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7, No. 2, pp.358-374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5
Received 23 Jan 2025 Revised 28 Feb 2025 Accepted 13 Mar 2025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5.4.37.2.358

2022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능 직업탐구영역 시험과목 변화와 EBS 연계 교재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함승연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위원)
Teachers Perception about Test Subject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Based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Using of EBS-CSAT Prep Books
Seung-Yeon HAH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research fellow)

Correspondence to: 043-931-0464, syhahm@kice.re.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f Meister high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about Test Subject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Based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Using of EBS-CSAT Prep Books. And also,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of school curriculum of successful career life in 2015 and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participants change and degree of difficulty of successful career life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CAST 2028, affected factors related degree of difficulty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CAST, using of EBS-CSAT prep books and broadcast and internet lectures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CAST. Data were collected from samples of 36 expert advisors who took experience of mock examination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making EBS-CSAT Prep Books, writing test subjects book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mainly third grade consisted of School curriculum of ‘Successful career life’ in the 2015 and 2028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sults suggest that level degree of difficulty of ‘successful career life’ in CSAT 2028 is like degree of difficulty in CSAT 2024 and there is very higher using of EBS-CSAT prep books, broadcast and internet lecture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very important CSAT data for many Meister high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students to be colleges students.

Keywords: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EBS-CSAT prep books,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재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에 적용되는 교육과정은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을 두고 개발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이다. 이전의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농업, 공업, 상업 등의 계열을 구분하였으나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NCS 기반의 교육과정으로 이러한 계열을 구분하지 않았다. 2015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계열별 구분이 교육과정에서는 사라졌지만,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직업탐구영역에서는 기존의 계열별 선택과목(또는 시험과목) 체제를 유지하였으며 다만 계열별 선택 두 과목을 한 과목으로 축소하면서 모든 계열의 전문공통과목으로 ‘성공적인 직업생활’ 과목을 처음으로 도입하였다.

교육부에서는 2022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28학년도 수능 및 대입제도 개편을 발표(2023. 10.10)하였는데, 기존의 선택과목 체제에 따른 유불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2028학년도 수능에서는 탐구영역에서 선택과목 체제 대신에 공통과목 체제를 도입하였다. 사회탐구나 과학탐구의 17과목 중에서 최대 2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체제에서 선택과목 없이 통합사회, 통합과학을 시험과목으로 치르게 된다. 직업탐구영역의 경우에는 공통과목으로 ‘성공적인 직업생활’ 과목이 선정되었다.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에서는 기존의 5개 선택과목이 사라지고 직업탐구영역의 모든 계열에서 공통과목으로 시험을 치르게 된다. 따라서 2022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과 관련된 성공적인 직업생활의 교육과정 편성, 응시 집단 변화, 난이도 경향 및 영향 요인, EBS 연계 교재의 활용 등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을 통해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향후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수능에 직업탐구영역이 처음으로 신설된 이후로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05학년도 수능에 직업탐구영역이 처음 도입되는 과정에서, 수능 직업탐구영역 관련 성취기준, 평가기준 및 평가도구 모형을 개발한 연구가 이루어졌다(Lee et al., 2003). 이 연구에서는 직업탐구영역의 17개 과목들에 대한 성취기준, 평가기준 등이 연구되었다. 이후 수능에 직업탐구영역의 17개 과목을 출제하기 위한 평가 틀을 개발한 연구(Kim et al., 2004)가 이루어졌으며, 이후 17개 과목 별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개발하는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특히 회계 원리 과목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Jeon et al., 2004) 내용이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수능에서 처음 직업탐구영역이 도입되고 시행된 이후에 실제 학교 현장의 운영 실태나 출제된 문항에 대한 분석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농업계열 고등학교에서 직업탐구영역 도입 이후의 운영 실태를 분석한 연구(Kim and Lee, 2005), 직업탐구 영역과 관련된 전문계고의 교수, 학습 방법 및 운용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Lee et al., 2005)와 같이 직업탐구영역이 수능에 도입된 이후의 실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이후 수능에 출제된 문항에 대한 분석 연구가 과목에 따라 이루어졌는데, 공업 계열 출제 문항에 대한 분석을 한 연구(Hahm, 2007), 상업 경제 과목의 평가 문항 적합도에 관한 연구(Park, 2008), 회계 원리 과목의 출제 경향을 분석한 연구(Lee, 2008), 농업 계열의 농업 이해 과목의 문항 난이도 영향과 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Kim, 2009), 가사·실업 계열의 인간 발달 과목을 분석한 연구(Yoon and Choi, 2009)와 같은 출제 문항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후 연구로는 수능에 직업탐구영역이 도입된지 10년 정도가 되면서 그 성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10년간의 성과와 과제에 대한 공업 계열 특성화고 현장 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Hahm a, 2013), 직업탐구영역 응시율 변화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 연구(Hahm b, 2013), 2009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직업탐구영역의 계열별 선택과목이 총 10과목으로 줄어들고 응시인원의 변화가 발생하면서 나타나는 특성 변화 연구(Hahm c, 2013) 등이 이루어졌다. 또한 수능 문항 출제가 EBS 교재와 연계가 이루어지면서 직업탐구영역 EBS 수능 연계 교재가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는 형태와 활용 방안(Hahm, 2015)이 질적 연구로 이루어졌으며, 2015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수능 직업탐구영역 시험과목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교사의 인식(Hahm, 2018)을 조사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후 수능 직업탐구영역에 관한 연구가 최근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매우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이 아직 시행 전이기는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도 없기 때문에 조만간 시행 예정인 수능 직업탐구영역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22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됨에 따라, 직업탐구영역에 공통과목으로 적용되는 ‘성공적인 직업생활’ 과목에 대한 교육과정 편성을 살펴보고 난이도 측면 및 영향 요인, 응시 집단의 변화, EBS 연계 교재 활용 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시험과목 변화에 따른 타당한 방향을 제시하고 난이도 및 응시 집단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다. 이로써 앞으로 시행될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출제 및 시행에 있어서 학교 현장의 요구와 의견을 통해 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설문 조사는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 시험과목에 대한 교사의 인식, 난이도 영향 등을 알아보는 것이므로, 시·도교육청 연합학력평가 출제 경험, 수능 직업탐구영역 시험과목의 교과서 집필, EBS 직업탐구 영역 수능 연계 교재 집필 및 감수 등의 경험이 있는 교사 중에서 대상을 선정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다소 제약이 있다.


