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4, No. 6, pp.1097-1112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2
Received 31 Oct 2022 Revised 28 Nov 2022 Accepted 06 Dec 2022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2.12.34.6.1097

델파이 방법을 이용한 대학 요트수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모색

장재용* ; 김민수** ; 정상훈
*한국해양대학교(교수)
**한국해양대학교(학생)
한국해양대학교(연구교수)
Exploring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University Yacht Class Using the Delphi Method
Jae-Yong JANG* ; Min-Su KIM** ; Sang-Hoon JEONG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professor)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student)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research professor)

Correspondence to: sanghoon99@hanmail.ne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university yacht classes and suggest improvement using the delphi method measures to promote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university yacht classes and further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rowth of marine leisure sports in universities. A group of experts involved in university yacht classes was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a total of 9 university yacht experts, university yacht administrators, and university yacht leaders were surveyed and studied using a purposeful sampling. Data processing analyzed the median, quartile, number of responses, and average for the degree of changeability and hope based on the linear formula,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s of university yacht classes were the lack of professional leaders, the lack of theory and practical skills, the qualty of classes decreased due to excessive staffing, the lack of post-class evaluation, the lack of equipment necessary for classes, and the lack of equipment storage facilities. Second,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roblems of university yacht classes were derived by training professional leaders, introducing self-directed education methods, organizing appropriate class personnel, applying systematic class programs step by step, supplying many equipment, and securing equipment storage facilities. Third, the possibility and degree of hope for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yacht classes are highly likely to change and favor the degree of hope, such as securing a sense of safety and ethics, systematic post-evaluation after practice, centralized class due to weather problems, insurance registration and transfer of safety-related equipment.

Keywords:

Marine sports, Yacht class, Yacht instructor, Yacht program, Yacht facility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해양레저스포츠는 익숙해 있던 육상을 떠나 새로운 환경인 바다에서 활동하므로 모험과 도전의 욕구를 증가시키는데 이로 인해 젊은 층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Lim and Kim 2019). 해양레저스포츠 중의 하나인 요트는 엔진 동력이 없고 순수한 바람을 이용해 추진하는 원리로 자연친화적인 모험스포츠이며 최근 딩기의 경기 단체가 해양레저스포츠를 주도함으로써 해양레저 인구 유입의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다.

요트를 타면 자연에 몸이 적응해가는 것을 체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친 파도와 강풍에도 맞설 수 있는 강인한 체력과 정신력도 길러진다. 이와 같이 레저여가활동으로서의 요트를 발전 및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대학 수업의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서 전문지식을 배워야 한다. 따라서 요트 저변확대를 위해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요트를 대학 수업으로 연계하여 교육 및 체험하게 함으로써 대학생들에게 사회적·정서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미래 지향적인 인프라 구축과 나아가 요트 관련 동아리, 동호회 등을 더욱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고비용의 사치스포츠, 해양관련 안전문제, 요트를 체험하기 부족한 시설 등의 부정적인 시선(Kim, 2015)을 개선하여 요트 활성화 기반을 다질 수 있다.

최근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19)는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대책으로 해양관광 명소 조성, 체험·체류형 해양관광 콘텐츠 강화, 해양레저스포츠 체험교실 운영 등 해양레저관광의 저변을 확대하고 해양교육 인프라 확충을 통하여 해양문화를 확립한다는 추진계획을 수립하여 해양레저관광객을 확대하고, 해양레저관광 분야 신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해양레저스포츠 체험교실 운영 방향으로 권역별 체험교실 비활성화 지역을 발굴하는 등 신규 체험교실 지역 지원을 통해 체험객 접근성을 높이고, 종목별 다양한 해양레포츠를 소개하고 수상안전교육을 강화하며, 체험객별 소외계층 청소년에게 체험기회를 제공하여 다양한 계층의 해양레포츠 향유를 확대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세계적인 관광 트렌드 변화로 관광이 일상화되고 간접적인 체험보다 직접적인 체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마리나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해양레저활동 수요도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요트를 체험하는 인구도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20).

요트 선진국의 경우 주변 인프라가 우수하고 교육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잘 갖춰져 있으며, 요트 클럽의 멤버십 제도가 활성화되어 있다. 또한, 요트 지도자들의 자원봉사로 아이들이 쉽게 요트를 접할 수 있는 커리큘럼이 운영되고 있고, 요트 운항과 관련한 교육 및 자격 인증서 등을 의무화하고 있다.

현재 부산권 대학에서는 점점 커져가는 해양레저스포츠의 변화의 흐름에 따라 해양스포츠, 특히 요트를 정규수업으로 채택하여 실시하는 학교가 늘어가고 있다. 하지만 요트의 특성상 넓은 바다나 강이 없으면 실질적인 활동이 불가한 스포츠 종목이라 실제로 바다를 끼고 있으며 요트 장비와 시설이 갖추어져 있는 몇몇 대학을 제외한 학교는 요트 실기 수업을 위해 바다 혹은 강으로 이동하여 장비를 대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렇듯 요트의 교육과 체험을 위해 강이나 바다로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고 장비대여를 위해 많은 비용을 지불하는 실정이다. 그리고 요트를 체험하는 소비자 입장에서 요트관광 제약요인은 ‘과다한 경비지출’, ‘많은 시간소비’ 항목이 높게 나타나 저가형 요트관광 체험상품의 개발과 소비자의 요트 및 요트관광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홍보, 요트관광지 선정 및 개발 시 접근성 확보 방안도 고려되어야 한다(Cho, 2012)고 보고하였다. 또한, 대학을 중심으로 요트ㆍ마리나 산업 전문가 양성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수요에 비해 인력배출 교육과정이 많이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전문가 및 숙련된 전문 인력이 양성되지 않는 것(Hyun, 2012)이 제약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선행연구는 요트 참가자에 대한 참가동기, 만족도, 지각된 가치⸱태도⸱행동 그리고 하위문화의 특성 등 사회·심리학적인 측면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졌고, 요트 발전의 정책적 측면에서 요트산업의 활성화 관련 연구, 요트 동호인과 요트학교 측면에서의 심리·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대학 요트수업의 교육적 측면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파악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며 이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델파이 방법을 통해 대학 요트수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대학 요트수업 발전 방향과 나아가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해양레저스포츠의 질적·양적 성장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학 요트수업의 지도자, 프로그램, 시설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요트수업의 지도자, 프로그램, 시설의 문제점이 무엇인가?

