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0, No. 2, pp.690-699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8
Received 23 Jan 2018 Revised 06 Mar 2018 Accepted 22 Mar 2018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18.04.30.2.690

특성화고 체육교사의 지도유형이 학생의 수업몰입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진호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The Effect of Teaching Styl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on Student Class Flow and Class Satisfaction
Jin-Ho CHO
Incheon Marine Science High School

Correspondence to: 032-627-6941, 75jino@hanmail.ne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eaching styles P.E. teacher’s affect students class flow and satisfaction.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people who study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in Incheon.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for the survey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and 13 of them were excepted from the data. Finally, 332 sampl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questionnaire what was used SPSS ver 21.0 was composed of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teaching style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lass flow. Second, teaching style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lass satisfaction. Third, The class involvement perceived by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had som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 In conclusion,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voluntarily and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es and to provide diverse contents and environments. These efforts will eventually lead to students' flow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classes.

Keywords:

Teaching styles, Class flow, Class satisfaction, P.E. teache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Ⅰ. 서 론

‘정부부처의 특성화 전문계고 육성계획’이 2007년 발표된 이후, 현대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특정분야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특성화고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Kim & Choe, 2015). 특성화고는 적성 중심의 학생 선발 원칙을 세우고 있으며, 중등단계 직업교육의 중추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특성화고는 기존의 실업계고등학교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학생과 학부모로부터 성적이 부진한 학생이 진학하는 곳이라는 인식이 팽배하다. 이를 반영하듯, 특성화고의 많은 학생들은 흥미와 적성을 고려하기보다 성적에 맞추어 입학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특성화고 학생들은 이전 교육과정에서 형성된 성적에 대한 열등감과 실패감을 가지고 있으며(Na & Ma, 2005), 잦은 조퇴와 무단결석, 그리고 불성실한 수업태도로 인해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습결손 누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열등감과 실패감을 더욱 강화되며, 학업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현실에서 본 연구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체육수업은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 기여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Kim & Kim, 2013; Kim et al., 2011),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력을 높여주고 수 있는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특성화고 체육교사 지도유형이 학생의 수업 몰입과 체육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교사 지도유형이란 학생의 긍정적 학업수행과 그 결과를 위해 교사가 행동하는 모든 기술과 과정을 의미한다. Chelladurai(1978)는 지도행동 유형을 LBDQ(Leadership Behavior Description Questionnaire)를 근간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훈련과 지시행동, 권위적 지도행동, 민주적 지도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피드백행동 등 5가지로 분류한 후 구성된 LSS(Leadership Scale for Sport)를 코치의 리더십 측정 도구로 개발하였다.

Nam & Lee(2010)은 체육교사의 지도유형을 자율적 교수행동과 통제적 교수행동으로 구분하여 중학생의 체육수업몰입 및 체육교과태도에 미치는 영향 등을 통해 교사의 지도유형과 학생들이 인식하는 수업몰입과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자율적 교수행동이 학생들의 체육수업몰입 및 체육교과태도에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또한 체육교사의 지도유형과 학생들의 체육교과에 대한 학습태도와 수업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Song, 2000; Hersey & Blanchard, 1982)에 의하면 지도유형을 지도형, 판촉형, 동참형, 위임형으로 구분하였으며, Park & Sin(2003)은 참여적 지도유형이 학생들로 하여금 체육수업 만족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에서 교수효율성, 학습성취도,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교사 지도행동유형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수업몰입(class flow)은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자발적으로 관여하고, 수업을 통하여 지식을 습득하며, 기술을 숙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수업에 집중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Song & Lee, 2014). 수업몰입 연구는 학생들의 학교 부적응이나 학업중단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특히 몰입연구는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Park & Kim, 2006), 이와 함께 수업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규명하는 연구도 활발히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서 실제 교수-학습상황에 적용하기 위한 실천적인 이론으로 발전시키고자 하였다(Kim, 2008). 학생들이 수업에 대한 몰입과 흥미를 가진다는 것은 학습결과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교사 지도유형을 알고 있는 것은 학습을 지도함에 있어 상당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Yun & Kim, 2003). 이는 교사의 지도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수업몰입이 좌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Prochaska et al., 2003).

