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스포츠 참여동기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ool for measuring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marine sports and to verify its validit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pen questionnaires were derived through the coding process, and the common meaning of the derived contents was classified and categorized by subject by applying the inductive method. Topics derived based on in-depth interviews and open questionnaire response data were classified separately with high frequency contents and used to create preliminary questions through a semantic process. First, item suitability was verifi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using preliminary questions. Second, KMO fitness verification and Bartlett's sphericity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it was suitable for conducting factor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xtract sub-factors of the constituent concept. Third, the commonality coefficient for each sub-factor was calculated,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was calculat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Four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uitability of the factor structure for the latent and measurement variables extrac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ifth,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ccording to gender was conducted for marine sports participants in order to secure discrimination validity for the items finally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developed as a measurement tool for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marine sports with a total of 28 questions, including 7 questions of nature-friendly interest, 4 quest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s, 4 questions of thrill, 5 questions of physical promotion, 4 questions of scarcity, and 4 questions of desire for achievement. With the development of a tool for measuring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marine sports,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presenting the standards and directions of marine sports education programs and seeking policy measures to revitalize marine sports.
Keywords:
Marine sports, Participation motivation, Measurement tool, Development, ValidationI. 서 론
해양스포츠는 최근 급격히 대중화되고 있는 여가 및 스포츠 활동의 한 형태로, 그 참여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해양스포츠는 단순히 신체 활동의 범주를 넘어, 자연과 교감하며 모험적 경험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여가 트렌드를 반영하는 대표적인 활동으로 자리 잡았다(Cheung and Lee, 2018). 특히, 도시화와 기술 발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자연환경 속에서의 활동은 심리적 안정과 여유를 추구하려는 현대인들에게 큰 매력을 제공하고 있다.
해양스포츠 참여 인구의 증가는 건강한 여가 활동을 통한 삶의 질 향상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스포츠 활동은 전반적으로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하며, 특히 해양스포츠는 자연과 함께하는 활동의 특성상 심리적 안정과 스트레스 해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Ji, 2006).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서핑, 스쿠버 다이빙, 카약, 스노클링, 제트스키, 패들보드 등 다양한 해양스포츠는 단순한 운동 이상의 문화적 경험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활동에 참여하는 개인의 동기는 기존의 육상스포츠나 여타 레저 활동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특성을 가진다.
해양스포츠의 독특한 참여동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연과의 상호작용, 모험에 대한 열망, 그리고 환경에 대한 의식과 같은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가령, 서핑이나 스쿠버 다이빙과 같은 활동은 단순히 신체적 도전을 넘어선 심리적 성취감과 자연과의 교감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육상스포츠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특징이다. Buckley(2012)는 자연 속에서의 스포츠 활동이 환경 보호 의식을 강화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특히, 스쿠버 다이빙과 같은 활동은 해양 환경의 아름다움과 취약성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참여자들에게 강력한 내적 동기와 환경 보존 의식을 심어준다고 밝혔다. 또한, 서핑과 같은 해양스포츠가 참가자들 사이의 강한 커뮤니티를 형성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이 참여동기의 중요한 부분임을 밝혔다(Kwon et al., 2017).
이러한 차별화된 특성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해양스포츠 참여동기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해양스포츠와 참여동기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Lee et al.(2001)의 연구에서는 스포츠 참여동기와 감각 추구 행동이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Lee and Sul(2016)의 연구에서는 스포츠 여가활동 참여동기 및 참여정도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Kim and Shin(2018)은 해양스포츠 참가자의 참여동기와 제약 요인을 분석하여 긍정적 심리 요인, 가족 요인, 건강 및 체력 요인이 주요한 참여동기임을 밝혔다. Cheung and Lee(2018)는 해양스포츠의 생활체육으로서의 가치를 탐구하며, 자연과의 교감과 신체 활동을 통해 삶의 전반적인 만족도가 향상된다고 보고하였다. 특히, 이들은 해양스포츠가 스트레스 해소와 심리적 안정, 그리고 사회적 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연구들은 스포츠 참여가 건강 유지, 성취욕구, 사회적 상호작용, 스트레스 해소와 같은 요인들에 의해 주도된다는 점을 강조해왔다. 그러나 해양스포츠는 자연환경에서 이루어지며, 위험성과 모험성이 높은 특성을 지니기 때문에, 참가자들이 가지는 동기는 기존의 스포츠 동기와는 차별화될 가능성이 크다(Cheung and Lee, 2018).
