et al., 2022; Koo, 2017; Jeong, 2020; Kim and Hong, 2022; Lee and Lee, 2020; Jeong and Do, 2021; Yang and Kim, 2021)가 가장 많았고, 코칭리더십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Park, 2012; Kang and Lee, 2020)에서는 국내 관리자 코칭리더십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적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멘토링과 코칭 과정에 관한 연구(Kim, 2012)를 비롯하여, 원격교육에서의 멘토링 방법에 관한 연구(Lee and Lee, 2018; Lee et al., 2006; Eun, 2015; Lee, 2014)는 원격학습에서 성인학습자들이 혼자 학습하는 어려움으로 중도 탈락하는 것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멘토링에 관하여 분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멘토링은 원격교육에서 부족하기 쉬운 인격적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들의 고립감을 해소한다. 이러한 역할과 함께 멘토링은 학습하는데 필요한 정보 제공 등의 학습 지원 활동으로 볼 수 있다(Lee et al., 2006). 또한, 이러닝에 관한 연구주제를 살펴보면, 성인 학습자 대상 이러닝 환경에 관한 연구(Kim et al., 2012; Kwon, 2018; Jang et al., 2022; Kwon, 2009; Jeong et al., 2011)와 이러닝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Jeong, 2017; Lee and Kim, 2008)가 다수 진행되었다. 이와 더불어, 원격교육에서의 이러닝에 관한 연구(Lee and Son, 2011; Lim et al., 2006; Lee, 2007), 사이버 대학에서의 이러닝에 관한 연구(Park and Lee, 2010; Jeong and Kim, 2018)가 수행되었다. 사이버대학에서의 이러닝 콘텐츠 학습설계의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Hwang et. al., 2014)에서는 인지적 네트워크에 사전 및 해설기능, 시청각장애인들을 위한 지원, 학습에이전트 기능이 부족하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2006년 이후 다수 나타난 연구는 블렌디드러닝, 플립드러닝, 소셜러닝 등 융합형 웹기반 교육 방법이다. 블렌디드러닝에서 웹 게시판 상호작용 차이와 면대면 사회연결망을 분석한 Jeong and Kwon(2013)의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블렌디드러닝을 위해, 교수자는 먼저 면대면과 온라인에서의 상호작용 차이를 인식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학습자들의 면대면과 온라인 상호작용을 구분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Cha and Oh(2022)는 문화협동조합 구성원들의 환경놀이 활동 사례연구에서 환경놀이 활동 경험은 갈등의 극복, 자생성의 형성 및 공동의 가치실현을 보여 주었다고 밝히고 있다. 이렇듯 체험, 놀이, 활동을 통한 평생교육 방법은 실제 현장에서 다양한 의미로 활용되고 있다.

이밖에도 교육방법 활용과정을 프로그램으로 개발하는 연구도 14편 정도 분류되었는데, 코칭기법을 활용한 문해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Yang and Kim, 2021),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Yoo and Hwang, 2014) 등이 있다.


Ⅲ.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2001년부터 2023년까지의 국내 평생교육 방법 관련 연구 논문이다. 연구 대상 논문은 KCI(Korean Citation Index)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실린 논문들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RISS에서 주제어나 제목, 초록에 ‘평생교육 방법’, ‘성인학습 방법’을 포함한 연구물 380편을 수집하였다. 이어 중복된 논문과 연구대상이 성인이 아닌 논문 등을 제외하고, 43개의 학술지에서 181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논문 추출과정 및 선정 단계는 다음 [Fig. 1]과 같다.

[Fig. 1]

PRISMA Flow Diagram of Study Selection Process.

수집된 181편의 논문에서 추출한 키워드들을 대상으로 불용어, 중복단어 제거를 포함한 전처리 작업을 진행하여 <Table 1>에 키워드 전처리 기준을 제시하였다.

Keyword preprocessing criteria

첫째, 대소문자, 특수문자, 약어 등이 포함된 단어가 모두 다른 단어로 분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였고, 명사 형태 변경으로의 표준화 작업도 진행하였다.

둘째, 유사어, 단수, 복수를 통일하기 위해 어간을 추출하였으며, 영어를 한글로 교정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셋째,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단어들이지만 분석상으로는 의미가 없는 단어들, 예를 들어 연구, 결과, 교육, 학습, 방법 등과 일반어 품사 중 조사, 접속사, 부사, 관계대명사 등을 제외하였다. 또한 평생교육 방법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를 도출하였으므로 ‘평생교육’, ‘방법’, ‘성인학습’의 키워드도 제외하였다.

표준화 작업, 유사어 통합, 특수문자 제거 등을 거쳐 수집된 키워드들을 분류하였으며.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을 위하여 교수 방법에만 국한하지 않고 네트워크에 필요한 의미 키워드 등 교육 방법의 중심성 연결에 필요한 키워드도 분석대상에 포함하였다.

2.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Excel 2020과 NetMiner 4.0을 활용하여 주요 키워드 빈도분석 및 키워드 간 관계를 분석하고, 각 키워드의 중심성 지표를 계산하였다. 첫째, 수집된 4,253개의 키워드 중 한 음절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워드클라우드로 시각화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시기별 주요 키워드 분석을 실시하여 정제가 완료된 키워드 상위 20개를 정리하였다.