Ⅱ. 이론적 배경

1. 수능 직업탐구영역 시험의 성격과 평가 목표

대학수학능력시험 학습 방법 안내 자료(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학습 방법 안내, 2024)에 근거한 수능 직업탐구 영역 시험의 성격은 다음과 같다. 직업탐구 영역의 시험은 특성화 및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학생이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근거한 교과 내용을 보다 쉽게 학습하고 심화 발전시킬 수 있는 각종 문제 상황을 바탕으로, 동일·유사계열 대학에서 미래의 직업생활 및 전공 내용을 수학하는 데 필요한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되어있다. 실제로 수능 직업탐구영역을 응시하는 학생들은 졸업생을 제외하고 재학생의 경우 대부분 특성화 고등학교 재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즉 마이스터 고등학교 재학생에게도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기회는 열려있지만 대부분 취업을 하므로 응시 인원이 매우 적다.

또한 직업탐구 영역은 이론과 실기를 병행하는 특성화 및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내용과 수준에 따른 각종 문제 상황을 소재로 활용하여 출제 범위에 속하는 과목들에서 다루고 있는 개념 및 원리에 대한 이해력과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사고력을 측정한다. 실제로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출제 문항들은 단순한 암기 내용을 평가하는 문항은 출제하지 않고, 문제 상황을 반드시 제시하고 이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다양한 방법을 평가하고 있다.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학습 방법 안내(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4)에서는 이러한 평가 목표에 따라 내용과 행동, 문제 상황을 [Fig. 1]과 같이 축으로 도식화하였다.

[Fig. 1]

Assessment domain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CSAT.(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2024). Learning method for learning method for learning compared to college math ability for 2025)

현재 적용되고 있는 교육과정은 2015개정 교육과정으로, 수능 직업탐구 영역의 내용 영역은 특성화 및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학생들이 학교에서 전문교과를 이수해야 응시가 가능하다. 현재는 성공적인 직업생활이 공통 필수 과목에 해당되며, 농업 기초 기술, 공업 일반, 상업 경제, 수산·해운 산업 기초, 인간 발달 중 한 과목을 선택하여 총 두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학습 방법 안내(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4)에 따르면, 직업탐구 영역 평가 목표상의 ‘행동’은 출제 범위에 속하는 과목들에서 다루고 있는 개념 및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주어진 문제 상황을 파악하고 해결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중심으로 분류된다고 하였다. 행동 영역의 분류는 국어, 수학, 영어 등 각 영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정되는데, 수능 직업탐구영역에서는 개념 및 원리 이해, 문제 인식 및 명료화, 대안 탐색 및 선택, 대안 실행 및 적용, 대안 평가 및 일반화 5개 영역으로 설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는 직업탐구 영역에서 교과 중심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수능에 적용하기 위해 만든 행동 영역 분류 체계이다.

수능 직업탐구 영역에서는 이러한 행동 영역 측정을 하기 위해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학문, 이론적, 실제적인 상황, 실험 및 실습 상황, 일상생활, 직장 생활 상황 등을 접목하여 출제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시사적인 내용과 교육과정을 접목하고 실제 산업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내용을 직접적으로 적용하여 지문이나 각종 자료로 제공된다. 수능 학습 방법 안내에 직업탐구 영역의 5개 행동 영역과 각 행동 영역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하위평가 요소는 [Fig. 2]와 같다.

[Fig. 2]

Behavioral domain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CSAT.(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2024). Learning method for learning method for learning compared to college math ability for 2025)

‘개념 및 원리 이해’는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교과 개념 및 원리를 가지고 이를 기억해내고 이해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영역으로, 하위 요소로는 ‘문제 상황에 나타난 교과 개념 및 원리를 기억하기’, ‘문제 상황 속에 내포된 교과 개념 및 원리를 이해하기’ 등이 있다.

‘문제 인식 및 명료화’는 제시된 문제 상황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정확하게 인지하는 이해 능력을 바탕으로 하며, 교과 개념 및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파악하게 된다. 하위 요소로는 ‘문제의 구조적 상황 및 원인 등을 분석하여 문제 상황을 인식하기’, ‘문제 상황 속에 내포된 의미나 관련 변인들의 기본적인 관계를 파악하기’, ‘문제 상황 속에 내포된 의미나 관련 변인들의 관계에 기초하여 사안의 핵심이나 제기되는 문제를 명료화하기’ 등이 있다.

‘대안 탐색 및 선택’은 제시된 문제 상황을 인식하고 명료화 한 후의 다음 단계에 해당하며, 문제 해결에 필요한 자료와 정보를 학생이 파악하여 다양한 대안을 탐색하고, 그 중에서 최적의 대안을 선택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하위 요소로는 ‘문제 해결에 유용한 자료와 정보들을 분석하고 정리하기’, ‘문제 해결에 필요한 아이디어들을 창출하고 범주화하여 다양한 대안을 탐색하기’, ‘다양한 대안을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대안을 선택하기’ 등이 있다.

‘대안 실행 및 적용’은 탐색한 대안 중에서 최적의 대안을 선택한 후에 실제로 이 대안을 실행해보고 적용해 보는 문제 해결 단계이다. 제시된 문제 상황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제로 대안을 적용해 보는 능력을 평가하게 된다. 하위 요소로는 ‘문제 해결에 적합한 실행 절차를 수립하여 당면 문제 상황에 최적의 대안을 실행하기’,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문제 상황이나 사례에 최적의 대안을 적용하기’, ‘최적의 대안을 실행하거나 적용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상황에 대처하기’ 등이 있다.

‘대안 평가 및 일반화’는 문제 상황에 가장 적합한 최적을 대안을 실행하거나 적용해 본 후, 이 대안이 문제 해결에 적합한지 평가하고,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는다면 이러한 문제 상황에서 이 대안을 일반화할 수 있는 지를 평가한다. 문제 해결 상황에서 가장 마지막 단계에 해당한다. 하위 영역으로는 ‘대안의 실행 및 적용을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분석하기’, ‘실행 및 적용 결과를 종합하여 문제 해결책으로서 대안의 적절성이나 타당성을 평가하기’, ‘문제 해결에 활용된 대안 및 실행 방법을 유사한 문제 상황의 해결책으로 일반화하기’ 등이 있다.