수업만족도의 개념으로 Kim(2007)은 학생들의 과제 수행, 다른 학생들과의 사회적 관계, 교사의 행동 등에 대하여 기대하는 정도와 실제 인식하는 정도의 차이를 주관적으로 지각하여 평가하는 욕구수준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교사가 동일한 교수학습 내용을 가르치더라도, 교수학습 활동 계획에서 교수학습 방법, 수업전략을 다르게 적용하는 것처럼, 어떤 교사가 어떤 방식으로 수업하는지에 따라 학생들의 수업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Lee, 2006). 체육교과 수업만족도에 대한 요인으로 Shin & Choi(2011)의 연구에서는 체육환경, 운동능력, 교수행동으로 구성하였으며, Jung(2011)는 수업만족의 구성요인을 수업운영, 수업지도, 수업환경, 건강생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만족도의 구성요인을 교사행동만족, 운동능력만족, 체육환경만족 요소로 구성하였는데, 왜냐하면 Lim, Won & Kim(2015)의 연구에서 체육수업에서 성취목표는 수업만족의 환경만족, 능력만족, 행동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체육수업 만족이 높을수록 정신건강 및 학업성적 등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Kim & Jung, 2012), 체육활동 참여가 학업성적 및 성취도와 관련된 스트레스를 낮춘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Kim, Hwang & Chung, 2012). 즉, 체육수업만족이 학생의 학업중단율 감소와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특성화고 학생들이 인식하는 체육수업지도유형에 따른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특성화고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이 인식하는 지도유형, 수업몰입, 수업만족 간의 관계를 살핀 연구는 문헌조사 결과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성화고 학생들이 인식하는 체육교사의 지도유형이 학생들의 수업몰입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체육교사의 지도유형은 학생의 수업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특성화고 체육교사의 지도유형은 학생의 수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특성화고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의 수업몰입은 수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총 350명의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유층군집표집방법을 사용하여 표집하였다. 본 연구자가 직접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설문지 작성 후 즉시 회수하였다. 회수된 자료 중 불성실한 응답자료 18부를 제외한 332부를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2. 측정변인

본 연구에 사용한 설문지의 구성 내용은 연구대상자의 기초 배경(성별, 학년, 계열)을 알아보는 문항과 특성화고 교사의 지도유형 문항, 학생의 수업몰입 문항, 수업만족도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리커트 5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특성화고 교사 지도유형 설문지는 Chelladurai와 Saleh(1978)가 개발한 교수행동척도를 활용한 연구(Kwon, 2001)에 사용된 설문문항을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교수지도유형 설문지는 네 가지 하위요인인 사회지지 행동형, 민주적 행동형, 긍정적 보상형, 교수·지시 행동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학 전공 교수 1인과 교육학 전공 박사 2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을 통해 안면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안면타당도 검증에서 검증된 27개의 문항을 바탕으로 2017년 8월 예비조사를 특성화고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예비조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16개의 문항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업몰입 문항은 Csikszentmihalyi(1975)에 의해 개발된 척도를 바탕으로 Kim(2008), Schilling (2009)이 개발한 도구를 본 연구의 특성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업몰입 설문지는 세 가지 하위요인인 감정몰입, 행동몰입, 인지몰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문가 집단을 통해 안면타당도 검증에서 검증된 11개의 문항을 바탕으로 2017년 8월 예비조사를 특성화고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예비조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10개의 문항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업만족도는 문항은 Park(1993)이 개발한 직무만족도 검사척도를 Kwon(2001)Lee(2007)의 연구에서 활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업만족도 설문지는 세 가지 하위요인인 교사행동만족, 운동능력만족 체육환경만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문가 집단을 통해 안면타당도 검증에서 검증된 27개의 문항을 바탕으로 2017년 8월 예비조사를 특성화고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예비조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17개의 문항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IBM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은 주성분 추출방법(principal components analysis)중 베리맥스(Varimax) 회전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고유치(eigenvalue) 1.0 이상, 요인적재치 .5이상을 요인화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연구변인들을 대상으로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행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체육교사 지도유형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사회지지 행동형 5문항, 민주적 행동형 4문항, 긍정적 보상형 3문항, 교수·지시 행동형 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요인부하량은 사회적지지 행동형 .707-.838, 민주적 행동형 .663-.804, 긍정적 보상형 .759-.853, 교수­지시형 628-853으로 모든 문항이 .6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누적 설명력은 63.94%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각 요인별 신뢰도는 .718-.833으로 나타났으며, Bartlett 구형성 검증유의확률은 .000이며 KMO(Kaiser-Meyer -Olkin)는 .723으로 나타나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 선정이 적절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2>에 제시되어 있다.