둘째, 논문에 등장하는 키워드 쌍의 동시 출현 빈도를 도출하였고, 총 5,750개 쌍에서 상위 40개를 추출하여 제시하였다. 동시 출현 빈도가 높다는 것은 연구 키워드 쌍의 분석에서 연관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키워드 중복행렬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연결중심성 및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으로 분석한 중심성 상위 10개를 제시하였다. 연결중심성은 키워드가 다른 키워드와 얼마나 자주 연결되는지를 나타내며, 키워드 간의 관계 강도를 평가한다. 근접중심성은 키워드가 네트워크 내 다른 키워드들과 얼마나 근접해 있는지를 나타내며, 네트워크 내에서의 접근성을 측정한다. 매개중심성은 키워드가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키워드 간의 연결을 얼마나 잘 중개하는지를 측정하며, 네트워크의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중심성 지표를 통해, 각 키워드의 중요도와 연구 내에서의 위치를 평가하고, 연구 동향의 변화를 시기별로 추적할 수 있었다.

3. 분석방법의 차별성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기반으로 평생교육 방법 연구 동향을 시각화하였다. 특히, 최근 AI 기술을 활용한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 방법론이 발전함에 따라, 본 연구는 이러한 기술의 일부를 접목하되, 단순히 데이터 시각화에 그치지 않고 키워드 간의 관계와 맥락을 심층적으로 해석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AI 기반 도구들은 빠르게 도표와 시각 자료를 생성할 수 있지만, 본 연구는 데이터의 구조적 관계와 사회적 변화 맥락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단순한 데이터 시각화 방법론과 차별성을 가지려 하였다. 이를 통해 평생교육 방법 연구에서 학문적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Ⅳ. 연구 결과

1. 전체 주요 키워드 출현 빈도와 시기별 주요 키워드 출현 빈도

국내 평생교육 방법 연구를 주요 시기별로 살펴보면, 2001년 이전에는 관련 논문이 거의 확인되지 않았으나, 2001년 2편을 시작으로 2023년까지 총 181편의 논문이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기별 논문 빈도는 다음 <Table 2>와 같다.

Frequency of papers by period

2001년부터 2005년까지는 매해 1~2편씩 연구가 이루어져, 확인된 논문 수는 6편으로 미미한 실정이었으나, 2006년부터 2010년까지 37편으로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이후 2011년부터 2015년까지 45편으로 5년 단위로 비교했을 때, 꾸준한 증가세가 나타났다. 그 이후도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3편, 2020년부터 2023년까지 50편으로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이에 전체 시기 상위 40위까지의 주요 키워드를 확인하였다. <Table 3>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주요 키워드는 ‘체험’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다음으로 ‘학습자’, ‘이러닝’, ‘활동’, ‘프로그램’, ‘학습동아리’ 등의 순이었으며, 이를 통해 평생교육 방법연구는 체험중심, 학습자중심, 이러닝 관련 프로그램 및 학습동아리 활동 등과 관련된 연구가 주로 수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appearance frequency and ranking

또한 대상학습자로 노인(138회), 여성(33회)과 관련된 연구와 함께 이러닝(212회), 온라인(113회), 사이버대학(59회), 원격교육(47회) 등 비대면 교육 관련 연구 등도 다수 진행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블렌디드러닝(38회), 무크(33회), 모바일러닝(29회), 플립드러닝(29회), 소셜 러닝(25회) 등의 키워드도 나타났다. 다음 [Fig. 2]는 국내 평생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의 전반적인 흐름을 살펴보기 위한 키워드 출현 빈도 분석을 워드클라우드 형태로 제시한 것이다.

[Fig. 2]

Keyword Papers Appearance Frequency (WordCloud).

다음으로 시기별 키워드 출현 빈도 상위 20위까지의 핵심 키워드들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상위 주요 키워드는 학습동아리, 소그룹, 이러닝, 활동, 멘토링, 온라인, 학습자, 물적 자원, 체험, 프로그램 등의 순이었다. 이를 통해 이 시기에는 소그룹, 학습동아리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 소규모 집단중심 교육으로 연구가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는 이러닝, 학습자, 체험, 활동, 학습동아리, 프로그램, 노인, 학업성취도, 모형, 멘토링 등의 순서로 주요 키워드가 확인되었다. 이는 집단중심 평생교육 방법에서 학습자중심의 평생교육 방법으로 키워드 변화가 나타났으며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언급이 새롭게 등장한 것을 볼 수 있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핵심 키워드는 체험, 학습자, 학습동아리, 프로그램, 활동, 코칭, 노인, 이러닝, 사이버대학, 소셜러닝 등의 순이었는데, 이 시기부터 체험중심, 학습자 중심교육 방법 연구가 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학습자중심 평생교육 방법 중 코칭이나 멘토링이 상위에 등장하고 그다음으로 융합형 웹 기반 평생교육 방법인 소셜러닝, 콘텐츠가 주요 주제어로 등장한 것으로 확인된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는 체험, 학습자, 이러닝, 노인, 활동, 무크, 프로그램, 사이버대학, 학습동아리, 온라인 등의 순으로 핵심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체험과 학습자의 빈도수가 계속 높은 중심 키워드였고, 이 시기에 새로운 변화로 ‘무크’(MOOC)가 주요 키워드 상위에 등장하였으나 이후 시기에 순위목록에서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전 시기에 이어 사이버대학, 이러닝, 프로그램은 상위의 순위로 빈도수가 여전히 높았으며, 앞 시기에 이어 노인(학습자)도 상위의 중심 키워드로 확인되었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는 체험, 학습자, 코칭, 온라인, 프로그램, 활동, 노인, 모형, 여성, 블렌디드러닝 등의 순으로 핵심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앞의 시기에 이어 체험, 학습자의 빈도수가 계속 높은 키워드였고, 마찬가지로 체험중심, 학습자중심 교육 방법연구가 주로 진행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온라인, 블렌디드러닝, 원격교육, 이러닝, 플립드러닝, 디지털 등 비대면 관련 교육 방법이 주요 키워드로 도출되었는데, 이는 코로나19라는 사회, 환경변화를 겪으면서 이에 적합한 교육 방법연구가 다수 진행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학습자 층위로는 앞 시기에 이어 노인(학습자)이 계속 상위에 등장하였고, 이 시기에 처음 나타난 여성(학습자)이 주요 키워드로 등장하였다. 평생교육 방법연구의 학습대상으로 여성(학습자)을 고려한 교육 방법 연구가 수행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전체 시기를 살펴보면, 학습자, 이러닝, 활동, 학습동아리, 체험, 프로그램 등이 2001년부터 2023년까지 전시기에 걸쳐 나타난 키워드였다. 2006년부터 2023년까지는 노인(학습자)이 주요 키워드로 도출되었다. 멘토링은 2001년부터 2019년까지 도출되었고, 2020년 이후에는 순위에서 사라졌다. 사이버대학은 2011년부터 2019년까지의 시기에 주요 키워드로 등장하였고, 코칭과 실습키워드는 2011년부터 2023년까지 시기에 등장하였다. 블렌디드러닝은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시기에 나타났다가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주요 순위에서 사라졌다. 그리고 다시 2020년부터 2023년까지시기에 순위에 등장하였다. 또한 플립드러닝은 2016년부터 2023년까지의 기간에 도출되는 등 시기별로 주요 키워드의 출현과 순위변동이 나타났다.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Table 4>에 정리하였다.