둘째, 대학 요트수업의 지도자, 프로그램, 시설의 개선방안이 무엇인가?

셋재, 대학 요트수업의 지도자, 프로그램, 시설의 개선방안에 대한 변화가능성과 희망의 정도는 무엇인가?

2. 선행연구 고찰

현재까지 요트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Park(2005)은 국내 요트산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요트산업의 선진국과 비교하여 분석하였고, Kim and Nam(2010)은 요트/일반조종면허시험관의 감각추구성향과 활력 및 운동지속의 관계를 심리 검사지를 통해 분석하여 감각추구성향이 활력 및 운동지속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Cho and Ji(2013)는 요트학교 참여자의 참여동기 및 여가만족도가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참여동기와 여가만족도, 참여동기와 운동지속, 여가만족도와 운동지속 간의 정적 영향 관계를 보인다는 것을 밝혔다. Yang and Hwang(2015)은 요트마리나 입지요인 도출과 중요도 분석을 통하여 요트마리나 시설의 최적 입지를 찾을 수 있는 요인과 정책 결정 시 중요하게 판단되어야 하는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Oh and Kwon and YEO(2017)는 SWOT 분석을 통한 요트산업의 발전방안에 대해서 내부요인(강점, 약점)과 외부요인(기회, 위협)으로 설정하여 문헌과 전문가 면담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밝혔다. Nam and Kim(2018)은 유소년요트클럽의 하위문화 특성을 심층적으로 규명하여 유소년 스포츠활동에 대한 체육 정책을 수립하고 적용하는데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Yoon and Lee(2019)는 마리나 요트승선체험 이용객의 지각된 가치, 태도,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마리나 요트승선체험 이용객은 기능적⸱감정적⸱사회적 가치에 대하여 높게 인식할수록 마리나 요트승선체험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트승선체험의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향후 그들의 행동의도가 확고해진다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대학 요트수업과 관련한 연구는 미흡하기 때문에 지도자, 프로그램, 시설의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대학교 체육계열학과의 전공영역으로 진행되는 요트수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찾기 위하여 델파이 기법을 이용하여 현재 대학 요트 수업에 관여하고 있는 전문가 집단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비확률적 표집(non-probability sampling) 중 유목적적 표집(purposeful sampling)을 이용하여 대학 요트 연구 전문가 3명, 대학 요트 행정가 3명, 대학 요트 지도자 각각 3명, 총 9명을 선정하여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 <Table 1>과 같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2. 측정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은 Lee(1987)가 개발한 델파이 방법 개방형 설문지를 기초로 Joo(2008)의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의 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1차 설문지는 개방형 설문으로 사전 문헌조사를 통해 쟁점화되었던 사안을 바탕으로 일정한 틀을 제공하고 최소한의 공통 판단 기준을 갖도록 하여 대학 요트수업의 지도자, 프로그램, 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서술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2차 설문지는 1차 델파이 설문에서 도출해낸 전문가들의 의견을 취합하여 폐쇄형 설문지로 구성하였다. 변화 가능성 정도를 ‘거의 불가능하다’부터 ‘거의 확실하다’까지 Likert-type 5단계로 설정하였고, 변화에 대한 참여자들의 희망 척도에 대한 응답은 ‘유해하다’부터 ‘꼭 필요하다’까지 4단계로 설정하였다. 3차 설문지는 2차 설문지의 내용과 같은 변화가능성에 대한 설문지를 되풀이하여 중앙치와 사분점간 범위를 산출하여 각 질문의 하단에 본인의 의견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자료 처리

사전 문헌조사를 통해 대학 요트수업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델파이 설문지를 작성해 2022년 3월~2022년 7월까지 1~3차 설문지 자료를 회수하였다. 데이터 코딩을 하여 SPSS Window program ver. 22.0을 이용해 통계처리 하였으며, 변화가능성과 희망정도에 대한 중앙치, 사분위수, 응답 수, 평균은 선형공식(Lee, 2006)에 근거하여 분석되었다(<Table 2>).

Linear formula according to degree of variability


Ⅲ. 연구 결과

1. 대학 요트수업의 문제점

가. 대학 요트수업 지도자에 대한 문제점

대학 요트수업 지도자 측면의 문제점에 대해 9명 중 6명(66.6%)이 전문적인 지도자가 부족하고, 다음 순위로는 지도자가 이론 지식과 실기 능력의병행 부족 6명(66.6%), 지도자 자신만의 방식으로 수업하는 주입형 교육방식 5명(55.5%), 지도자의 전문적인 시범 부족 5명(55.5%), 강습생 개개인의 피드백 부족 2명(22.2%), 지도자 육성에 있어 일반화된 교육과정의 부재 2명(22.2%)의 내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가 1명(11.1%)만 제시한 응답으로는 지도자의 수업에 대한 선행학습 부족, 위탁시설 수업 시 담당교수가 수업 미실시, 지도자들의 윤리·안전의식 부족, 지도자들의 인성교육 부족을 문제로 지적하였다(<Table 3>).