P.E. Teacher teaching styles Factor Analysis Result

수업몰입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감정몰입 4문항, 행동몰입 3문항, 인지몰입 3문항 등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요인 추출 결과 3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요인부하량은 감정몰입 .779-.846, 행동몰입 .812-.865, 인지몰입 .695-.853으로 모든 문항이 .6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누적 설명력은 70.05%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각 요인별 신뢰도는 .746-.850로 나타났으며, Bartlett 구형성 검증은 599.42일 때 유의확률은 .000이고 KMO는 .760으로 나타나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 선정이 적절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수업몰입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Class flow Factor Analysis Result

수업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교사행동만족 6문항, 운동능력만족 6문항, 체육환경만족 5문항 등 총 1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요인의 부하량은 교사행동만족 .772-.836, 운동능력만족 .701-.830, 체육환경만족 .758-.827로 모든 문항이 .6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누적 설명력은 66.01%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각 요인별 신뢰도는 .876.-898로 나타났으며, Bartlett 구형성 검증은 1558.59일 때 유의확률은 .000이고 KMO는 .828로 나타나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 선정이 적절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Class Satisfaction Factor Analysis Result


Ⅲ. 연구 결과

1. 체육교사의 지도유형, 수업몰입, 수업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에서는 변인간의 독립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구체적으로는 상관계수가 .282-.689이며, 행동몰입, 교사행동만족, 체육환경만족의 일부 하위변인의 경우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나머지 모든 변인이 .05수준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에서 사용될 변인들 간의 상관계수 값은 .6이하로 나타났기 때문에 회귀분석에서의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Kline, 2005). 다중공선성은 회귀분석에서 회귀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Durbin-Watson 값(2에 가까운 수치 독립성 인정), 다중공선성 공차한계(multicollinearity tolerance), 다중공선성 분산팽창계수(multicollinearity variance inflation factor)를 살펴보았으며, 부적합한 회귀모형은 발견되지 않았다.

correlation analysis

2. 체육교사의 지도유형과 수업몰입의 관계

첫 번째 연구문제인 특성화고 체육교사의 지도유형이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Multiple regression analysis(N=332)

<Table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체육교사의 지도유형은 수업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체육교사 지도유형의 하위변인인 사회적지지 행동형(t=2.616, p<.01), 민주적 행동형(t=2.877, p<.01), 긍정적 보상형(t=2.178, p<.05), 교수-지시형(t=4.206, p<.001)은 모두 수업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 모형의 설명력은 18%로 확인되었다(R²=.180, F=17.915, p<.001). 표준화 회귀계수(β)에 의하면 지도유형 중 교수-지시형이 .229로 수업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민주적행동형 .229, 사회직지지행동형은 .135, 긍정적 보상형은 .118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체육교사의 지도유형과 수업만족도의 관계

두 번째 연구문제인 특성화고 체육교사의 지도유형은 수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Table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체육교사의 지도유형은 수업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체육교사 지도유형의 하위변인인 민주적 행동형(t=5.438, p<.001)과 교수-지시형(t=2.550, p<.05)이 수업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 행동형(t=.504, p>.05)과 긍정적 보상형(t=.126, p>.05)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 모형의 설명력은 15.8%(R²=.158, F=15.289, p<.001)로 나타났으며, 표준화 회귀계수(β)에 의하면 민주적행동형이 .314, 교수-지시형은 .114로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사회직지지행동형은 .026, 긍정적 보상형이 .007 순으로 나타났다.

4. 수업몰입과 수업만족도의 관계

세 번째 연구문제인 특성화고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의 수업몰입은 수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Table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수업몰입은 수업만족도에 일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수업몰입 중 감정몰입(t=4.787, p<.001)과 인지몰입(t=5.612, p<.001)은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동몰입(t=.252, p>.05)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 모형의 설명력은 20.7%로 나타났으며(R²=.207, F=28.576, p<.001), 표준화 회귀계수(β)에 의하면 감정몰입이 .254와 인지몰입 .296 순으로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행동몰입이 .013 으로 나타났다.