2.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변화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시험과목은 새로운 교육과정을 적용하면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2009개정 교육과정부터 2022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될 예정인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시험과목의 변천을 살펴보면 <Table 1>과 같다. 2009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었을 때는, 농생명 산업 계열은 ‘농업 이해’, ‘농업 기초 기술 과목’을, 공업 계열은 ‘공업 일반’, ‘기초 제도’ 과목을, 상업 정보 계열은 ‘상업 경제’, ‘회계 원리’ 과목을, 수산·해운 계열은 ‘해양의 이해’, ‘수산·해운 산업 기초’ 과목을, 가사·실업 계열은 ‘인간 발달’, ‘생활 서비스 산업의 이해’ 과목을 필수 과목을 지정하였다. 따라서 수능 직업탐구영역에서는 각 계열별 필수 과목으로 지정된 10개 과목을 수능의 시험과목으로 지정하였으며 응시자들은 계열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2015개정 교육과정은 NCS 기반의 교육과정으로써 기존의 5개 계열 대신에 17개 교과(군)으로 편성하였기 때문에 학교 현장에서는 계열의 의미가 희미해졌으나 수능 직업탐구영역에서는 계열을 그대로 두고 시험과목을 선정하였다. 특히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전문공통과목으로 지정되어 17개 모든 교과(군)에서 공통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수능 직업탐구영역에서는 공통과목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계열별로 농업 기초 기술, 공업 일반, 상업 경제, 수산·해운 산업 기초, 인간 발달 등 다섯 과목 중에서 한 과목을 시험과목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2022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어 수능이 처음 치러지는 2028학년도 수능에서 직업탐구영역의 시험과목은 기존의 선택과목의 유·불리를 없애기 위하여 공통과목으로 치러진다. 수능 직업탐구영역은 ‘성공적인 직업생활’ 과목으로 한 과목만 공통과목으로 시험과목이 치러질 예정이다.

Change to test subjects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2015개정 교육과정과 2022개정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직업생활’ 교육과정 내용을 비교하면 <Table 2>와 같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대영역 3단원인 ‘직업 능력 개발과 평생 학습’은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 대영역 2단원의 ‘진로 직업 설계와 직업 기초 능력’으로 변경되었으며, 2015개정 교육과정의 2단원 ‘기업과 산업 활동’은 그 내용이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 삭제되었다. 대신에 2015개정 교육과정의 6단원 ‘직업윤리와 직업사회’가 2022개정 교육과정 4단원 ‘직업 생활과 직업 윤리’로 변경되면서 하위 ‘직장에서의 인간관계’ 내용이 신설·추가되었다.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대영역은 6단원 ‘경력 관리와 평생 학습’으로 하위 영역으로는 ‘경력 관리와 개발’, ‘평생 학습’, ‘미래 사회와 직업 세계의 변화’로 구성되었다. 즉,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기업과 산업 활동’ 대영역이 삭제되고,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경력 관리와 평생 학습’ 대영역이 새로이 신설되었다. 따라서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에게 경력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미래 사회와 직업 세계의 변화에 따른 평생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Compared with 2015 and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contents of ‘successful career life’

2023년 및 2024년 교육통계연감을 살펴보면, 계열별 특성화 고등학교의 학생 수는 <Table 3>과 같다. 2023년 172,852명의 학생 수가 2024년에는 168,888명으로 줄어들었다. 이는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응시 인원이 매년 감소하는 현상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특이한 것은 모든 계열의 학생 수가 2023년보다 2024년에 줄었지만 가사·실업 계열의 학생수는 2023년보다 2024년에 증가하였다. 이는 최근에 수능 직업탐구영역에서 가사·실업 계열에 응시하는 학생 수가 증가한 원인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학생 수 증가 및 감소 경향,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2022개정 교육과정 적용 변화 등이 앞으로 수능에 어떠한 영향이 있을 것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Vocational education specialized high schools students by division


Ⅲ.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마이스터고등학교 및 특성화고등학교는 학생의 진로를 취업에 중심을 두고 있다. 실제로 수능 직업탐구영역 시행이나 출제 문항에 관심을 갖는 경우를 찾는 것을 쉽지 않다. 이는 마이스터고등학교 및 특성화고등학교가 진로를 취업에 두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성화고나 마이스터고 교사를 대상으로 대규모 설문조사를 하는 것보다는 수능 직업탐구영역에 관심을 가지고 시험과목에 해당하는 교과서 집필 및 심의, EBS 연계 교재 집필 및 심의, 시도 교육청의 직업탐구영역 출제 및 검토 경험이 있는 교사의 전문적인 의견을 조사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능 직업탐구영역과 관련있는 시·도교육청 연합학력평가 출제 경험, 수능 직업탐구영역 시험과목의 교과서 집필, EBS 직탐 수능 연계 교재 집필 및 감수 등의 경험이 있는 교사가 연구 조사의 대상이 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 사용될 조사 도구인 설문지는 이러한 경험이 있고 특성화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로 구성하여 설문지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설문지는 2024년 4월에 초안을 작성하고 직업탐구영역 5개 계열별 특성화고나 마이스터고 교사 한명씩, 총 5명의 전문가를 구성하고 협의회를 거쳐 설문 문항을 완성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는 <Table 4>와 같으며, 설문 영역은 5개 영역으로 구성되었고, 하위 총 13개의 설문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객관식 문항에 대한 답변에 따라 그 이유를 구체적으로 답변할 수 있도록 유목화하였고, 추가적인 의견을 주관식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설문지는 심도있는 의견을 얻기 위해 5월과 6월에 걸쳐 계열별로 고루 관련 전문가 교사 36명을 대상으로 대면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다만 가사·실업 계열의 경우 일반고에도 편성되어 있어 일반고 3명은 계열별 결과 분석 시 제외하고 분석하였다.