Problems of University Yacht Class Leaders

나. 대학 요트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

대학 요트수업 프로그램 측면의 문제점에 대해 9명 중 7명(77.7%)이 과도한 인원편성으로 수업의 질적 하락, 다음 순위로는 수업 후 사후강평 부족 6명(66.6%), 체험형 수업방식 위주 5명(55.5%), 이론교육의 세부적인 내용 부족 5명(55.5%), 시뮬레이션 학습 시간 부족 3명(33.3%), 주당 수업 시수 부족으로 전문성 하락 2명(22.2%)의 내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가 1명(11.1%)만 제시한 응답으로는 수업에 필요한 예산 부족, 수업 후 체계적인 사후강평 부족, 엘리트 선수들의 수업 탈피, 육상 대기인원 시간 낭비를 문제로 지적하였다(<Table 4>).

Problems with the University Yacht Class Program

다. 대학 요트수업 시설에 대한 문제점

대학 요트수업 시설 측면의 문제점에 대해 9명 중 6명(66.6%)이 장비의 부족, 다음 순위로는 장비 보관 시설의 부족 6명(66.6%), 장비구입·유지비용 부족 5명(55.5%), 슬립웨이 유지·관리 예산 부족 4명(44.4%), 학교차원에서의 예산 지원 부족 3명(33.3%), 샤워장 및 탈의시설 환경 미흡 3명(33.3%), 구조와 관련된 장비 부족 2명(22.2%)의 내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가 1명(11.1%)만 제시한 응답으로는 조수간만 차에 따른 슬립웨이 시설의 미흡과 안전과 관련된 장비 보험 등록 미흡을 문제로 지적하였다(<Table 5>).

Problems of the University Yacht Class Facilities

2. 대학 요트수업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가. 대학 요트수업 지도자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대학 요트수업 지도자 측면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9명 중 7명(77.7%)이 전문적인 지도자 양성의 필요성을 전망하였고, 다음으로는 자기 주도형 교육방식 도입 7명(77.7%), 수강생들에게 시범교육 강화 6명(66.6%), 지도자의 안전 및 윤리의식 확보 3명(33.3%), 수강생 개개인에 맞는 피드백 요구 2명(22.2%), 지도자 육성에 있어 일반화된 교육과정 개발 2명(22.2%)의 내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가 1명(11.1%)만 제시한 응답으로는 정기적인 지도자 인성교육 실시, 지도자의 실기능력과 이론지식의 조화, 수업자료를 배포하여 선행학습 실시, 위탁 시설에 담당교수가 수업진행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Table 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s of the University Yacht Class Leaders

나. 대학 요트수업 프로그램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대학 요트수업 프로그램 측면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9명 중 7명(77.7%)이 적정규모의 수업편성과 단계별로 체계적인 수업 프로그램 적용의 필요성을 전망하였고, 다음 순위로는 체계적인 사후강평 필요 6명(66.6%), 집중식 수업 필요 3명(33.3%), 시뮬레이션 학습시간 증대 2명(22.2%), 주당 수업시수 증대 2명(22.2%)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가 1명(11.1%)만 제시한 응답으로는 엘리트 선수의 수업탈피 방지, 이론교육의 세부적인 내용 추가, 육상 대기인원에 대한 시뮬레이션 훈련 실시를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Table 7>).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s of the University Yacht Class Program

다. 대학 요트수업 시설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대학 요트수업 시설 측면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9명 중 5명(55.5%)이 많은 장비의 보급 필요성을 전망하였고, 그다음 순위로는 장비보관시설의 확보 5명(55.5%), 시설 및 장비구입·유지비용의 확보 3명(33.3%), 슬립웨이 시설에 대한 예산 확보 2명(22.2%), 학교차원에서 예산 지원 2명(22.2%)의 내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가 1명(11.1%)만 제시한 응답으로는 구조와 관련된 장비 보급, 조수간만 차를 극복하기 위한 슬립웨이 환경 개선, 탈의 및 샤워시설의 환경 개선, 런칭 및 랜딩장비 보급, 안전과 관련된 장비(모터보트) 보험 등록 및 책임기관 인계를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Table 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s of Yacht Class Facilities in University

3. 대학 요트수업 개선방안에 대한 변화가능성과 희망척도

가. 대학 요트수업 지도자 변화가능성과 희망정도

10개의 문항을 전문가 집단이 대학 요트수업 지도자와 관련된 문항으로 응답하였는데 변화가능성이 높다는 문항 7개, 변화의 가능성이 있다는 문항 3개로 나타났다. 변화가능성이 높다고 나타난 문항을 빈도순으로 살펴보면 “수강생들에게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시범이 필요할 것이다.”(80.6%), “지도자의 안전 및 윤리의식 확보가 필요할 것이다.”(75.5%), “지도자가 실기뿐만 아니라 이론지식도 철저히 함양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75.5%), “지도자 육성이 있어 일반화된 교육과장이 필요할 것이다.”(73.0%), “개개인에 맞는 피드백이 필요할 것이다.”(73.0%), “전문적인 지도자 양성이 필요할 것이다.”(73.0%), “전문적인 지도자 양성이 필요할 것이다.”(70.5%)로 나타났다. 또한, 변화가능성이 있다고 나타난 문항을 빈도순으로 살펴보면 “시설은 위탁 활용하되 수업은 담당교수가 직접 진행해야 할 것이다.”(65.4%), “주입식 교육방식보다는 자기주도형 방식 도입이 필요할 것이다.”(57.8%), “정기적으로 지도자 인성교육이 필요할 것이다.”(55.3%) 등으로 나타났다. 희망의 정도에 있어서는 모든 문항에서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9>).