Key keywords appearance frequency and ranking by period

2. 주요 키워드쌍 동시 출현빈도

동시에 연구되는 키워드들을 확인하기 위해 키워드쌍에 대한 동시 출현 빈도를 분석한 결과, <Table 5>와 같이 빈도수 9 이상인 상위 40개의 키워드쌍을 확인하였다. 이 중에서 ‘학습자-체험’이 62회로 가장 많이 동시에 연구된 키워드로 나타났다. 이어서 ‘체험-활동’ 54회, ‘학습자-활동’ 42회, ‘체험-프로그램’이 31회, ‘학습자-이러닝’ 29회 순으로 높은 출현 빈도를 보였다. 그다음의 순위 중 ‘학습자-온라인’이 25회로 8위, ‘체험-학습동아리’가 22회로 9위로 동시 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체험-노인’, ‘프로그램-활동’이 각 19회, ‘활동-학습동아리’, ‘학습자-모형’이 각 18회, ‘체험-온라인’, ‘체험-이러닝’이 각 17회 동시 등장하였다.

Major keyword pair simultaneous appearance frequency

다음으로 ‘체험-모형’, ‘체험-학습공동체’가 각 16회, ‘프로그램-모형’이 14회로 함께 연구된 키워드쌍이었다. 동시에 연구된 키워드 중 ‘체험’이 15회로 가장 빈번하였고, ‘학습자’가 13회, ‘활동’이 9회, ‘프로그램’이 6회, ‘이러닝’이 6회, ‘온라인’이 4회로 다른 키워드와 동시에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평생교육 방법연구에서 학습자와 체험이 연결되어 수행된 연구가 주를 이루며, 이와 관련된 키워드가 동시 연구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키워드 네트워크의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과 네트워크 시각화

평생교육 방법연구에서 주요 연구 개념들과 키워드 간의 연결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심성 분석은 선행 연구의 주제 및 핵심어, 키워드 사이의 연결 관계를 파악하여 텍스트에 숨어있는 의미, 관계, 개념구조 등의 특징을 분석할 수 있다(Kim, 2015; Lim, 2022). 본 연구에서 평생교육 방법연구에 내재되있는 중점 개념의 파악을 위해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Table 6>에 나타내었다. 연결중심성은 다른 키워드들과 얼마나 많이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연결중심성이 높을수록 특정 키워드가 다른 키워드들과 연계되는 빈도가 높다는 것이다. 주요 키워드들의 연결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여 중심성이 강한 순서로 10위까지의 키워드를 제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연결중심성이 높은 주요 키워드는 ‘목적’, ‘학습자’, ‘대상’, ‘활동’, ‘참여’, ‘활용’, ‘개발’, ‘경험’, ‘전략’, ‘적용’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결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인 교육 목적은 교육 방법에서 개념구조의 근거가 되고, 다음 순위인 교육 대상 학습자는 평생교육 현장에서 활동에 참여하여 교육 방법을 활용하고 개발, 적용하는 대상의 의미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평생교육 목적, 학습자,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활동, 교육 대상자, 평생교육 참여가 다른 연구주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제어들이라고 할 수 있다. 연결중심성과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전체의 기능에서 중요한 노드를 결정하는 근접중심성은 다른 키워드와 최소 단계로 연결되므로 평생교육 방법연구에 빠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근접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들은 ‘목적’, ‘활동’, ‘학습자’, ‘대상’, ‘참여’, ‘활용’, ‘개발’, ‘경험’, ‘프로그램’, ‘전략’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목적’은 가장 빠르게 정보를 제공하는 키워드 역할을 하는 것이다. ‘활동’이 그다음 순위로 연결중심성과 일치하지는 않았지만, 근접중심성에서 두 번째로 높은 키워드로 다른 키워드들과 근거리 위치의 중요한 기반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연결중심성에서 두 번째 중심성인 ‘학습자’가 근접 중심성에서는 세 번째 중심성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매개중심성은 특정 키워드가 다른 키워드와 네트워크 구축에 있어서 키워드 간의 관계를 중재 또는 매개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이는 서로 다른 주제 간의 융합 또는 연결하는 연구를 가능하게 하며 교환에 대한 통제 능력을 나타낸다.