Questionnaries design

이 연구는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시험 과목 변화 및 EBS 연계 교재의 방향 예측 등의 수능 직업탐구영역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조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설문조사 대상은 전국 연합 학력평가 출제 경험자, EBS 연계 교재의 집필 및 감수 경험자, 수능 직업탐구영역 시험과목에 해당하는 교과서 집필 경험이 있는 교사 중에서 설문 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설문 대상자의 학교 현황은 <Table 5>와 같으며, 완성된 심층 설문지는 2024년 5월에 설문 대상 교사에게 보내어 회신을 받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항목별 문항내적 일관성 신뢰도인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그 결과 .794로 비교적 신뢰도가 양호하게 나타났다. Cronbach α 값은 보통 .60이 넘어야 신뢰도가 만족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이 전반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다 신뢰도가 높은 문항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해당 설문 문항을 제외하였을 때의 신뢰도 계수를 <Table 4>와 같이 산출하였다. 해당 설문 문항을 제외하였을 때 신뢰도 계수인 Cronbach α값이 제외하지 않았을 때의 값이 .794보다 크게 나오는 것은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설문 문항이므로 .821로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내용에 대한 설문 문항은 삭제하였다.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본 연구를 위해 자료 분석은 통계 처리 프로그램 SPSS(version 22)를 이용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수능 직업탐구영역 시험과목에 대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난이도 영향 요인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농생명 산업 계열에 편성되어 있었으며, 다른 계열에서도 선택 가능한 교과였다. 그러나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농생명 산업 계열 일부 학교가 편성하였을 뿐, 나머지 4개 계열에서 이 교과를 거의 편성하지 않았다. 반면에 2015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수능 직업탐구영역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1학년에 가장 많이 편성되었고 다음은 3학년에 많이 편성되었다(함승연. 2018). 따라서 2022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시기에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학교에서 몇 학년에 편성할 예정인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2015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현재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성공적인 직업생활’ 과목의 학교 편성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몇 학년에 편성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Table 6>과 같이 농산업 계열과 가사·실업 계열은 3학년과 1학년에 편성하였고 공업 계열과 상업 정보 계열은 2학년에도 편성되었다. 1학년에 편성할 경우 학생들에게 기초 과목으로서의 의미로, 3학년에 편성할 경우는 졸업 후 직장 생활에서 도움이 되는 과목이기도 하며 수능 직업탐구영역 시험과목에 해당하여 도움이 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수산·해운 계열을 제외한 모든 계열에서는 공통적으로 3학년이 58.3%로 가장 많이 편성되었고, 다음은 1학년에 19.4%로 2학년 13.9%로 나타났다. 수산·해운 계열은 특이하게 1학년에 주로 편성되었는데 이는 수능 직업탐구영역에 응시하는 학생 수가 타 계열에 비하여 매우 적기 때문에 3학년에 편성하여 수능 시험과목에 도움이 되도록 운영하기 보다는 기초 과목이라는 것에 보다 의미를 두고 편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School curriculum of‘Successful career life’i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22개정 교육과정은 2025년에 고등학교 1학년부터 적용된다.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시험과목인 성공적인 직업생활을 학교에서 몇 학년에 편성할 계획인지를 살펴보았다. <Table 7>과 같이 주로 3학년에 많이 편성할 계획이지만 1학년과 2학년 편성하는 경우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수능을 보는 학생들에게는 성공적인 직업생활이 시험과목이므로 3학년에 편성되는 것이 유리할 것이고, 취업을 하는 학생들도 성공적인 직업생활의 교육과정 내용 상 3학년에 배우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School curriculum of‘Successful career life’in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다음은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 성공적인 직업생활의 응시 인원이 어떻게 변할 것으로 예상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Table 8>과 같이 농생명 산업 계열, 상업 정보 계열, 수산·해운 계열은 ‘현재보다 감소’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공업 계열과 가사·실업 계열은 ‘현재와 유사’할 것이라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재보다 증가’ 할 것이라는 의견은 모든 계열에서 가장 적었는데 농생명 산업 계열, 상업 정보 계열, 가사·실업 계열은 ‘현재보다 증가’할 것이라는 의견이 없었다.

Participants change of‘Successful career life’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CAST 2028

<Table 8>에서 응시인원이 ‘현재보다 감소’로 대답한 경우에, 그 이유를 묻고 분석하였다. 가장 높은 답변은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현재보다 응시 인원이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한 답변이 6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은 ‘현재 대학입시 체제에서는 직업탐구영역을 응시하지 않고 수시 전형으로 대학을 갈 수 있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총 답변 중에서 36%를 차지하였다. 이는 현재에도 수능에 응시하지 않고 대학에 진학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능 직업탐구영역에 응시하여 대학을 진학하려는 경우는 진로에 대한 목표가 명확한 학생이 수능 직업탐구영역에 응시할 확률이 더 높아 질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Table 8>에서 응시인원이 ‘현재보다 증가’로 대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고 분석하였다. 가장 많은 답변으로는 학령 인구 감소로 인하여 대학에서 학생 선발 인원보다 응시자 수가 적어 수능 직업탐구 영역으로 대학가는 것이 더 쉬워지기 때문에 응시자가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50%가 응답하였다. 또 다른 의견으로는 2028학년도 수능부터 선택과목이 없어지지 때문에 통합사회 및 통합과학 두 과목을 응시하는 것보다 직업탐구 영역에서 성공적인 직업생활 한 과목만 응시하기 때문에 유리할 것이라는 응답이 25%로 높았다. 또한 응답자의 25%는 수능에서 직업탐구 영역에 응시하는 특성화고 학생들은 상위권 대학을 가고자하는 학생들이 응시하기 때문에, 대학 진학에 목표를 가지고 입학하는 특성화고 학생들이 늘어나고 직업탐구 영역에 응시하여 상위권 대학에 도전하는 학생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다음은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성공적인 직업생활의 난이도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Table 9>와 같이 5점 척도로 질문하였다. 농생명 산업 계열은 ‘현행 유지’와 ‘현행보다 약간 어렵게 출제’와 ‘현행보다 약간 쉽게 출제’가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으며, 공업 계열은 ‘현행 유지’ 의견이 가장 높았으나 ‘현행보다 약간 어렵게 출제’해야 한다는 의견도 높았다. ‘현행보다 매우 어렵게 출제’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타났다. 이는 수능 직업탐구 영역 ‘공업 일반’의 출제가 예전에 비하여 난도가 높지 않은 결과로 해석된다. 공업 계열과 유사하게 상업 정보 계열도 ‘현행 유지’ 의견이 가장 높았으나 ‘현행보다 약간 어렵게 출제’해야 한다는 의견도 높았고 ‘현행보다 매우 어렵게 출제’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타났다. 반면에 수산·해운 계열의 경우에는 ‘현행보다 약간 쉽게 출제’ 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일하게 ‘현행보다 매우 쉽게 출제’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타났는데, 이는 최근 ‘수산·해운 산업 기초’의 문항이 예전에 비하여 난도가 높아진 원인의 영향인 것으로 해석된다. 가사·실업 계열의 경우는 ‘현행 유지’ 의견이 가장 높았으며 ‘현행보다 약간 어렵게 출제’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었다. 조사 결과를 계열별 평균으로 살펴보면, 농생명 산업 계열은 3.0, 공업 계열은 2.4, 상업 정보 계열은 2.5, 가사·실업 계열은 2.8로 ‘현행 유지’와 ‘현행보다 약간 어렵게 출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수산·해운 계열은 평균이 4.0으로 ‘현행보다 약간 쉽게 출제’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Degree of difficulty of‘successful career life’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CAST 2028