Changes to University Yacht Class Leaders

나. 대학 요트수업 프로그램 변화가능성과 희망정도

10개의 문항을 전문가 집단이 대학 요트수업 프로그램과 관련된 문항으로 응답하였는데 변화가능성이 높다는 문항 4개, 변화가능성이 있다는 문항 3개, 변화가능성이 낮다는 문항 3개로 나타났다. 변화가능성이 높다고 나타난 문항을 빈도순으로 살펴보면 “실습 후 체계적인 사후강평이 필요할 것이다.”(78.1%), “기상문제로 집중식 수업이 필요할 것이다.”(73.0%), “이론교육의 세부적인 내용추가 및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67.9%), “체험형 수업이 아닌 단계별로 체계적인 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67.9%)로 나타났다. 또한, 변화가능성이 있다고 나타난 문항을 빈도순으로 살펴보면 “육상 대기인원에 대한 반복적인 시뮬레이션 훈련이 필요할 것이다.”(62.9%),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정규모의 수업인원 편성이 필요할 것이다.”(52.8%), “시뮬레이션 학습시간을 증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52.8%)로 나타났다. 한편, 변화가능성이 낮다고 나타난 문항을 빈도순으로 살펴보면 “전문성 향상을 위한 예산의 확보가 필요할 것이다.”(47.7%), “실력향상을 위해 주당 수업시수를 늘릴 필요가 있을 것이다.”(47.7%), “좀 더 전문적인 수업진행으로 엘리트 선수들의 수업 탈피를 막아야 할 것이다.”(42.7%) 등으로 나타났다. 희망의 정도에 있어서는 9번 문항 “실력향상을 위해 주당 수업시수를 늘릴 필요가 있을 것이다.”(47.7%)와 6번 문항 “좀 더 전문적인 수업진행으로 엘리트 선수들의 수업 탈피를 막아야 할 것이다.”(42.7%)에서 찬·반 의견이 교차되었고, 그 외 모든 문항에서 희망의 정도는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의 정도에서 찬·반 의견이 교차되었던 항목에 대한 소수의견은 “엘리트 선수의 수업탈피를 막기 위한 전문적인 지도자가 많지 않다.”, “학생들 개개인에 맞는 수업진행이 어렵다.”로 변화가능성을 낮다고 판단했다(<Table 10>).

Changes to the University Yacht Class Program

다. 대학 요트수업 시설 변화가능성과 희망정도

10개의 문항을 전문가 집단이 대학 요트수업 시설과 관련된 문항으로 응답하였는데 변화가능성이 높다는 문항 1개, 변화의 가능성이 있다는 문항 3개, 변화가능성이 낮다는 문항 6개로 나타났다. 1개의 문항 “안전과 관련된 장비(모터보트)의 보험등록 및 책임기관 인계가 필요할 것이다.”(73.0%)에서만 변화가능성이 높다고 나타났다(<Table 11>).

Changes to University Yacht Class Facilities

또한, 변화가능성이 있다고 나타난 문항을 빈도순으로 살펴보면 “구조와 관련된 장비보급이 시급할 것이다.”(65.4%), “장비 보관시설의 확보가 필요할 것이다.”(50.3%), “런칭 및 랜딩 장비의 보급이 필요할 것이다.”(50.3%)로 나타났다. 변화가능성이 낮다고 나타난 문항을 빈도순으로 살펴보면 “탈의 및 샤워시설의 환경개선이 필요할 것이다.”(47.7%), “해양특성화를 지향하기 위해 학교차원에서 예산지원이 필요할 것이다.”(47.7%), “조수간만차를 극복하기 위한 슬립웨이 이용에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45.2%), “시설 및 장비구입, 유지비용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42.7%), “수업 인원에 상응하는 많은 장비 보급이 필요할 것이다.”(40.1%), “안전과 관련된 슬립웨이 시설을 특정 예산의 지원으로 우선 배정되어야 할 것이다.”(35.1%) 등으로 나타났다. 희망의 정도에 있어서는 모든 문항에서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논 의

델파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학 요트수업의 문제점, 개선방안, 변화가능성과 희망의 정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1. 대학 요트수업의 문제점