A Study on the Centrality of Lifelong Education Method Studies

매개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들은 ‘목적’, ‘활동’, ‘학습자’, ‘대상’, ‘참여’, ‘활용’, ‘개발’, ‘프로그램’, ‘경험’, ‘이러닝’ 순으로 나타났다. 매개 중심성이 가장 높은 ‘목적’ 키워드는 교육 방법에 있어서 교육 목적이 연구주제 간 융합, 매개하는 정보의 기반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다음 순위인 활동, 학습자, 대상, 참여, 활용, 개발의 주제어는 근접중심성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중심성 분석 결과, 모든 중심성에서 ‘목적’, ‘학습자’, ‘활동’, ‘대상’, ‘참여’의 키워드들이 공통적으로 순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결중심성에서와 마찬가지로 근접중심성과 매개중심성에서도 교육 방법 연구의 근거가 되는 교육 목적은 가장 높은 중심성으로 나타났고, 연결중심성에서의 4순위인 ‘활동’이 2순위로 두 중심성에서 목적 다음으로 중심성이 높아 학습자의 활동이 연구주제에 두 번째로 빠른 정보 제공과 매개 역할을 한다. 세 중심성 모두에서 대상, 학습자가 4순위 안의 높은 중심성을 보여 교육목적과 활동에 못지않게 방법연구에서의 의미, 연결 관계에서의 핵심 위치임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중심성 간의 공통적으로 높은 주요 키워드들이 약간의 순위변동은 있으나, 중심성에 있어서는 공통적으로 중요한 위치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중심성 분석을 바탕으로 2001년부터 2023년까지 평생교육 방법연구의 방향성은 교육목적을 중심 기반으로 대상자인 학습자 주도적이고, 학습자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며, 교수 방법에서도 스스로 느끼고 깨닫는 체험이나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다음 키워드들에 대한 중심성 분석에 따른 주요 키워드 네트워크의 시각화 결과를 보면, ‘목적’, ‘학습자’, ‘활동’, ‘대상’, ‘참여’ 등이 주요 연구주제로 다루어졌음을 파악할 수 있다. 전체 키워드 네트워크를 시각화하여 직관적으로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나타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 [Fig. 3]과 같다.

[Fig. 3]

Key Keyword Network Visualization.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평생교육 방법 연구에서 각 키워드의 중심성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 동향과 학문적 흐름을 해석하였다.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분석 결과, '학습자', '체험', '이러닝'은 각 시기별로 중요한 키워드로 등장하였으며, 이를 통해 평생교육 연구의 주요 흐름과 사회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체험' 키워드는 연결중심성 지표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고, 이는 다양한 평생교육 방법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체험'은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고 학습자의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핵심 교육 방법으로 자리잡았다. 근접중심성에서도 높은 점수를 기록한 '체험'은 교육의 다양한 영역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키워드로, 연구에서 자주 언급되는 중요한 요소임을 나타낸다.

'학습자' 키워드는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모두에서 상위 순위를 기록하며 평생교육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학습자'는 평생교육의 중심 요소로, 다른 모든 교육 방법과 연결되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예를 들어, '체험', '이러닝', '프로그램'과 같은 키워드들은 모두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연구가 전개되고 있다.

'학습자' 키워드는 연구에서 항상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이는 학습자 중심 교육이 평생교육의 핵심 원칙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학습자의 개별적 요구를 충족하는 맞춤형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음을 반영한다.

'체험' 키워드의 매개중심성 점수는 상대적으로 높지 않았지만, 연결중심성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한 이유는 이 키워드가 다른 교육 방법들과의 연결 고리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이는 학습자의 참여 중심 교육 방법이 연구에서 주된 관심사였음을 시사한다.

'이러닝' 키워드는 최근 들어 중요한 키워드로 떠오르며, 연결중심성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이는 이러닝이 평생교육 연구에서 점차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이러닝의 중요성이 크게 증가했으며, 그 결과 이러닝 관련 연구가 급증하였다. 근접중심성에서도 높은 점수를 기록한 '이러닝'은 다른 키워드와의 연결 강도가 높아졌으며, 디지털 교육 방법이 연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러닝' 키워드의 매개중심성도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하여, 다양한 교육 방법 및 기술과의 연결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술 발전에 따른 학습 환경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학습자의 원활한 접근과 학습 지원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2001년부터 2023년까지의 평생교육 방법 연구에서 각 키워드의 중심성 분석 결과는 연구 동향을 시기별로 분석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2001~2010년에는 '학습자'와 '체험' 키워드가 높은 중심성 점수를 기록하며, 학습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 교육 방법이 주요한 연구 주제로 다뤄졌다. 이 시기의 연구는 주로 전통적인 교육 방법론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실습과 참여 중심의 학습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2011~2023년에는 '이러닝'이 급격히 중요해졌으며, '학습자'와 '체험' 키워드의 중심성은 일정 부분 유지되었다. 하지만 '이러닝' 키워드는 연구 내에서 다른 키워드들과의 연결을 강화하며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이는 디지털화된 교육 환경과 기술 기반 학습 방법의 확산을 반영한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원격 교육, 온라인 학습 등 디지털 기반 교육이 평생교육의 핵심 방법으로 자리잡았다.