기존 연구들은 특정 집단이나 지역에 한정되어 있어, 해양스포츠 참여동기를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문화적 배경에 따른 참여동기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해양스포츠 참여동기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해양스포츠 참여자들의 다양한 동기를 반영한 측정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Kang and Park(2023)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해양스포츠 참여동기 척도를 개발하여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해양스포츠 참여동기의 다양한 측면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도구를 개발하였으므로 포괄적 범위에서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해양스포츠 참가자의 참여동기가 운동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형 스포츠 참여동기 도구를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나, 해양스포츠에 특화된 참여동기라 볼 수 없으므로 한계가 있다. 이처럼 해양스포츠 참여동기와 관련한 척도 개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라 할 수 있다(Kim et al., 2014).
따라서, 해양스포츠 참여동기에 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해양스포츠를 즐기는 동호인의 독특한 참여동기를 반영한 참여동기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출하며, 이를 바탕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또한, 개발된 도구를 실제 해양스포츠 참여자들에게 적용하여 그들의 참여동기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해양스포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해양스포츠 분야의 동기 연구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개발된 도구가 해양스포츠를 보다 지속 가능하고 포괄적인 방식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설문조사는 2024년 8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3개월 동안 해양스포츠 참여자를 대상으로 직접 서면으로 개방형 설문, 자기평가기입법 및 구글폼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사전에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충분히 설명한 후 연구윤리동의서에 수락한 총 5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집된 500부의 자료 중 응답이 불성실한 자료로 판단되는 2부를 제외하고, 총 498부를 연구단계별 최종 분석하였다.
2. 문항 개발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조사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동기에 대한 개념 정립과 참여동기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Yang et al.(2012), Ro and Lee(2023)의 해양스포츠 참여동기 내용분석에 대한 연구를 참조하여 문항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해양스포츠 동호인들에게 심층면담과 개방형 설문을 통해 문항 Pool를 제작하였다.
3. 개방형 설문
참여동기에 대한 문항을 추출하기 위해 응답에 대한 특정 구조를 제시하지 않고 응답자가 자유롭게 응답하는 것이 허용되는 개방형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개방형 설문지의 예시는 ‘해양스포츠에 참여하는 이유와 동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해 주십시오’로 제시하였다. 해양스포츠 동호인에게 개방형 설문을 통해 해양스포츠 참여동기 78개의 문항이 제작되었다.
4. 귀납적 범주화
개방형 설문을 통해 수집한 응답자료에 대해 귀납적 분석을 실시하여 빈도를 산출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절차로 첫째, 조사 대상자들의 응답 단어에 대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각 문항별 응답에 대하여 동일한 단어, 그리고 유사한 의미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둘째, 1차 분류를 통해 나온 결과를 전문가 10인의 검토와 논의를 통해 48개의 원자료로 범주화하였으며, 10개의 하위요인(스릴, 흥미, 성취감, 자연친화, 자기개발, 체력증진, 외적과시, 주요타자의 권유, 대인관계, 희소성)으로 추출되어 1차 예비문항이 개발되었다. 빈도분석 결과를 토대로 의미가 유사하거나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된 모든 문항의 결과를 세부영역과 일반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고 2차 분류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보다 타당성 있게 분류되었으며, 요인을 명명화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요인 스릴(ex. 나는 해양스포츠를 통해 짜릿함을 느껴보고 싶다), 2요인 흥미(ex. 나는 바다를 좋아해서 해양스포츠에 참여한다), 3요인 성취감(ex. 나는 대회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해양스포츠에 참여한다), 4요인 자연친화(ex. 나는 바다의 낭만을 느끼고 싶어서 해양스포츠에 참여한다), 5요인 자기개발(ex. 나는 자격증 취득을 위해 해양스포츠에 참여한다), 6요인 체력증진(ex. 나는 유산소 운동으로서 해양스포츠가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7요인 외적과시(ex. 다른 사람에게 자랑하기 위해 해양스포츠에 참여한다), 8요인 주요타자의 권유(ex. 나는 타인의 권유로 해양스포츠에 참여한다), 9요인 대인관계(ex. 나는 다양한 사람들과 어울리고 싶어서 해양스포츠에 참여한다), 10요인 희소성(ex. 나는 해양스포츠가 쉽게 접할 수 없는 스포츠라 참여한다)으로 범주화하였다.