대학 수업에 있어 지도자의 전문성은 수강생들에게 많은 지식과 높은 질의 수업을 제공해 준다.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해서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검증된 지도자를 확보하고 양성해야 하며 지도자로서 전문성을 지니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과 경험을 통해 역량을 높여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대학 요트수업 지도자와 관련된 문제점에 대해 우선순위별 분석을 하면 다음과 같다. 전문적인 지도자 부족은 해양스포츠 발전 저해요소 중의 하나로 체계적으로 전문적인 지도자 양성이 미비하고 전문적인 지도자가 부족한 점이라고 보고한 연구(Shin and Ryou, 2009)가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해주고 있으며, 이는 전문적인 고등교육을 가르치지 못해 수업의 질적 하락과 나아가 전공 체육교사와 전문·생활스포츠지도사를 양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도자의 이론과 실기능력 병행 부족에 대해 Hyun(2012)은 전문가 및 숙련된 전문 인력이 양성되어 있지 않아 요트 교육의 부실화를 초래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지도자가 단순히 요트 타는 방법만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그에 상응하는 이론 지식을 함양하여 가르침으로써 수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주입형 교육방식 위주의 수업의 문제점에 대해 Kim(2018)은 자기주도형 교육 방식이 주입식 교육방식을 채택 하였을 때 보다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키우고 회복탄력성 및 학업성취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도자의 실기 경험위주의 방식과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주입식 교육으로 인해 수강생들의 학습 습득의 폭이 좁아지게 되고 실력향상에 있어 중, 상급자로 올라가는데 제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도자의 전문적인 시범 부족에 대한 문제점은 마케팅 측면에서 지도자의 능숙한 시범은 수련생과 학부모에게 신뢰와 만족도를 높이고 운동지속의도에 큰 영향을 미치며 지도자들의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지도자의 단순한 교육방식이 수강생들에게 흥미와 재미를 유발시키지 못하고 서로 간 유대감을 느끼지 못하게 되며 수업에 대한 성취감이 떨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전공체육수업에서 교육 프로그램의 획일화, 제약요인 등으로 인해 수업이 질적으로 하락된다면 교육의 불신을 초래할 수 있고 비효율적인 수업이 될 수 있다. 이는 대학 요트수업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결과에서는 대학 요트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에 대하여 과도한 인원편성으로 수업의 질 하락을 문제로 지적하였다. Kwon(2001)은 ‘소규모학급의 효과성’을 전제로 학급의 규모가 작아질수록 수업의 효율이 증가한다고 밝혔다. 특히 요트의 특성상 많은 장비를 구입하기가 어려워 적은 장비로 많은 학생이 로테이션으로 실습을 해야 하는 실정이고, 많은 장비가 있다 하더라도 지도자 수의 부족으로 인해 개개인에게 피드백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과도한 인원 편성은 대학 요트수업을 질적으로 하락시키는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다음의 문제점으로 수업 후 사후강평 부족을 문제로 지적하였다. 이는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데, 수업 후 단순히 인사로 끝맺는 것이 아니라 인원과 안전 점검을 함으로써 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 일어날 수 있는 인명사고를 방지하고 장비의 경우 본인의 장비가 아니다 보니 책임의식이 떨어져 뒷정리가 아쉬운 부분이 많아 전문가들은 문제점으로 지적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체험형 위주의 수업을 문제로 지적하였는데, 이에 Lee and Yoon and Koo(2015)는 늘어나는 해양스포츠 수요에 반해 해양스포츠 센터의 교육 프로그램이 단순히 일회성 활동에 그치며 해양스포츠 참가자들이 다양한 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해 해양스포츠 활동에 제한이 된다고 밝혔다. 이는 대학 요트수업에서도 단순히 체험형 수업으로 인해 전문성이 떨어지고 고도의 세분화된 실기능력을 습득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론교육의 세부적인 내용 부족을 문제로 지적하였는데, 이에 Lee and Lee(2015)는 전문적인 체육 지도자를 양성함에 있어 단순 기능습득을 위한 실기 수업으로 단순한 지식이나 기술 전수가 아닌 좀 더 고도화되고 세분화된 전문성과 핵심역량을 갖춰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요트수업에 있어 실기 위주의 체험 수업이 아니라 실기에 상응하는 전문적인 이론 교육을 통해 대학 요트수업의 궁극적인 목적인 전문적 지도자 양성을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양스포츠를 참여하기 위해 관련 시설에 이동하는 교통비와 비용의 증가는 해양스포츠 참여 저해 요인 중 하나라고 하였다(Cho, 2009). 이는 해양스포츠를 즐기는 계층의 요구를 충분히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결과에서는 대학 요트수업 시설에 대한 문제점에 대하여 대학 요트 수업에 필요한 장비부족을 문제로 지적하였는데, Shin and Ryou(2009)는 해양스포츠 활동 시설이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자원개발에 집중되어 있어 다양한 시설 개발과 많은 수요에 대처 할 수 있는 장비구축의 필요성을 밝혔다. 이는 마리나와 해양스포츠 센터뿐만 아니라 해양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곳이라면 충분한 장비를 갖춰 해양스포츠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대학 요트 수업에서도 많은 장비로 효율적인 수업 진행을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다음의 문제점으로 대학 요트수업의 장비보관시설의 부족을 문제로 지적하였는데, 이는 한정된 시설 공간에 수용 규모를 넘어선 장비를 보관하다 보니 부피가 큰 장비는 주로 야외에 보관하게 되는데, 이는 소모성이 큰 해양 장비의 수명을 크게 단축시키며 잘못된 장비 관리 상황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주입 시키게 된다고 전문가들이 생각하고 있으리라 판단되어 진다. 또한, 장비 구입, 유지비용의 부족을 문제로 지적하였는데, 이에 Lee and Kim(2010)은 해양스포츠에 있어 재정서비스와 해양레저 콘텐츠 강화는 소비자의 시설 이용 활성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이는 충분한 재정적 지원이 대학 요트수업의 소비자인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대학 요트수업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스포츠 지도자의 자질과 전문적인 역량은 수준 이상의 수행능력을 발휘하기 위해 항상 중요하게 거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대학 요트수업 지도자와 관련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전문적인 지도자 양성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해양스포츠 교육을 위해 전문적인 지도자 양성이 중요하지만, 실질적으로 지도자 양성 프로그램 과정은 매우 빈약하고 구조적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고 밝혔다(Lee, 2012). 이는 전문적인 지도자 양성을 하지 못한다면 수강생들의 성공적인 목표 달성이 어려워지고 해양스포츠 특성상 안전사고와 직결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대학 요트수업을 위한 전문적인 지도자 양성을 위해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도자의 주입형 교육방식이 아닌 자기주도형 교육방식 도입이 필요하다고 전망하였다. 이는 자기주도적 방식이 학생들에게 더 많은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해 주고 지도자의 적절한 안내와 도움이 있으면 성공적인 학습 전략을 만들 수 있으며, 지도자는 지도유형 중 민주적 지도유형을 도입하여 팀 목표의 설정, 훈련방법, 작전과 전략에 관한 결정을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서로 간에 소통할 수 있는 수업 진행의 필요성을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은 학생들에게 전문적인 시범 교육 강화가 필요하다고 전망하였다. 이는 지도자는 목적과 목표를 제시해 주고 수강생들은 목표 달성을 위해 직접 부딪혀 보는 과정에서 수업 능력뿐만 아니라 더 많은 경험들을 할 수 있고 지도자와 학생들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장이 열려 더욱 큰 시너지 효과를 일으킬 것으로 판단된다.