위 결과로 볼 때,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 난이도에 대한 생각은 계열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계열별 시험 과목에 대한 결과를 반영하여 성공적인 직업생활의 난이도에 반영해야 함을 나타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은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제시하고 각각에 대한 영향 정도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응답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제시된 6가지 요인들에 대한 영향 정도는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모두 수능의 난이도에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항목별로 비교하면, 난이도에 영향을 주는 항목으로 ‘신입생 미달 및 학력 수준의 저하’ 요인은 난이도에 영향이 적다는 의견도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학령인구 감소가 영향은 있으나 수능 직업탐구영역으로 진학을 원하는 학생은 뚜렷한 대학 진학 목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학력 수준이 낮지 않다고 볼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새로운 ‘2022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이 난이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거나 매우 클 것으로 나타난 의견은 47.2%와 11.1%로 나타났다. 이는 새로운 교육과정이 적용되면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이 변할 뿐만 아니라 총론에서 추구하는 교육과정의 목표 등 학교 현장에서도 새로운 교육과정 변화를 적용하기 때문이며 EBS 연계 교재도 변화가 오기 때문에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Affected factors related degree of difficulty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CAST

‘교육부 수능 정책의 변화’와 ‘수능과 EBS 교재의 연계 정도’도 난이도에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교육부의 수능 정책 변화는 시행 3년 전에 예고되지만 학생들의 입장에서는 정책 변화에 따른 유불리 현상이 발생되어 선택과목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수능의 난이도에도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응시자 수 변화’는 다른 항목에 비하여 난이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난이도에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난 ‘기출문항 학습 효과로 인한 수험생 수준의 변화’는 기존의 기출 문항만 잘 풀어 보아도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다는 의미이다. 결국, 직업탐구 영역의 출제 문항의 내용이나 소재가 비교적 평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시험과목의 교육과정 범위가 국어, 영어, 수학 등의 과목에 비하여 그 폭이 넓지 않은 요인도 작용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위 결과들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을 위하여 수능 직업탐구영역 난이도에 관한 후속 연구를 통해, 난이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가 보다 구체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만, 성공적인 직업생활 과목은 계열별 모든 학생이 보는 시험과목인 만큼 ‘기출문항으로 인한 학습효과’로 성적을 올리기 보다는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출제하거나 새로운 시도의 문항, 참신한 문항 등을 개발함으로써 일부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2. 수능 직업탐구영역에서 EBS 연계 교재의 활용

수능 직업탐구영역은 현재 EBS 연계 교재에서 50%를 연계하여 출제하고 있다. 따라서 EBS 연계 교재는 학생들에게 중요한 학습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여섯 개 시험과목에서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부터 한 과목으로 축소되는데 이러한 변화 속에서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 ‘성공적인 직업생활’의 EBS 연계 교재인 수능 특강과 수능 완성의 교재 활용도가 지금보다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응답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농생명 산업 계열은 ‘높아짐’의 의견이 가장 높았으며 ‘보통임’의 의견도 나타났다. 공업 계열은 ‘높아짐’ 의견이 가장 높았으나 ‘매우 높아짐’의 의견도 다른 계열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상업 정보 계열은 ‘높아짐’의 의견이 가장 많았고 ‘매우 높아짐’의 의견은 없었다. 수산·해운 계열도 ‘높아짐’의 의견이 가장 높았으며 ‘매우 높아짐’의 의견도 나타났다. 가사·실업 계열의 경우는 ‘높아짐’ 의견이 가장 높았으며 ‘매우 높아짐’의 의견도 제기되었다.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은 모든 계열에서 EBS 연계 교재 활용도가 지금보다 높아질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우 높아질 것이라는 의견도 공업 계열, 수산·해운 계열, 가사·실업 계열에서 나타났다.

Using of EBS-CSAT prep books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CAST