5. 전문가 자문
측정도구 개발에서 설문을 어떻게 작성하는가는 응답자가 응답을 얼마나 잘하는가와 직결되는 문제이다. 따라서 간단성, 명확성, 이해성을 중심으로 설문지 작성 원칙에 따라 문항들을 수정‧보완하기 위해 해양스포츠 전문가 5인, 그리고 국어교육 전공자 및 교육심리 전공자 2인을 통해 문항 검토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예비문항에 대한 적합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 자문을 진행하였다. 자문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한 개발 문항에 대해 교육프로그램 관련 측정도구 개발에 수행 경험이 있는 대학 교수 3인에게 2차 자문을 요청하여 미흡한 사항을 수정·보완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6요인 48문항의 2차 예비문항이 확정되었다.
6. 자료처리
조사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6.0과 AMO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문항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확률은 p<.05로 설정하였다. 분석한 결과의 적합성 검토를 위해 최종적으로 대학 교수 2인에게 전문가 자문을 요청하여 미흡한 내용을 수정·보완하는 작업을 거쳤다.
Ⅲ. 연구 결과
1. 문항분석
문항분석 결과, 문항-전체간 상관계수가 .30 이하인 문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 삭제 시 신뢰도 계수 값이 전체 신뢰도 계수 값보다 큰 문항인 성취감 2번 문항, 주요타자의 권유 1,2,3번 문항을 삭제하였다. 평균이 4.5 이상이 나왔거나 표준편차가 0.1 이하인 문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왜도의 경우 ±2.0 이상, 첨도의 경우 ±4.0 이상인 문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척도에 50% 이상의 반응비율이 집약된 문항인 흥미 4번, 자기개발 2번, 주요타자의 권유 4번 문항이 삭제되었다.
2. 탐색적 요인분석
해양스포츠 참여동기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 해양스포츠 동호인 167명을 대상으로 구성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타당도 검증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α 계수를 측정하였다. 5차에 걸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중복부하를 보이고 요인적재치가 기준치 .50 보다 낮은 문항들의 자기개발 2문항, 흥미 3문항, 성취감 3문항, 외적과시 3문항, 자연친화 2문항이 삭제되었다. 따라서 자연친화적 흥미, 대인관계, 스릴, 체력증진, 희소성, 성취욕구의 6요인 총 28문항이 확정되었다. 이에 대한 스크리 도표 값과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은 [Fig. 1], <Table 1>과 같다.
최종 추출된 자료의 표준적합도(KMO: Kaiser-Meyer-Olkin)는 .899, Bartlett의 단위행렬 검정 결과, x2=4148.729, df=378, p<.001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6개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요인적재치는 하위요인 1: 자연친화적 흥미 .619-.814, 하위요인 2: 대인관계 .855-.911, 하위요인 3: 스릴 .685-.889, 하위요인 4: 체력증진 .521-.826, 하위요인 5: 희소성 .569-.817, 하위요인 6: 성취욕구 .538-.774로 나타났다. 전체 누적 설명변량은 77.056%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별 Cronbach’s α 계수에 따른 신뢰도 분석 결과, .847-.949로 나타났다.