수업에 대한 적정규모의 인원 편성이 필요하다는 것은 부족한 지도자 수에 비해 많은 학생 비율로 수업의 전문성과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수업 인원을 적정하게 편성해 지도자와 학생이 좀 더 친밀하게 접촉 및 교류를 하며 보다 높은 만족도를 느낄 필요성을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체계적인 수업이 필요하다고 제기되었는데, 이에 Jung and Park(2007)은 스킨스쿠버 교육프로그램 진행 시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국내 해양환경에 맞는 매뉴얼을 개발하여 적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해양스포츠 프로그램이 초보자만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중, 상급 참가자 수준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하고 대학 요트수업도 단순히 체험 위주의 교육프로그램이 아닌 해양스포츠 전문가 육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클래스 간의 실력 차이를 두어 중, 상급자들에게도 적절한 교육의 필요성을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또한, 수업 후 체계적인 사후강평이 단순히 인사와 마무리가 아닌 안전과 관련한 인원 점검과 부상의 정도 확인을 하고 해양스포츠 장비 특성상 소모성이 큰 장비이므로 충분한 세척과 장비 정리 및 보관을 점검하고 해양에서 확실히 전달하지 못했던 개개인의 피드백을 주는 수업 끝맺음의 필요성을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장비 보관 시설의 확보에 대해서 Shin and Ryou(2009)는 해양스포츠 시설은 부지확보를 위해 사전조사를 바탕으로 기능과 구성을 파악하고, 수요에 상응하는 규모를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고, 많은 장비 보급의 필요성은 수업 인원에 상응하는 장비가 부족하여 실질적 실습 시간 하락과 해상 교육 시간과 육상 대기 시간 사이의 로테이션이 길어져 수업의 효율 또한 떨어지게 되어 많은 장비를 비치해 두고 로테이션 시간을 줄여 제한된 수업 시간 안에 최대한 많은 실습 시간을 가지고 효율성을 극대화시켜야 된다고 판단된다.

3. 대학 요트수업의 개선방안에 대한 변화가능성과 희망정도

해양레저스포츠 관련 대학 수업의 증가에 대비한 전문적인 지도자는 부족한 실정이며 지도자 양성과 관련된 여건이 미비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해양레저스포츠 현장에서 전문 지도자는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교육과 안전 교육을 담당하고 안전사고에 대비한 통제를 해야 하기 때문에 교육과 안전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을 통한 전문 지도자 고용과 처우개선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구축하고 강화해야 한다(Suh and Kang and Lee, 2017). 본 연구에서도 변화가능성에 대해 지도자 역량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도자의 전문성과 안전 및 윤리의식 확보, 이론과 실기의 겸비, 지도자 육성의 일반화된 교육과정의 필요성 등을 변화가능성이 높다고 제시했다. 또한, 몇몇 학교를 제외한 해양스포츠 특성상 관련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인접 시설로 찾아가 담당 지도자가 아닌 해양스포츠센터나 관련 시설 종사자가 수업 진행을 하게 되면 수업에 대한 책임감이 떨어지고 그에 따라 수업에 대한 전문성이 저하된다. 이는 담당 지도자의 편의나 부족한 전문성에 의해 나오는 결과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지도자는 확실한 전문성을 갖춰 위탁시설에서 자기주도하에 수업을 진행하여 수업과 수강생들에게 대한 책임감을 높이고 수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업 후 체계적인 사후강평을 통해 안전문제를 점검하고 소모성이 크고 고가의 장비를 점검하며 학생들에게 장비에 대한 책임의식과 보관 요령을 습득시킬 필요가 있다. 요트는 바람을 추진력으로 활용하는 스포츠이기 때문에 바람이 너무 약하거나 강하다면 기술 습득에 어려움이 있고 계절과 기상의 영향을 크게 받는 스포츠이므로 학생들의 안전과 수업 효율을 위해서 기상을 고려하여 맑은 날에 집중적으로 수업을 진행해야 하며, 대학 요트수업의 목적이 해양스포츠 전문가 육성이라고 한다면 실기능력 뿐만 아니라 요트의 특성과 원리 등 세부적 이론 교육을 통해 운동 능력과 전문적인 지식을 두루 겸비한 전문가를 육성해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해 한 학기 동안 학점만 취득하기 위한 요트수업이 아닌 전문가 육성을 위해 체계적인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시킬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리고 1인 1장비 보급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육상 대기인원은 실습하지 않는 비효율적인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데 육상에서 시뮬레이션 훈련으로 잉여 시간을 최대한 감소시키고 수강생들 간 동작 코칭을 하며 서로 요트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할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현재 대학 요트수업에 편성된 인원이 많아 수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수업 인원의 적절한 조절로 효율성을 높일 필요성을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한정된 학과 예산으로 요트수업만을 위해 예산을 집중시킬 수 없고, 주당 수업시수의 증가는 편제된 학점과 다른 교과목 수업에도 지장을 끼칠 우려가 생기므로 전문가들은 저해요인이 된다고 예측하였고, 엘리트 선수들을 위한 전문적인 수업진행은 초급 단계의 학생들에겐 따라갈 수 없는 수업 방식이므로 전문가들은 저해요인이 된다고 하였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엘리트 선수를 수업의 수단으로써 학생들에게 실기 시범을 보이고 수업 지도자와 엘리트선수가 사전 상의를 통해 역할 분담을 하여 많은 학생으로 인하여 지도자가 보지 못하는 부분을 엘리트 선수들이 보조하는 방향으로 수업 진행을 해야 할 것이다.