Ⅳ.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체육교사의 지도유형이 학생들의 수업몰입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교사의 지도유형은 수업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체육교사의 교수-지시형, 민주적 행동형, 사회적지지 행동형, 긍정적 보상형이 높을수록 수업에 대한 몰두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특성화고 학생에 있어 교수-지시형의 경우 체육교과의 교육의 도구인 ‘신체활동’ 능력 향상을 위해 수업몰입을 높여주는데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Chung & Shin(2012)의 연구에서 교사가 학생의 개인차를 고려하고 개인의 특성에 부합하는 학습방법을 적용할 때 수업몰입을 높일 수 있다는 점도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특성화고 체육교사의 경우 학생들이 체육수업을 통해 신체적인 움직임을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향성을 가시적으로 제시할 때 학생들은 체육수업에 좀 더 몰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체육교사의 지도유형은 수업만족도에 일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민주적 행동형과 교수-지시형은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 행동형과 긍정적 보상형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Son(2004), Kim(2005), Shin(2007)의 연구결과에서 교수-지시형, 민주적 행동형이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도 본 연구결과를 지지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특성화고 체육수업에 있어 학생들 스스로가 학습주제를 선정하고 평가 과정에도 참여하는 수업 자발성을 높여주는 형태의 수업디자인이 이루어진 다음 교사에 의해 구체적인 학습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단계별 점검 및 피드백을 실행하는 형태의 교수유형을 지향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특성화고 체육교과 수업몰입은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일부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몰입 중 감정몰입과 인지몰입은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동몰입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 & Kim(2009)의 연구에서 수업몰입이 수업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체육교사는 학생들이 수업에서 보다 많은 몰입을 할 수 있도록 수업을 디자인해야 하고 구체적인 교수방법을 계획, 실천해야 하는데 이는 학생들의 특성과 수업상황이 고려된 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특성화고 체육교사는 학생들이 수업에 몰입할 수 있게 감정몰입과 인지몰입을 유발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러한 노력이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몰입을 경험하게 하고, 수업만족도 또한 높아질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변인간의 영향관계만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나,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의 차이와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함께 규명하는 연구 역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체육교사의 지도유형과 관련된 연구는 성별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보이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성별에 따른 학급구성이나, 체육교사 성별, 그리고 주관적 운동능력에 따른 인식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이 연구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질문지에 따른 양적인 연구에 다양한 변수와 정의적인 외생변수를 찾아내기 위한 질적 연구가 병행되어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문제는 향후 특성화고 교과교육 및 체육교사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꼭 필요하고 고려해봐야 할 문제이다.