3. 확인적 요인분석
해양스포츠 참여동기 측정도구의 초기모형에서 적합도 기준에 충족되지 않아 수정지수 10을 기준으로 초과한 오차항 간의 공분산을 설정하여 수정모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 지수 Q=2.901로 적합도 기준 3.0 이하 보다 낮아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합도 지수 IFI=.909, TLI=.903, CFI=.908로 적합도 기준 .90 이상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적합도 지수 RMSEA=.076으로 적합도 기준 .08 이하 보다 낮게 나타나 모형의 적합도 기준에 모두 충족되어 구조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해양스포츠 참여동기 측정도구의 최종 확인적 요인분석 모델 적합도 결과는 다음 <Table 2>와 같다.
각각의 측정변인에 대한 잠재변인의 표준화회귀계수는 최소 .528에서 최대 .957의 적재치를 나타내어 모두 .50 이상의 수준을 보이고 있고, 고정된 계수를 제외한 모든 요인계수의 C.R. 값은 ±1.96 이상으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척도의 구조적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경로 유의성과 회귀계수 값은 다음 <Table 3>과 같다.
Ⅳ. 결 론
본 연구는 해양스포츠에 참여하는 참가자의 동기를 측정하고 평가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스포츠 참여동기는 사람들이 자신의 요구에 관련된 활동을 할 때 관심을 가지게 되고, 자신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활동을 할 때 즐거움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Lee, 2000).
국내에서 Ann(1999)은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을 즐거움 지향, 사교 지향, 건강 지향, 운동기술 지향 4개 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Jung(1997)은 참여동기를 내적동기, 외적동기, 무동기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여가, 스포츠에서의 참여동기로는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지만 해양스포츠에서 참여동기 척도로 사용하기에는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재검증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되며, 해양스포츠의 참여동기를 개발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해양스포츠 참여동기 척도는 문항분석,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스릴(4문항), 자연친화적 흥미(7문항), 체력증진(5문항), 대인관계(4문항), 희소성(4문항), 성취욕구(4문항)로 총 28문항이 개발되었다.
첫째, 스릴은 도전적인 활동에서 느끼는 강한 자극과, 모험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된 경험을 추구하는 스포츠에서 많이 나타난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느낄 수 없는 신체적, 정신적 자극으로 스트레스 해소 역할을 하는 스릴은 여자보다는 남자가 더 선호한다고 보고한 Jung(1999)과 Ball, Farnill and Wangeman(1984)의 연구결과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남자는 신체적 활동이 활발하며, 스릴 있는 것에 대한 도전의식이 강하고 적극적인 경향이 높다는 사회적 인식이 반영된것으로 추정된다. 더 나아가 해양스포츠에서의 스릴 또한 자연의 예측 불가능한 날씨와 도전적인 요소로써 중요한 참여동기 요인 중 하나이다. 현대인들이 겪는 일상생활의 지루함과 권태로움에서 벗어나게 해주며, 도전 정신과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해양스포츠가 지닌 고유한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자연친화적 흥미 요인은 기존 스포츠 참여동기 연구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Kim and Kwon, 2008; Kim, 2024; Kwon, 2024; Lee, 2024; Nam et al., 2024; Park and Choi 2017) 스포츠 참여동기 중 자연친화와 관련된 하위요인은 도출되지 않았으며, 자연친화적 흥미 요인은 존재 자체만으로도 차별점을 가진다. 또한 바다라는 특별한 환경에서 느끼는 대자연의 장엄함과 정서적 만족감은 다른 실내스포츠나 육상스포츠 활동에서는 경험하기 어려운 독특한 가치로 작용한다. Park and Kim(2019)의 연구에서는 규칙화된 체육수업에 대해서 성별에 따라 흥미를 느끼는 정도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 상반된 의견을 제시하였지만,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자가 남자보다 자연친화적 흥미 요인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재밌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자연환경이 주는 심리적 안정감과 자연의 아름다움이 여자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해양스포츠의 자연친화적 흥미 요인은 단순한 신체 스포츠활동을 넘어 자연과의 조화로운 상호작용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욕구를 잘 보여주고 있다.