교재 활용이 높아지는 이유에 대해서는 농생명 산업 계열은 ‘성공적인 직업생활 교과서 종수가 많고 EBS 연계 교재가 대표적인 참고서 역할을 하므로’와 ‘연계 교재에서 연계된 문항의 연계 체감도가 높아 수능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가 동일 비율로 높게 나타났다. 공업 계열은 ‘성공적인 직업생활 교과서 종수가 많고 EBS 연계교재가 대표적인 참고서 역할을 하므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탐구영역 학생들이 참고할 참고서가 거의 없기 때문에’라는 응답이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상업 정보 계열은 ‘성공적인 직업생활 교과서 종수가 많고 EBS 연계교재가 대표적인 참고서 역할을 하므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EBS 수능 특강과 수능 완성 교재가 수능 연계 교재이기 때문에’가 다음으로 높았다. 수산·해운 계열은 ‘성공적인 직업생활 교과서 종수가 많고 EBS 연계교재가 대표적인 참고서 역할을 하므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탐구영역 학생들이 참고할 참고서가 거의 없기 때문에’라는 응답이 두 번째로 높아, 공업 계열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가사·실업 계열의 경우는 ‘성공적인 직업생활 교과서 종수가 많고 EBS 연계교재가 대표적인 참고서 역할을 하므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탐구영역 학생들이 참고할 참고서가 거의 없기 때문에’라는 응답이 두 번째로 높아, 공업 계열 및 수산·해운 계열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EBS 연계 교재는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에서도 대표적인 참고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또한 직업탐구영역에서 EBS 연계 교재를 제외하고는 학생들이 참고할 적절한 참고서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EBS 연계 교재는 일부 형식적, 내용적 오류가 있는 경우 홈페이지에 수정 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유일한 참고서 역할을 하는 EBS 연계 교재의 내용 및 형식적인 오류를 줄이고 좀 더 참신한 문항을 개발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성공적인 직업생활’ 학습을 위해 학생들은 EBS 연계 교재인 수능 특강과 수능 완성의 방송 및 온라인 인터넷 강의 활용도가 지금보다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응답 결과는 <Table 12>와 같다. 농생명 산업 계열은 ‘높아짐’의 의견이 가장 높았으며 ‘보통임’과 ‘매우 높아짐’의 의견도 나타났다. 공업 계열은 ‘매우 높아짐’ 의견이 타 계열에 비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업 정보 계열은 ‘높아짐’의 의견이 가장 높았으며, ‘보통임’과 ‘매우 높아짐’의 의견도 나타났다. 수산·해운 계열은 ‘높아짐’의 의견이 가장 높았지만, ‘매우 높아짐’의 의견은 없었다. 가사·실업 계열의 경우는 ‘높아짐’ 의견이 가장 높았으며 ‘보통임’과 ‘매우 높아짐’의 의견이 나타났다.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에서 EBS 연계 교재의 방송 및 인터넷 강의의 활용도는 모든 계열에서 지금보다 높아질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우 높아질 것이라는 의견도 공업 계열의 경우 가장 높았다.

Using of EBS-CSAT broadcast and internet lectures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CAST 2028

EBS 교재의 방송 및 온라인 인터넷 강의 활용이 높아지는 이유에 대해서는 농생명 산업 계열이 ‘방송이나 인터넷 강의가 짧은 시간에 학습 효과가 책으로 된 교재보다 크기 때문’과 ‘학생들이 교재보다 방송을 선호하기 때문’이 동일 비율로 높게 나타났다. 공업 계열은 ‘성공적인 직업생활 내용 중에서 어려운 법 관련 내용의 이해에 도움이 크기 때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들이 교재보다 방송을 선호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상업 정보 계열도 ‘성공적인 직업생활의 내용 중에서 어려운 법 관련 내용의 이해에 도움이 크기 때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방송이나 인터넷 강의가 짧은 시간에 학습 효과가 교재보디 크기 때문’이 다음으로 높았다. 수산·해운 계열은 ‘학생들이 교재보다 방송을 선호하기 때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방송이나 인터넷 강의가 짧은 시간에 학습 효과가 교재보다 크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두 번째로 높았다. 가사·실업 계열의 경우는 ‘방송이나 인터넷 강의가 짧은 시간에 학습 효과가 교재보다 크기 때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성공적인 직업생활의 내용 중에서 어려운 법 관련 내용의 이해에 도움이 크기 때문’라는 응답이 두 번째로 높았다. 이 결과로 볼 때, 성공적인 직업 생활에서 법과 관련된 내용이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 부분의 내용 학습에 있어서는 EBS 연계 교재의 방송이나 인터넷 강의가 짧은 시간에 학생들의 학습에 큰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Ⅴ. 결 론

2022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수능 직업탐구영역 성공적인 직업생활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 및 수능의 난이도 예측, EBS 연계 교재 활용 등에 관한 교사의 인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전문공통과목으로 처음 도입된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3학년에 편성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1학년, 2학년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비교할 때, 2022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시기에 성공적인 직업생활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은 3학년이 가장 많았으나 2학년에 편성 예정인 학교도 2015개정 교육과정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학생의 입장에서는 수능을 보는 경우 시험과목인 성공적인 직업생활이 3학년에 편성되는 것이 유리할 것이고, 취업을 하는 학생도 성공적인 직업생활의 교육과정 내용이 취업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에 3학년에 편성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2028학년도 수능에서 성공적인 직업생활 응시자 수 변화에 대해서는 현재와 비교할 때, ‘현재보다 감소’와 ‘현재와 유사’가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현재 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 경우에는 학령인구 감소로 현재보다 응시 인원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고(64%), 다음은 현 수능 체제에서는 직업탐구영역에 응시하지 않고도 수시로 대학을 갈 수 있기 때문에 줄어들 것으로 예상(36%)하였다. ‘현재보다 증가’ 할 것으로 예상(11.1%)한 경우에는 학령인구가 감소하면서 대학의 선발 인원보다 학생의 인원이 적어서 수능 직업탐구영역으로 원하는 대학에 가기가 쉬워지기 때문에 응시 인원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셋째,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 성공적인 직업생활 난이도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계열별로 차이가 있으나 주로 ‘현행 유지’ 및 ‘현행보다 약간 어렵게 출제’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수산·해운 계열의 경우에는 ‘현행보다 약간 쉽게 출제’가 가장 높게 나타나 계열별 의견을 반영한 출제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시하고 그 영향 정도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교육부의 수능 정책 변화가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새로운 2022개정 교육의 적용, 수능 직업탐구영역 기출문항 학습효과로 인한 수험생 수준의 변화가 높은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 EBS 연계 교재 활용도는 지금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 이유로는 수능과 연계되는 직업탐구영역 교재가 EBS 수능 특강 및 수능 완성이며, 이외에 참고할만한 도서가 거의 없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BS 연계 교재의 방송이나 인터넷 강의는 지금보다 활용도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 이유로는 성공적인 직업생활 교육과정 내에서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법과 관련된 내용으로 방송이나 인터넷 강의를 활용하면 효과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2022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수능 직업탐구영역 성공적인 직업생활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 및 수능의 난이도 예측, EBS 연계 교재 활용 등에 관한 교사의 인식 연구 결과를 토대로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성공적인 교육과정 적용 및 안착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 시험과목은 ‘성공적인 직업생활’ 과목만 시행되어 선택과목이 없어지게 되므로 계열별 유불리는 발생하지 않지만, 난이도 측면에서는 모든 계열에서 상이한 응시집단이 응시하기 때문에 난이도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좀 더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2028학년도 수능을 시행하기 전에 미리 대규모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계열에 따라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연구가 2028학년도 수능을 시행하기 전에 필요할 것이다.