References

  • Borich, G. D., (1990), Observation skills for effective teaching, Columbus, OH, Merrill.
  • Chae, G. S., (1997), (The) Relationships among the degree of congruence of preferred and perceived coaching behavior and member satisfaction and cohesion,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Chelladurai, P., & Saleh, S. D., (1978), Preferred leadership in sports, Canadian Journal of Applied Sport Sciences, 3, p85-92.
  • Chung, J. W., & Shin, H. K., (2012), Investigation of Teachers` Perception about Differentiated Music Instruction,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41(2), p309-338.
  • Csikszentmihalyi, M., (1975), Play and intrinsic rewards,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15(3), p41-63.
  • Han, S. S., (2012), A How professors’ teaching types influence on lecture concentration and learning attitudes in Dance Sports Lecture of Dance of Cultural Subject at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1(2), p653-667.
  • Hersey, P., & Blanchard, K. H., (1982),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behavior: Utilizing human resource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Jung, S. W., (2011),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education class recognition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intention to exercise adherence in elementary schoolchild, Ph.D.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 Kim, C. H., (2007), The Relationships amo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style, Students` Lesson Satisfaction and Physical Education Attitude,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4(3), p41-54.
  • Kim, C. H., (200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low scale for physical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5(2), p65-81.
  • Kim, D. H., & Kim, G. O., (2009), Relationship between Switching barriers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of Indoor Golf Exercise Ground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18(4), p683-694.
  • Kim, H. W., & Kim, O. J., (2013), Effects of Internal Motivation on Sources of Enjoyment and School Adjust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port, 11(2), p15-29.
  • Kim, Heung-Tae, Yoon, So-Min, & Choi, Kyoung-Ho, (2011), A Study on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School Adaptive,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5(4), p69-76. [https://doi.org/10.21184/jkeia.2011.12.5.4.69]
  • Kim, Jong-Ho, & Jung, Chung-Wook, (2012), Relation Between Mental Health and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Teenagers in Accordance with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y,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21(6), p553-570.
  • Kim, Mi-Kyung, Kim, Yang-Hee, Hwang, Sa-Rah, & Chung, Ick-Joong, (2012), The Effect of School Grades on Academic Stress in Adolescenc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Journal of Youth Welfare, 14(4), p165-187.
  • Kim, S. K., Jeon, C. Y., Ka, K. H., (2013),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Behavioral Influence on Student Attitudes in the Korean High School Setting,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0(4), p277-286.
  • Kim, T. H., (2005), The satisfaction o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in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eaching style,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 Kim, Y. H., & Choe, B. Y., (2015), Adjustment process of Youth who quit vocational high school,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12(1), p27-55.
  • Kwon, S. S., (2001), (A) Study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on P.E. Class According to the Teaching Pattern,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 Lee, J. H., (2007), An Influence of Middle School's Taekwondo Trainees' Self-Esteem on School Life Adjustment,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9(3), p309-324.
  • Lee, M. R., (2006), The effect of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with physical teacher's personality type and teaching style,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15(2), p143-152.
  • Lim, Jong-Ho, Won, Ju-Yean, & Kim, Chang-Lim, (2015), The Relationships among Achievement Goals Orientation and Class Satisfaction for Physical Education Of Adolescen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62, p651-658.
  • Na, S. I., & Ma, S. J., (2005), Discriminating Variables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RD, 37(4), p61-80.
  • Nam, I. S., & Lee, G. B., (2010), The Effect of the Teacher's teaching styles on Physical Education Flow and Physical Education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19(2), p991-1003.
  • Park, S. I., & Kim, Y. K., (2006), An Inquiry on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Flow Factors, Flow Level, Achievement under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4(1), p93-115.
  • Park, S. Y., (1993), (The)relationships among components of equity,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Ph.D.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 Park, Yun-Sig, & Sin, Jeong-Taeg, (2003), The Effect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struction Type on Teacher Satisf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42(6), p331-339.
  • Prochaska, J. J·, Sallis, J. F., Slymen, D. J., & McKenzie, T. L., (2003), A Longitudinal Study of Children’s Enjoyment of Physical Education, Pediatric Exercise Science, 15, p170-178. [https://doi.org/10.1123/pes.15.2.170]
  • Schilling, J. C., (2009),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variability and contextual sources related to the academic flow of minority and economically disadvantaged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Virginia, Virginia.
  • Shin, Ji-Hwan, (2007), (The) research into th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guidance types, Master’s Thesis, Chung-An University.
  • Shin, S. M., & Choi, O. J., (2011), The Influence of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struction Type on Class satisfaction of Students, The Korea Journal of Sport, 9(2), p245-253.
  • Son, S. H., (2004), The influence that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guidance type has on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of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Song, Chan-Seub, (2000), A Study on Leadership Styles of Heads Teachers of Physical Education in Middle School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Song, K. W., & Lee, C. H.,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Group and Academic flow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Korean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14(3), p125-148.
  • Yun, Mi-Seon, & Kim, Seong-Il, (2003), Study on Constructs of subject-specific interests and Its Relat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p271-290.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Division N %
Gender male 203 61.1
female 129 38.9
Grade Grade 1 104 31.3
Grade 2 159 47.9
Grade 3 69 20.8
Major industry 130 39.2
Commerce 74 22.3
Home-Economics 59 17.8
Fisheries and Shipping 69 20.8
Total 332 100.0

<Table 2>

P.E. Teacher teaching styles Factor Analysis Result

Factor Qua 1 2 3 4 Cronbach's α
Social Support
Behavior
A9 .838 .084 -.142 .070 .833
A10 .799 .081 .135 -.011
A6 .747 -.164 .020 .092
A13 .718 .170 .062 .034
A16 .707 -.030 .267 -.029
Democratic Behavior A7 -.010 .804 .275 .046 .766
A22 .007 .732 -.005 .270
A11 .285 .729 -.017 .110
A18 -.139 .663 .294 .179
Positive Behavior A25 .011 -.028 .853 -.035 .804
A20 .143 .237 .820 -.024
A12 .150 .236 .759 .116
Instruction-Instruction
Behavior
A3 -.024 .076 .100 .853 .718
A5 .145 .159 -.125 .750
A1 .309 .216 -.151 .645
A27 -.179 .129 .210 .628
eigenvalue 3.97 2.78 2.20 1.29
Var(%) 24.84 17.36 13.71 80.3
Cumulative Var(%) 24.84 42.20 55.91 63.94
KMO(Kaiser-Meyer-Olkin) .723
Bartlett' Test of Sphericity Chi-Square 981.02
df(p) 120(.000)