셋째, 체력증진은 해양스포츠를 통해 신체적 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스포츠를 참여하는 데 있어 건강을 목표로 하는 것은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공통적으로 중요시 여긴다. 또한, Kim and Seong(2020)의 연구에 따르면 스포츠 활동은 육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생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해양스포츠는 자연이 주는 평온함과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하여 참여자들의 정신 건강 측면에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현대인들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해 해양스포츠에 참여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체력증진 요인에서 높은 결과 값을 보였는데, 이는 Lee and Seok(2019)의 연구에서 남자는 근력운동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는 반면, 여자는 유산소 운동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 한다. 이처럼 주로 지속적인 동작과 전신을 활용한 움직임이 요구되는 해양스포츠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여성이 더 높은 평균값을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대인관계 요인은 해양스포츠를 참여함에 있어 새로운 사람들과의 교류와 네트워크 형성에 중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해양스포츠는 안전과 협력이 필수적이므로, 참여자들 간의 신뢰와 유대관계가 형성된다. 또한, 동호회나 클럽 활동을 통한 지속적인 교류는 단순한 운동 참여를 넘어 의미 있는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의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남녀 간에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해양스포츠가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인관계는 인간 생활의 본질적 특성으로, 사람들은 서로 의지하고 도움을 주고받으며 살아간다. 개인에 따라 대인관계의 양적·질적 차이는 있지만, 서로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는 점은 변함없는 사실이다(Kwon, 2009). 특히 현대사회에서 성별에 관계없이 개인화와 고립화 현상이 심화되는 상황을 고려할 때, 대인관계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결과는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다섯째, 희소성 요인은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특별한 경험이라는 점에서 육상스포츠와 비교하였을 때 해양스포츠의 차별적 특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특성은 현대인의 색다른 경험 추구 욕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Nam and Lee(2011)의 연구에서는 감각추구성향의 하위요인인 경험추구성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비교하였을 때 높은 집단이 스포츠 참여동기 중 내적동기와 확인적 동기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동기에서는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고 말한다. 이는 경험을 추구하는 것이 스포츠의 참여동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현대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특별한 경험’에 대한 욕구, 이른바 ‘경험 소비’라는 트렌드와 맞물려 해양스포츠의 희소성은 더욱 중요한 가치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희소성은 참여자들에게 차별화된 정체성을 제공하며, 이는 해양스포츠의 참여율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성취욕구는 해양스포츠를 통해 자기 효능감을 높이고, 참여자들이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는 과정에서 긍정적 경험을 얻게 하는 중요한 동기로 작용한다. 해양스포츠에서의 기술 습득은 높은 수준의 성취를 달성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의 투자가 필요하며, 이는 성취욕구를 자극하는 요인으로 생각된다. 또한, 자격증 취득과 같이 개인의 전문성 개발과 함께 직업적 발전 가능성을 고려하는 현대인의 실용적 동기를 반영하는 요인이다. 더불어 성취욕구는 단순히 개인적 성취나 기술의 습득에 그치지 않고, SNS를 통한 경험 공유와 같은 자기표현의 확장으로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현대사회에서 해양스포츠가 자아실현과 자기표현의 새로운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처럼 성취욕구는 해양스포츠의 사회문화적 가치를 확장시키며, 참여자들에게 의미있는 개인적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 Ann CK(1999).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port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port involvement by sport consumer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38(3), 846~856.
-
Buckley R(2012). Sustainable tourism: Research and reality. Annals of tourism research, 39(2), 528~546.
[https://doi.org/10.1016/j.annals.2012.02.003]
-
Cheung YK, Lee HI(2018). Exploring the value of marine sports as a sport for al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7), 309~315.