둘째, 교육부의 명확한 시행 계획이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부의 기본 방향을 파악하여, 수능 직업탐구영역 응시 인원의 예측, 응시 집단의 수준 변화 예측, 성공적인 직업생활 기출 문항 학습 효과로 인한 영향 등 다양한 각도에서 수능 직업탐구영역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2028학년도 수능 직업탐구영역 성공적인 직업생활 출제 문항의 방향이나 난이도를 파악하는데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셋째,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 과목의 경우 2028학년도 수능 예시 문항을 개발하여 공개할 예정이다. 반면에 수능 직업탐구영역은 예시 문항 개발에서 제외되었는데 이는 시험과목 일부가 삭제되고 기존의 성공적인 직업생활 과목은 시험과목으로 그대로 유지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모든 직업계열의 학생이 유일하게 한 과목으로 응시하는 직업탐구영역의 경우에도 연구 지원을 통해 그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예시 문항을 개발하는 연구가 후속 연구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직업계고 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는 대부분 취업이지만 학생들이 진학을 원하는 경우에 수능 직업탐구영역으로 대학에 진학하게 된다. 수능에 직업탐구영역이 처음 도입되었을 때에는 시험과목의 수도 많고 수능 직업탐구영역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시험과목이 점점 줄어들면서 2028학년도부터는 한 과목으로 줄어들 예정이다. 현재 상태에서는 수능 직업탐구영역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소수의 학생들만이 수능 직업탐구영역에 응시한다고 하여도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마이스터고는 졸업 후 진로가 명확하게 취업으로 정해져있기 때문에 특성화고보다는 현실적으로 수능 직업탐구영역 응시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모든 학생들에게 공평하게 진학의 자율권을 보장하는 측면에서 마이스터고 학생들에게도 자유롭게 본인의 의사에 따라 대학 진학이 쉽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시험 체제, 시험 시행, 난이도,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교육 정책, 교육과정 적용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구가 활성화 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References

  • Hahm SY(2007). Consideration on Industry Department Test of Vocational Education Area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Journal of industrial education, 32(2), 23~46.
  • Hahm SY(2013a). Perception on Outcomes and Challeng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by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5(5), 1148~1164. [https://doi.org/10.13000/JFMSE.2013.25.5.1148]
  • Hahm SY(2013b).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Percep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n Choosing a Career Trend and Rate of Apply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3(3), 151~168.
  • Hahm SY(2013c). Change on the Characteristics of Applying Group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by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Percep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5(6), 1389~1407. [https://doi.org/10.13000/JFMSE.2013.25.6.1389]
  • Hahm SY(2015). The Qualitative Study on Application Types and Using Methodology of EBS-CSAT Prep Books of Vocation Education Division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7(6), 1556~1568. [https://doi.org/10.13000/JFMSE.2015.27.6.1556]
  • Hahm SY(2018). The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eacher’s Perceptions about Test Subjects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Bas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7(4), 1~22. [https://doi.org/10.37210/JVER.2018.37.4.1]
  • Jeon YS, KIim DW, Kim KO, Park JK, Shin JS, Lee KH, Lee SY and Choi YS(2004). A Study on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of Vocational Inquiry Section for 2005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Focus on Accounting Principles Subject in the Field of Commercial Order.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8(1), 1~30.
  • Kim JG, Lee SJ, LEE KH, Kim BS and Ahn JM(2004). A Study on Developing Assessment Framework for Vocational Education Test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36(1), 69~87.
  • Kim JG and Lee JB(2005).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Agricultural High Schools according to Vocational Education Test Establishment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37(4), 135~162.
  • Kim JG(2009). Analysis of the Influential Fac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 Difficulty on the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Subject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1(3), 1~39. [https://doi.org/10.23840/agehrd.2009.41.3.1]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2024). Learning method for learning method for learning compared to college math ability for 2025
  • Lee YS, Kim SW and Lee BW(2003). A study on the model of developing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tools for the vocation inquiry section-related subject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2(3), 43~71.
  • Lee YS, Lee BW and Bae DY(2005). Study of Investigation the Present States of Operat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e in Relation to Vocation Inquiry Section. Journal of industrial education, 30(2), 23~32.
  • Lee KH(2008).  A Study on the analysis of accounting principle questions in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of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Korean Computers and Accounting Review, 7(1), 51~81.
  • Ministry of Education(2023). In 2028, the integrated evaluation without elective courses for national, examination, and exploration of the CSAT will be introduced as a 9th grade system for school grades and a 5th grade system from 2025, 2023. 10.10.(TUE)
  • Ministry of education &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2023).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 Ministry of education &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2024).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 Park YS(2008). An Analysis on the Fitness of Assessment Problem of Vocational Inquiry Section for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ocused on Commercial Economy Subject in the Field of Commercial Order-,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19(1), 1~19.
  • Yoon IK and Choi YS(2009). The Analysis on the question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f the Career exploration area-Focused on ‘Human Development’ Subject in the Lyrics Department-.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8(1), 1~23.