결론적으로, '학습자', '체험', '이러닝'의 중심성 분석은 평생교육 방법 연구가 학습자의 경험 중심 교육에서 기술 기반 교육으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이러닝'의 빠른 확산은 사회적 변화와 기술 발전에 따른 연구의 변화 양상을 반영하고 있다.


Ⅴ. 결 론

1. 요약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국내 평생교육 방법 연구의 동향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 ‘체험’, ‘이러닝’ 등 주요 키워드가 평생교육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시기별로 연구 동향이 사회적, 기술적 변화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학습자’와 ‘체험’ 키워드의 중심성이 증가한 것은 평생교육의 중요한 패러다임 변화를 시사하며, 이러닝의 중심성이 급증한 것은 기술 발전에 따른 온라인 교육의 확산을 반영한 결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평생교육 연구의 전체적인 흐름과 시기별 변화를 분석하여, 평생교육 방법론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와 비교하면, 기존 연구들에서는 평생교육 방법론을 다룰 때, 기존 교육 방법론의 유형을 나열하거나 대상별 특성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러한 개별적인 방법론을 넘어서 시기별 변화와 키워드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의 평생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이론적 논의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교육적 실천과의 연결을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각 키워드가 연구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그들이 어떻게 연결되고 발전하는지를 구조적으로 분석한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2. 논의 및 시사점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 방법론 연구에서 주요 키워드의 중심성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자 중심 교육, 체험 학습, 디지털 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학습자’, ‘체험’, ‘이러닝’ 키워드는 각각 평생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와 실천적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첫째, ‘학습자’ 키워드는 평생교육 방법론이 학습자의 자율성과 참여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 ‘학습자’라는 키워드가 높은 연결중심성과 근접중심성을 보였으며, 이는 평생교육 연구가 점차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학습자 중심 교육은 학습자의 자율성과 참여를 기반으로 하며, 이는 자기주도학습 이론과 전환학습 이론에서 제안된 교육의 핵심 원칙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 과정을 조율하는 방법론이 강의 중심의 전통적 교육에서 실천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이는 특히 성인 학습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실용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이다. 향후 평생교육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습자 중심 접근을 더욱 강화하고,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촉진하는 교육 방법론의 발전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체험’ 키워드는 평생교육이 학습자의 실질적 경험을 통해 학습 내용을 내재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체험’ 키워드의 높은 연결중심성은 평생교육이 경험 기반의 학습 방법론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체험 학습은 학습자가 실제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하거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 내용을 내면화하도록 돕는다. 이 접근법은 특히 직업훈련 프로그램이나 지역사회 중심 학습에서 실천되고 있으며, 참여자가 학습한 내용을 직접 적용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실천적 의의를 가진다. 체험 학습은 학습자가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중점을 둔다. 평생교육에서 체험 학습의 비중이 증가한 이유는 현장 경험을 통해 학습자가 실제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지며, 특히 성인 학습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학습 방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는 실용적 학습을 중시하는 평생교육의 주요 패러다임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향후 평생교육 연구에서 체험 중심 학습 방법에 대한 심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이러닝의 확산과 디지털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이러닝’ 키워드의 높은 중심성은 기술 발전이 평생교육 방법론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한다. 특히, 팬데믹 이후 비대면 교육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이러닝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실천적 대안으로 자리 잡았다. 예를 들어,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비대면 이러닝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자신의 업무 일정에 맞춰 학습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며, 이러한 디지털 교육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즉, 이러닝은 시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유연성과 접근성을 제공하며, 기술 기반 교육은 앞으로도 평생교육 방법론에서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 잡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 평생교육 방법론에서는 이러닝과 같은 디지털 학습 환경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성별과 연령에 따른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연구에서 ‘여성’과 ‘노인’ 키워드가 상대적으로 낮은 중심성을 보였다는 점은 평생교육 연구에서 성별이나 연령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연구가 충분히 다뤄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여성 학습자와 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교육 방법론 개발은 평생교육에서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여성이나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은 학습자의 특성과 필요에 맞춘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노인 학습자는 인지적 특성과 생활 경험을 고려한 교육이 중요하고, 여성 학습자는 성평등적 관점에서 교육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성별과 연령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평생교육 연구의 이론적 통합과 실천적 기여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 방법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파악하였으나, 평생교육 방법의 이론적 기초와 현장 적용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연구가 부족하다. 평생교육 방법은 이론적 기반과 실천적 접근이 결합되어야 하며, 이 두 요소의 융합적 연구가 중요하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론적 통합을 통해 평생교육 방법론이 현장 교육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천적 기여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3. 연구의 의의

본 연구의 의의는 평생교육 방법 연구에서 시기별 연구 동향을 추적하고,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평생교육 방법 연구의 발전 방향을 체계적으로 제시한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 교육, 체험 학습, 이러닝 등 중요한 연구 키워드를 시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평생교육 연구의 핵심 요소들을 명확히 구체화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평생교육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였다.