구조와 관련한 장비는 안전과 직결된 장비이며 자칫 방심했다간 생사를 위협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기 때문에 구조 장비는 예산 측정 시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배정하여 구조 장비를 비치해 두고 안전과 관련된 상황에 신속한 대처의 필요성을 전문가들은 예측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예산과 관련한 문항에서 변화가능성이 낮다고 전문가들은 예측하였는데 이에 Kim(2013)은 해양스포츠 활성화를 위해서는 마리나 항만과 같은 해양스포츠 시설 개발이 필요하며, 마리나의 개발과 운영은 관련 시설을 연계하여 재정적 지원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대학 요트수업도 관련 시설 연계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재정적 지원이 확보가 된다면 수업에 필요한 서비스와 장비 및 시설 유지 보수가 가능해질 것이며 수업 참가자들에게 더 편리한 시설 제공과 수업 환경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델파이 방법을 통해 대학 요트 수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대학 요트 수업 발전 방향과 나아가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해양레저스포츠의 질적·양적 성장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학요트 전문가, 행정가, 지도자가 제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요트 수업의 문제점은 전문적인 지도자 부족, 이론과 실기능력 병행 부족, 과도한 인원편성으로 수업의 질 하락, 수업 후 사후강평 부족, 수업에 필요한 장비 부족, 장비보관 시설의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요트 수업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은 전문적인 지도자 양성, 자기주도형 교육방식 도입, 적정규모의 수업 인원 편성, 단계별로 체계적인 수업 프로그램 적용, 많은 장비의 보급, 장비 보관시설의 확보 등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대학 요트 수업 개선방안에 대한 변화가능성과 희망정도는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시범의 필요성, 지도자의 안전 및 윤리의식 확보, 실습 후 체계적인 사후강평의 필요성, 기상문제로 인한 집중식 수업 필요성, 안전과 관련된 장비의 보험등록 및 책임기관 인계의 필요성, 구조와 관련된 장비보급의 필요성 등이 변화 가능성이 높고 희망정도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는 선진국형 요트 교육 인프라를 참조하여 요트 수업 관련 전문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 Cho SM and Ji SU(2013). Effect of Sailing School Participants' Motive and Satisfaction on Continuous Participation. Jour. Fish. Mar. Sci. Edu, 25(1), 128~138. [https://doi.org/10.13000/JFMSE.2013.25.1.128]
  • Cho WJ(2009). A Study on Activation Strategies for Ocean Sport Industry Through Analyzing Macroscopic Environments and Policies.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14(3), 203~217.
  • Cho WJ(2012). Analyses of Consumer Preferences and Perceptions Regarding Activation of Yacht Tourism Industry.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36(5), 401~407. [https://doi.org/10.5394/KINPR.2012.36.5.401]
  • Hyun WY(2012).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Revitalization Direction of the Yacht Industry in Korea. Korea Maritime Institute, 2(3), 16-32.
  • Joo SB(2008). The prediction and prospect for elite sports player support.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7(3), 303~314.
  • Jung MS and Park SK(2007).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Recreational Scuba Curriculum and Activating Way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0, 165~175. [https://doi.org/10.51979/KSSLS.2007.09.30.165]
  • Kim AK(2018).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Burnout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12), 615~635.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12.615]
  • Kim HS(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Marina Port for the Expansion of the Marine Leisure Sports.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29(1), 215~245.
  • Kim SH(2015). A Study on Activity Status of Dingy Yacht Club Members and Difference in Their Awar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 Kim SM and Nam JH(2010). The Relationship Among Sensation Seeking, Vitality and Exercise Adherence in Yacht/Boat Driver`s License Examiner.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9(4), 167~178.
  • Kwon YS(2001). A study on an impact of class size on the student ratings of instruction in a Korean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ept.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Lee JS(1987). A Study on the Validity Evaluation of the Selection Criteria for Freshmen. Yonsei Education Science, 31, 5~17.
  • Lee JS(2006). Delphi Method. Seoul: kyoyookbook.
  • Lee JY and Kim SH(2010). A Study on Marine Leisure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48(4), 409~428.
  • Lee KM(2012). The Exploration of the Feasibility of Marine Sports Education as Physical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1(1), 101~111.
  • Lee MC and Yoon YJ and Koo SY(2015). Seeking Ways to Improve Leader and Program of Marina and Marine Sports Cen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13(3), 135~149.
  • Lee SH and Lee YG(2015). An Analysis of University Curriculum in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s in the Search for Ways to Enhance Professional Expertise.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4(6), 209~218.
  • Lim KH and Kim KH(2019). Structural Relationship of Involvement in Marine Leisure Sports, Trust, Immersion and Purchase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8(2), 259~270. [https://doi.org/10.23949/kjpe.2019.03.58.2.259]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19). Basic Plan for the Promotion of Marine Tourism. Measures to boost marine leisure tourism, 32~33.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20). 2nd Marina Port Basic Plan.
  • Nam YJ and Kim CR(2018). The Subculture Characteristics of Youth Yacht Club. Korean Society for the Sociology of Sport, 31(4), 21~41. [https://doi.org/10.22173/ksss.2018.31.4.2]
  • Oh YP and Kwon YH and YEO HI(2017). Development Scheme of the Yacht Industry through a SWOT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15(1), 109~121.
  • Park SH(2005). Problem and Status of Yacht Industr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1(1), 47~52.
  • Shin SH and Ryou HJ(2009). A Review for The Marine Leisure Sports Development Plan. Sports Science Review, 3(1), 47~58.
  • Suh DH and Kang MG and Lee SY(2017). A Search for Methods of Development of Marine Leisure Sport through the SWOT 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 537~546. [https://doi.org/10.14400/JDC.2017.15.1.537]
  • Yang JC and Hwang KS(2015). Study of the location factors of yacht marina and an analysis of the significance.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 235.245. [https://doi.org/10.5762/KAIS.2015.16.1.235]
  • Yoon J and Lee SK(2019).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valu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of marina yacht experience participants : Focused on Geoje Marinabay yacht user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3(12), 47~60. [https://doi.org/10.21298/IJTHR.2019.12.33.12.47]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Sortation Affiliation Number of people sampled Career Expert
a college yacht research specialist university B 3 27 Professor
university K 19 Professor
university B 17 Ph.D.
a college yacht administrator university K 3 12 assistant
Yacht Association B 11 Ph.D.
university B 10 assistant
a college yacht leader Yacht Association B 3 9 a yacht instructor
university K 8 a yacht instructor
Yacht Association B 8 a yacht instructor