[Fig. 1]

[Fig. 1]
Assessment domain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CSAT.(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2024). Learning method for learning method for learning compared to college math ability for 2025)

[Fig. 2]

[Fig. 2]
Behavioral domain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CSAT.(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2024). Learning method for learning method for learning compared to college math ability for 2025)

<Table 1>

Change to test subjects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ivision Essential Subjects Common Subject Basic Subjects Division Common Subject
Agriculture -Agriculture comprehension
-Basic technical agriculture
Successful career life -Basic technical agriculture Agriculture
·fisheries
·marine
Successful
career life
Industry -Basic industry
-Basic drafting
-Basic industry Construction
Commerce -Commercial economy
-Account princicles
-Commercial economy Management·finance
Fisheries·marine -Ocean comprehension
-Basic fisheries·marine industry
-Basic fisheries·marine industry Agriculture
·fisheries
·marine
Home economics -Human development
-Living service industry comprehension
-Human development Health
·welfare

<Table 2>

Compared with 2015 and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contents of ‘successful career lif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1. Job and work life - Value of job and work
- Meaning of work life Developmental lifetime and vacational success
1. Job and work - Value of job and work
Developmental lifetime and vacational success
2. Enterprise and industry activity Enterprise and enterprise activity
Manufacturing industry and manufacturing products
Service industry and service manufacturing
2. Course vocation design and vocational basic ability - Inquiry and design of course vocation
- Kind of vocational basic ability
- Development of vocational basic ability
3.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and lifelong education Development and kind of vocational basic ability
Career development and meaning of lifelong education
Job accomplishment ability
3. Employment and enterprise - Decision making and employment
Employment plan and seeking employment activity Interview and image making
- Procedures employment and practice
4. Employment and enterprise - Decision making and employment
- Employment and enterprise spiritual strength
- Employment plan and seeking employment activity
4. Vocational life and ethics - Understanding of work life Job relationship
- Vocational ethics and matters
5. Working relation and industry safety - Working relation law Employment sevice and society system
- Industry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Cooperative labor and company
5. Working relation and industry safety - Working relation law Employment sevice and society system
- Cooperative labor and company Industry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6. Vocational ethics and society - Vocational matters and ethics
- Future vocational society
6. Career management and lifelong education - Career management and development
- Lifelong education
- Future society and vocational world changes

<Table 3>

Vocational education specialized high schools students by division

Year Students by division total
Agriculture Industry Commerce Fisheries·marine Home economics
2023 11,069 78,827 66,184 957 15,815 172,852
2024 10,935 75,473 61,009 927 20,544 168,888

<Table 4>

Questionnaries design

division items object tests subjective tests Cronbach Alpha for this study
School curriculum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3
(including subdivision 2 items)
- School curriculum of ‘Successful career life’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ason of choice .636
.771
- School curriculum of ‘Successful career life’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ason of choice .584
Reduction of school aged students 1 - Participants change of ‘successful career life’ in CSAT 2028 Reason of choice .652
Affected factors related degree of difficulty 6 - Degree of difficulty of ‘successful career life’ in CSAT 2028
Affected factors related degree of difficulty of ‘successful career life’ in CSAT 2028
- .669
.721
.629
.526
.668
.653
.657
Change of test sbujects and curriculum 1 - Change test subject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CSAT 2028 - .821
EBS 2 Using of EBS-CSAT prep books
Using of EBS-CSAT broadcast and internet lectures
Reason of choice .599
.612

<Table 5>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classification N % total
Division Agriculture 6 16.7 36
Industry 9 25.0
Commerce 8 13.8
Fisheries·marine 6 16.7
Home economics 7 19.4
Type of school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33 91.7 36
Meister high school 0 0.0
Vocational subdivision in high school 3 8.3

<Table 6>

School curriculum of‘Successful career life’i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chool year division total(%)
Agriculture Industry Commerce Fisheries·marine Home economics
grade 1 2 0 0 4 1 7(19.4)
grade 2 0 2 1 2 0 5(13.9)
grade 3 4 7 7 0 3 21(58.3)
no planning 0 0 0 0 3(high school) 3(8.3)
total 6 9 8 6 7 36(100)

<Table 7>

School curriculum of‘Successful career life’in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chool year division total(%)
Agriculture Industry Commerce Fisheries·marine Home economics
grade 1 1 0 1 4 1 7(19.4)
grade 2 1 2 2 2 0 7(19.4)
grade 3 4 7 5 0 3 19(52.8)
no planning 0 0 0 0 3(high school) 3(8.3)
total 6 9 8 6 7 36(100)

<Table 8>

Participants change of‘Successful career life’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CAST 2028

school year division total(%)
Agriculture Industry Commerce Fisheries·marine Home economics
decrease 4 1 5 5 1 16(44.4)
stationary 2 5 3 1 5 16(44.4)
increase 0 3 0 0 1 4(11.1)
total 6 9 8 6 7 36(100)

<Table 9>

Degree of difficulty of‘successful career life’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CAST 2028

division degree of difficulty total(%)
very difficult difficult stationary easy very easy
Agriculture - 2 2 2 - 6(3.0)
Industry 1 3 4 - - 9(2.4)
Commerce 1 2 5 - - 8(2.5)
Fisheries·marine - - 1 4 1 6(4.0)
Home economics - 1 6 - - 7(2.8)
total 2 8 18 6 1 36(2.94)

<Table 10>

Affected factors related degree of difficulty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CAST

items Affected factors related degree of difficulty total(%)
no effect common great effect
Apply to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0(0.0) 6(16.7) 9(25.0) 17(47.2) 4(11.1) 36(100)
Learning effect of CAST items 0(0.0) 3(8.3) 6(16.7) 17(47.2) 10(27.8) 36(100)
Lack freshmen and decline scholastic level 1(2.8) 4(11.1) 4(11.1) 22(61.1) 5(13.9) 36(100)
Participants change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CSAT 0(0.0) 1(2.8) 8(22.2) 15(41.7) 12(33.3) 36(100)
Using of EBS-CSAT prep books 0(0.0) 0(0.0) 11(30.6) 16(44.4) 9(25.0) 36(100)
Change of CAST policy 0(0.0) 0(0.0) 8(22.2) 13(36.1) 15(41.7) 36(100)

<Table 11>

Using of EBS-CSAT prep books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CAST

division Using of EBS-CSAT prep books total
very increase increase stationary decrease very decrease
Agriculture - - 1 5 - 6
Industry - - - 5 4 9
Commerce - - 1 7 - 8
Fisheries·marine - - - 3 1 4
Home economics - - - 4 2 6
total 0 0 2 24 7 33

<Table 12>

Using of EBS-CSAT broadcast and internet lectures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CAST 2028

division Using of EBS-CSAT broadcast and internet lectures total
very increase increase stationary decrease very decrease
Agriculture - - 1 4 1 6
Industry - - - 3 6 9
Commerce - - 1 6 1 8
Fisheries·marine - - 1 3 - 4
Home economics - - 1 3 2 6
total 0 0 4 19 10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