[https://doi.org/10.15207/JKCS.2018.9.7.309]
- Ji S U(2006). Marine sports resource theory, Seoul: DKbooks.
- Jung YG(1999). Analysis on Arousal-Seeking Behavior of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 and Exercise. Theses Collection, 19(2), 399~412.
-
Kang DK and Park HW(202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otivation Scale for Participation in Marine Sports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32(4), 669~678.
[https://doi.org/10.35159/kjss.2023.08.32.4.669]
-
Kim HR and Seong MJ(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Fun factor, Leisure satisfaction and continued exercise of elderly sports.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37(4), 807~819.
[https://doi.org/10.12925/jkocs.2020.37.4.807]
-
Kim JB and Shin JT(2018). The Study o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Constraint of Marine Sports Participan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71, 345~353.
[https://doi.org/10.51979/KSSLS.2018.02.71.345]
-
Kim JW(2024).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Overseas Golf Training Programs for the General Public. Journal of Golf Studies, 18(2), 263~274.
[https://doi.org/10.34283/ksgs.2024.18.2.21]
- Kim KB and Kwon EJ(2008). The Developmen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Majoring in Dance. Journal of Art and Technology, 4(1), 151~180.
-
Kim SY, Shin KS, Kim YJ and Lee DW(2014). Motivation of the Participants Involved in Marine Sports Emotional Impact of Exercise. Journal of fisheries and mairne sciences education, 26(4), 677~685.
[https://doi.org/10.13000/jfmse.2014.26.4.677]
-
Kwon JY, Nam SB, Park SK and Kang HY(2017). The Effects of Surfing Participants' Participation Motivation on Flow Experienc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 Education, 29(2), 492~502.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2.492]
- Kwon KM(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easurement scale for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ersonality disorders) for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liberal dance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 Kwon SY(2024). The Relationships Between Sport Motivation, Grit, and Resilienc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derated Mediation of Physical Education Psychological Competency The Relationships Between Sport Motivation, Grit, and Resilienc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derated Mediation of Physical Education Psychological Competen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 Lee JH(2000). (The) analysis of dance sports participants' leisure perception and involvement according to their own motivation and skill compet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ation, Yonsei University.
-
Lee JS(2024).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sports immers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as an athlet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29(1), 29~39.
[https://doi.org/10.15831/JKSSPE.2024.29.1.29]
-
Lee KG and Sul JB(2016).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 Leisure: Focus on Physica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7(4), 3~24.
[https://doi.org/10.16881/jss.2016.10.27.4.3]
- Lee KY, Lee EJ and Kim YS(2001). Sport participation motive and sensation seeking behavior affect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Korean Society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150~159.
- Lee SH and Seok CH(2019). The Problems of Gender-specific Criteria on Physical Fitness Tests : Discussing Fairness and Suitability. The Korean Journal of Sport, 17(1), 141~150.
- Nam JH and Lee IW(2011). Relationship among Sensation Seeking, Basic Psychological Need and Sport Motivation in Sport Climbing Club Members.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22(2), 93~110.
-
Nam KH, Song MS, Lee HS and Park BY(2024).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Exercise Participation Motivation Perceived by Adolescent Golfers: Verification of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35(1), 151~166.
[https://doi.org/10.14385/KSSP.35.1.151]
-
Park EK and Kim ME(2019). A Study on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pleasure and satisfaction level.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7(3), 27~39.
[https://doi.org/10.24007/ajpess.2019.7.3.003]
- Park YH and Choi OJ(2017).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f Members of Sport-for-All Squash Club on Exercise Adherence and Life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Sport, 15(2), 219~227.
- Ro TH and Lee JW(2023). Analysis of the Motivation of Participants in Marine Leisure Sports. Journal of Sport Convergence Information Society, 3(1), 1~8.
- Yang MH, Kim DJ and Ko JS(2012). Content Analysis on Participation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Marine Sports Classes, Journal of Marine Sport Studies, 2(1), 1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