4. 연구의 한계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연구 동향 분석을 시도했으나, 몇 가지 한계점이 있다. 첫째, 국내 평생교육 방법 연구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국외 연구와의 비교를 다루지 못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국내외 평생교육 방법론의 차이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논문의 내용과 맥락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은 제한적이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정성적 분석을 결합하여 연구 동향을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셋째, 성별, 연령 등 특정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았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맞춤형 교육 방법론에 대한 심화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 Byun YG, Kim YH and Son M(2007). Instruc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3rd edition. Seoul: Governor of the school.
  • Cha HM and Oh MS(2022).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Environmental Play Activities of Cultural Cooperatives Members.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8(2), 1~25. [https://doi.org/10.26857/JLLS.2022.5.18.2.1]
  • Chang SY, Ko EH and Park IW(2013). Tendency and Task of Educational Methodology Research.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5(3), 603~621. [https://doi.org/10.17927/tkjems.2013.25.3.603]
  • Chung YK and Kim JR(2018). Factors to Disturb Adult Learner's e-Learning Persistence:A Case Study of H-Cyber University in Seoul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2), 109~122. [https://doi.org/10.14400/JDC.2018.16.12.109]
  • Corder, N.(2008). Learning to teach adults: An introduction (2nd ed.). NY: Routledge.
  • Eun HK(2015). Mentees’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Mentoring Program at Open and Distance University: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1(1), 89~113. [https://doi.org/10.26857/JLLS.2015.02.11.1.89]
  • Hamdan N, and McKnight PE(2013). A review of flipped learning.Flipped Learning Network.
  • Hwang YJ, Park HM and An MR(2014).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 e-Learning Contents of Cyber Universities and Strategies of Improvement.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0(2), 125~153. [https://doi.org/10.26857/JLLS.2014.05.10.2.125]
  • Jang HB, Kim JM and Sohn KT(2022).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adult learners’ e-learning interactions on learning outcome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3), 705~720. [https://doi.org/10.22251/jlcci.2022.22.3.705]
  • Jeong EY(2020).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of Perception of Women with Career Break through Lifelong Learning - Focusing on Women Participants in the Image Coaching Program.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26(2), 135~160. [https://doi.org/10.52758/kjle.2020.26.2.135]
  • Jeong HJ(2017).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Developing e-Learning Contents for Adult Learner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4), 587~608. [https://doi.org/10.22251/jlcci.2017.17.4.587]
  • Jeong HJ, Jeong JW and Kim DS(2011). Developing an e-learning environment to promote the immersion experience.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7(3), 129~143. [https://doi.org/10.26857/JLLS.2011.12.7.3.129]
  • Jeong JW and Kim JJ(1987). Introduction to Social Education. Seoul: Seoul University Press.
  • Jeong SH and Kwon SH(2013). Social Network Analysis about Differences between Face-to-Face and Web-Bulletin Board Interaction in Blended Learning. Jou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9(3), 143~170. [https://doi.org/10.26857/JLLS.2013.12.9.3.143]
  • Ji HJ, Han JR and Park SH(2011). A Case Study on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for Older Adults.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1(1), 223~241.
  • Jung CH, Kim SH, Yong HC and weekukhoan(2022). The Effect of Active Learning Education Program 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 Coaching Foundation for Adult Learners -. Asia-Pacific Journal of Convergence Research Interchange, 8(9), 213~223. [https://doi.org/10.47116/apjcri.2022.09.19]
  • Jung HY and Do MH(2021). Improving Resilience for Middle-Aged Women: The Effectiveness of Coaching Program.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14(2), 215~247. [https://doi.org/10.20325/KCA.2021.14.2.215]
  • Kang JW and Lee HS(2020). Research Trends in Managerial Coaching Leadership in Korea Using Topic Model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Andragogy today, 23(4), 181~210. [https://doi.org/10.22955/ace.23.4.202011.181]
  • Kim JH(2015). An Essay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Network Text Analysis Results in Study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16(4), 247~280. [https://doi.org/10.15818/ihss.2015.16.4.247]
  • Kim JH, Ko YH and Sung SH(2007). An analysis of the academic tendencies and the developmental tasks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since 2000. The Korean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13(4), 89~122.
  • Kim JS(2012). Linkage of the Principle of Andragogy and Major Adults Learning Theories to Mentoring and Coaching Process. Andragogy today, 15(4), 55~91.
  • Kim JW, Kang MS and Shin SW(2012). The Scale Development of Adult Learner's e-Learning Readiness. The Korean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4(2), 427~445. [https://doi.org/10.17927/tkjems.2012.24.2.427]
  • Kim MC(2023). Analysis of Research Trends to ‘New Normal Education’ :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33(1), 95~119. [https://doi.org/10.21024/pnuedi.33.1.202303.95]
  • Kim SS and Hong JS(2022). The Development of a coaching programs of "becoming a coach" on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Jou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15 (1), 129~149. [https://doi.org/10.20325/KCA.2022.15.1.129]
  • Knowles MS(1980). The modern practice of adult education: From pedagogy to andragogy(2nd ed.). NY: Cambridge Books.