<Table 3>

Class flow Factor Analysis Result

Factor Qua 1 2 3 Cronbach's α
Emotional
flow
B1 .846 .040 .172 .850
B3 .843 .095 .098
B4 .795 -.058 .189
B2 .779 .070 .193
Behavioral
flow
B9 .020 .865 -.077 .807
B10 .035 .862 .045
B11 .059 .812 .098
Cognitive
flow
B7 .149 .128 .853 .746
B6 .158 .021 .840
B8 .221 -.067 .695
eigenvalue 3.48 2.13 1.40
Var(%) 34.79 21.34 13.91
Cumulative Var(%) 34.79 56.14 70.05
KMO(Kaiser-Meyer-Olkin) .760
Bartlett' Test of Sphericity Chi-Square 599.42
df(p) 45(.000)

<Table 4>

Class Satisfaction Factor Analysis Result

Factor Qua 1 2 3 Cronbach's α
Teacher Behavior Satisfaction C21 .836 -.021 -.101 .833
C19 .835 -.010 .065
C1 .821 .090 -.020
C22 .805 -.121 -.162
C23 .791 -.130 -.101
C2 .772 .128 -.086
Exercise Ability Satisfaction C5 -.042 .830 .080 .766
C8 -.027 .820 .069
C3 .021 .808 .227
C4 -.018 .800 .051
C6 -.005 .751 .110
C9 .021 .701 .019
Athletic Environment Satisfaction C26 -.098 .064 .856 .718
C25 -.083 .161 .849
C27 -.140 .053 .844
C28 -.084 .086 .805
C20 .030 .112 .681
eigenvalue 4.80 3.80 2.60
Var(%) 28.35 22.35 15.30
Cumulative Var(%) 28.35 50.71 66.01
KMO(Kaiser-Meyer-Olkin) .828
Bartlett' Test of Sphericity Chi-Square 1558.59
df(p) 136(.000)

<Table 5>

correlation analysis

Variable 1 2 3 4 5 6 7 8 9 10
*p<.05
**p<.01
1 Social support behavior 1
2 Democratic behavior .117* 1
3 Positive behavior .230** .326** 1
4 Instruction-Instruction
behavior
.109* .387** .140* 1
5 Emotional flow .134* .262** .167** .268** 1
6 Behavioral flow .025 .077 .059 .078 .122* 1
7 Cognitive flow .276** .302** .264** .330** .358** .067 1
8 Teacher behavior satisfaction .104 .234** .003 .053 .323** .248** .356** 1
9 Exercise ability satisfaction .140* .338** .236** .203** .226** -.026 .235** -.035 1
10 Environment satisfaction -.094 .104 .022 .227** .089 -.125 .099 -.175* .236** 1

<Table 6>

Multiple regression analysis(N=332)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β t p Tolerance VIF DW F R2
*p<.05
**p<.01
***p<.001
VIF=Variation Inflation Factor
DW=Durbin-Watson
Class flow
(M=3.57, SD=.41)
Social support behavior
(M=3.48, SD=.64)
.135 2.616 .009** .941 1.063 2.05 17.92 .180
Democratic behavior
(M=3.59, SD=.59)
.164 2.877 .004** .775 1.291
Positive behavior
(M=3.54, SD=.61)
.118 2.178 .030* .857 1.167
Instruction-Instruction
(M=3.57, SD=.52)
.229 4.206 .000*** .846 1.182
Class satisfaction
(M=3.50, SD=.42)
Social support behavior
(M=3.48, SD=.64)
.026 .504 .615 .941 1.063 1.80 15.29 .158
Democratic behavior
(M=3.59, SD=.59)
.314 5.438 .000*** .775 1.291
Positive behavior
(M=3.54, SD=.61)
.007 .126 .900 .857 1.167
Instruction-Instruction(M=3.57, SD=.52) .141 2.550 .011* .846 1.182
Class satisfaction
(M=3.50, SD=.42)
Emotional flow
(M=3.40, SD=.92)
.253 4.787 .000*** .865 1.155 1.77 28.58 .207
Behavioral flow
(M=3.81, SD=.84)
.013 .252 .801 .979 1.021
Cognitive flow
(M=3.70, SD=.87)
.296 5.612 .000*** .867 1.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