  • Koo EM(2017). Analysis of needs for employment support after coaching-based education in a lifelong college-affiliated education center. Jou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10(1), 25~43.
  • Kram KE(1983). Phases of the moment relationship.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6, 608~625. [https://doi.org/10.2307/255910]
  • Kwak SG and Choi YJ(2005).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represented from the academic journals. Jounal of Lifelong education, 11 (1), 91~113.
  • Kwon IT(2013). The Influence of adult learn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according to the type of lifelong university education program on satisfaction and happiness. Comprehensive Education Research, 11(3), 139~164.
  • Kwon SY(2009). The Analysis of differences of learners' participation, procrastination, learning time and achievement by adult learners' adherence of learning time schedule in e-Learning environm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9(3), 61~86.
  • Kwon SY(2018). The relationships of adult learners’ e-learning readiness, e-learning strategy, and student’s satisfaction in e-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18), 175~195.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18.175]
  • Kwon YJ, Kim SH, So CY, Shim EB, Ahn SY, Yang BC, Lee KC, Im SR and Cho YH(2001). Lifelong Education Methodology. Seoul: History of Education and Science.
  • Lee DY(2013). Research on Develop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Flipped 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2), 83~92.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2.83]
  • Lee EG(2014). A case study of the adult learners’ mentoring in a cyber-university: based on participants’ experienc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0(2), 161. [https://doi.org/10.15833/KAFEIAM.20.2.2]
  • Lee HJ and Kim TH(2008). Influence of e-Learning contents type on learning outcome.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4(1), 75–94. [https://doi.org/10.26857/JLLS.2008.05.4.1.75]
  • Lee HJ, Lee HS and Kwon JH(2006). Mentoring Need Analysis and the Model Development for the Adult Learner in Distance Education. Jounal of lifelong education, 12(4), 279~306. [https://doi.org/10.15409/riece.2018.20.3.1]
  • Lee JS and Lee SH(2018). Small group on·offline mentoring experience for student teachers - focusing on student teachers in university-affiliated lifelong education center - . The Korea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3), 1~28. [https://doi.org/10.22955/ace.10.1.200702.129]
  • Lee KH(2007). The Study on the role of educators for distance learning activation: Based on university educators' perception of e-learning. Andragogy today, 10(1), 129~164. [https://doi.org/10.22955/ace.10.1.200702.129]
  • Lee SD, Cho HJ, Jang SY and Jung JW(2012). Easy-to-understand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engineering. Seoul: Yangseowon.
  • Lee Y and Son KA (2011).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lts of Lecture Monitoring and Learning Effects in Distance University E-learning.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7(2), 1~19. [https://doi.org/10.26857/JLLS.2011.08.7.2.1]
  • Lee YS and Lee KH(2020). Development of a Mental Coaching Model (Mental) and Mental Coaching Program for Sports Leaders. Jounal of lifelong education, 26(4), 139~161. [https://doi.org/10.52758/kjle.2020.26.4.139]
  • Lim CI, Park BM and Song SH(2006). A Comprehensive Approach to Support Interactions in e-learning of Mega Universities.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2(2), 1~22. [https://doi.org/10.26857/JLLS.2006.11.2.2.1]
  • Lim JH(2022). M-Learning : Its Concepts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f Education in Lifelong Learning Society.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3(2), 1~26. [https://doi.org/10.26857/JLLS.2007.11.3.2.1]
  • Min KS(2018). phenomenological an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of the middle-aged.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 (10), 543~563.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10.543]
  • Park JJ(2012). An analysis on the trend of theses regarding coaching leadership and the performance variables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and HRD, 8(1), 107~132.
  • Park JS and Lee YM(2010). An Analysis on e-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Activities of Adult Learners in a Cyber Univers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3 (4), 51~59. [https://doi.org/10.32431/kace.2010.13.4.005]
  • Phillips JJ(1991). Handbook of training evaluation and measurement method.
  • Rosenberg MJ(2000). E_learning; Strtegies for deliveling knowledge in the digital age.
  • Ryu KS and Hwang HJ(2014). Case Study on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the Aged Students - Focusing on Development & Application of Education Program. The Society of Modern Photography & Video, 17(3), 4~18. [https://doi.org/10.22887/hdphot.2014.3.17.001]
  • Shin EK and Hyun YS(2018). The Conditions of Good Teaching Perceived by Adult Learner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4(2), 241~266. [https://doi.org/10.24159/joec.2018.24.2.241]
  • Shin IJ, Kim MJ, Park SY, Yoo SJ, Lee SY and Jin GD(2022). Methods of Lifelong Education. Seoul; Hakjisa.
  • Shin YJ(2004). Theory and methods of lifelong education. Seoul: Hyungseol Publishing Co.
  • Shin YJ(2021). Methods of Lifelong Education. Seoul: HakJisa.
  • Yang BY and Kim JS(202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iteracy education programs using coaching technique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7(3), 261~268.
  • Yoon OH(2015). Analysis of Trend of Research on Lifelong Education for 20 years (1995∼2014) -Mainly based on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21(2), 1~22.
  • Yoon OH(2023). Research Trend Analysis of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From 2002 to 2021.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35(1), 31~48.

[Fig. 1]

[Fig. 1]
PRISMA Flow Diagram of Study Selection Process.

[Fig. 2]

[Fig. 2]
Keyword Papers Appearance Frequency (WordCloud).

[Fig. 3]

[Fig. 3]
Key Keyword Network Visualization.

<Table 1>

Keyword preprocessing criteria

Sortation Before After
proofreading English in Korean E-Learning(elearning), e-learning, elearning e-learning
MOOC(mooc), K-Mooc MOOK
Standardization Synthesis of similar words an old man, old age, advanced age Senior
coaching field, coaching process, coaching confidence, career coaching Coaching
Participation, engage, attend experience
Female adults, female students, middle-aged women Woman
Media, Teaching, Mediating Analysis mediation
Change noun form To explore, explore, or explore exploration
an ill-advisd term Exclude meaningless keywords Lifelong education, Adult learning, Teaching method Removal
processing

<Table 2>

Frequency of papers by period

Year Frequency(Total) percentage(%) Year Frequency(Total) percentage(%)
'01~'05 2001 6 2 3.3 1.1 '16~'19 2016 43 7 23.8 3.9
2002 1 0.6 2017 6 3.3
2003 2 1.1 2018 12 6.6
2005 1 0.6 2019 18 9.9
'06~'10 2006 37 8 20.4 4.4 '20~'23 2020 50 13 27.6 7.2
2007 4 2.2 2021 17 9.4
2008 3 1.7 2022 16 8.8
2009 6 3.3 2023 4 2.2
2010 16 8.8 2010 16 8.8
'11~'15 2011 45 10 24.9 5.5
2012 7 3.9
2013 6 3.3
2014 14 7.7
2015 8 4.4

<Table 3>

Keywords appearance frequency and ranking

Ranking Keyword Frequency Ranking Keyword Frequency
1 Experience 438 21 Academic achivement 30
2 Learners 361 22 Mobile learning 29
3 E-learning 212 22 Flipped learning 29
4 Activity 194 24 A small group 26
5 Program 161 24 Social learning 25
6 A study club 155 24 Evaluation 25
7 An old man 138 27 Individual 22
8 Coaching 130 27 Intermediary 22
9 Online 113 27 Mobile 22
10 Cyber University 59 27 Off-line 22
11 Model 56 31 Conversion learning 20
12 Mentoring 54 32 Mento 18
13 Diverse 52 33 Digitar 17
14 Content 51 34 Tutor 16
15 Remote education 47 34 A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16
16 A learning community 41 36 Mental coaching 15
17 Blended learning 38 36 Informal education 15
18 Practice 35 36 Remote 15
19 MOOC 33 39 Action learning 14
19 A Woman 33 40 Media 13

<Table 4>

Key keywords appearance frequency and ranking by period

Ranking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19 2020~2023
Keyword Freq Keyword Freq Keyword Freq Keyword Freq Keyword Freq
1 A study club 21 E-learning 102 Experience 76 Experience 158 Experience 129
2 Asmallgroup 15 learners 83 Learners 58 Learners 88 Learners 125
3 E-learning 10 Experience 70 A studyclub 52 E-learning 48 Coaching 72
4 Activity 9 Activity 57 Program 51 An oldman 46 Online 67
5 Mentoring 8 A study club 37 Activity 51 Activity 36 Program 56
6 Online 7 Program 22 Coaching 42 MOOC 32 Activity 41
7 Learners 7 An oldman 21 An oldman 35 Program 27 An oldman 36
8 Material resources 5 Academic achievement 20 E-learning 35 Cyber university 26 Model 26
9 Experience 5 Model 15 Cyber university 25 A study club 24 A woman 25
10 Program 5 Mentoring 12 Social
learning
25 Online 22 Blended learning 23
11 Structural model 3 Spirituality 12 Mobile learning 24 Mobile 19 Remote education 22
12 Diverse 3 Remote education 11 Content 24 A learning community 16 A study club 21
13 Delphi 2 Diverse 9 Mentoring 22 Coaching 15 A learning community 18
14 Model 2 Blended learning 9 Diverse 14 Practice 14 E-learning 17
15 Operation method 2 A small group 9 Mentor 12 Flipped Learning 13 Flipped Learning 16
16 Remote 2 Ubiquitous 9 Intermediary 10 Diverse 11 Diverse 15
17 Content 2 Content 9 Practice 10 Mentoring 11 Mentalcoaching 15
18 Evaluation 2 Tutor 8 Online 10 Content 11 Digital 13
19 Learning objectives 2 Presentation 8 Remote education 10 Informal education and learning 10 Unification education 12
20 Implication 2 The history of one's life 7 Transformationlearning 10 Informal education 10 Practice 10

<Table 5>

Major keyword pair simultaneous appearance frequency

Ranking Keyword-pair Frequency Ranking Keyword-Pair Frequency
1 Learners Experience 62 19 Learners Content 14
2 Experience Activity 54 19 E-learning Content 14
3 Learners Activity 42 19 Learners Cyber
university
14
4 Experience Program 31 24 Activity E-learning 13
5 Learners E-learning 29 24 Experience Individual 13
6 Experience Diverse 27 4 Activity A learning community 13
6 Learners program 27 27 Learners An old man 12
8 Learners Online 25 27 Learners Remote education 12
9 Learners Diverse 22 29 Diverse Program 11
9 Diverse Activity 22 29 Online Activity 11
9 Experience A study club 22 29 Experience Content 11
12 Experience An old man 19 29 Experience A woman 11
12 Program Activity 19 33 Experience Remote
education
10
14 Activity A study club 18 33 Experience Coaching 10
14 Learners Model 18 33 Program Coaching 10
16 Experience Online 17 36 learners A study club 9
16 Experience E-learning 17 36 Online E- learning 9
18 Experience Model 16 36 Diverse E-learning 9
18 Experience A learning community 16 36 Activity Intermediary 9
19 Program Model 14 36 Learners Individual 9

<Table 6>

A Study on the Centrality of Lifelong Education Method Studies

Ranking Connectivity centrality Proximity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Keyword Value Keyword Value keyword Value
1 Goal 106 Goal 0.827 Goal 0.269
2 Learners 92 Activity 0.817 Activity 0.259
3 Target 84 Leraners 0.761 Learners 0.181
4 Activity 104 Target 0.728 Target 0.118
5 Participation 66 Participation 0.663 Participation 0.042
6 Application 66 Application 0.663 Application 0.040
7 Development 60 Development 0.644 Development 0.034
8 Experience 40 Experience 0.588 Program 0.006
9 Strategy 34 Program 0.578 Experience 0.005
10 Application 26 Strategy 0.573 E-learning 0.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