<Table 2>

Linear formula according to degree of variability

Likert-type scale %
1 96.00
2 73.25
3 50.50
4 27.75
5 5.00
linear formula Y=22.75X + 118.5
X: Response on Likert-type scale
Y: %

<Table 3>

Problems of University Yacht Class Leaders

Ranking Problems of University Yacht Class Leaders Reply
(N)
Ratio
(%)
1 Lack of professional leaders 6 66.6
1 Lack of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skills 6 66.6
3 Focused on injection-type education method 5 55.5
3 Lack of professional demonstration by leaders 5 55.5
5 Lack of individual feedback 2 22.2
5 Absence of generalized curriculum 2 22.2
7 Lack of prior learning about class 1 11.1
7 The professor does not conduct classes at the consignment facility 1 11.1
7 Lack of ethics and safety awareness among leaders 1 11.1
7 Lack of character education for leaders 1 11.1

<Table 4>

Problems with the University Yacht Class Program

Ranking Problems with the University Yacht Class Program Reply
(N)
Ratio
(%)
1 Degradation of class quality due to excessive staffing 7 77.7
2 Lack of post-class reviews 6 66.6
3 Focus on experiential classes 5 55.5
3 Lack of detailed content of theoretical education 5 55.5
5 Lack of simulation learning time 3 33.3
6 Lack of class hours per week 2 22.2
7 Lack of budget for classes 1 11.1
7 Lack of systematic post-class reviews after class 1 11.1
7 The departure of elite athletes from class 1 11.1
7 Waste of time waiting on land 1 11.1

<Table 5>

Problems of the University Yacht Class Facilities

Ranking Problems with the University Yacht Class Facilities Reply
(N)
Ratio
(%)
1 Lack of equipment required for class 6 66.6
1 Lack of equipment storage facilities 6 66.6
3 Lack of equipment purchase and maintenance costs 5 55.5
4 Lack of budget for slipway maintenance and management 4 44.4
5 Lack of budget support at the school level 3 33.3
5 Insufficient environment for shower and changing facilities 3 33.3
5 Lack of structural equipment 2 22.2
6 Lack of launching and landing equipment 1 11.1
6 Insufficient slipway facilities in the tides 1 11.1
6 Insufficient registration of safety-related equipment insurance 1 11.1

<Table 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s of the University Yacht Class Leaders

Ranking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s of the University Yacht Class Leaders Reply
(N)
Ratio
(%)
1 Training Professional Leaders 7 77.7
1 Introduction of Self-directed Education System 7 77.7
3 Strengthen pilot education for students 6 66.6
4 Securing leaders' safety and ethical awareness 3 33.3
5 Development of curriculum related to leader development 2 22.2
5 Individual feedback needs 2 22.2
7 Conducting regular personality education for leaders 1 11.1
7 Harmonization of the leader's practical ability and theoretical knowledge 1 11.1
7 Pre-learning by distributing class materials 1 11.1
7 Classes conducted by the professor in the consignment facility 1 11.1

<Table 7>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s of the University Yacht Class Program

Ranking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s of the University Yacht Class Program Reply
(N)
Ratio
(%)
1 appropriate number of class members 7 77.7
1 Step-by-step systematic application of class programs 7 77.7
3 Systematic Post-Review Required 6 66.6
4 Intensive class required 3 33.3
5 Increase simulation learning time 2 22.2
5 Increasing the number of classes per week 2 22.2
7 Securing budgets for professional improvement 1 11.1
7 Prevention of Elite Athletes' Breakaway from Class 1 11.1
7 Add detailed content of theoretical education 1 11.1
7 Conducting simulation training for onshore waiting personnel 1 11.1

<Table 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s of Yacht Class Facilities in University

Ranking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s of the Yacht Class Facilities in University Reply
(N)
Ratio
(%)
1 The supply of many equipment 5 55.5
1 Securing equipment storage facilities 5 55.5
3 Securing the cost of purchasing and maintaining facilities and equipment 3 33.3
4 Securing Budgets for slipway Facilities 2 22.2
4 Budgetary support at the school level 2 22.2
6 Rescue related equipment supply 1 11.1
6 Improved slipway Experience 1 11.1
6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changing and showering facilities 1 11.1
6 Launching and Landing Equipment Supplies 1 11.1
6 Equipment insurance registration and transfer to the responsible authority 1 11.1

<Table 9>

Changes to University Yacht Class Leaders

Item Item content the potential for change (%) about possibility hope for change hope level
5 Students will need specific and professional demonstrations. 80.6 High 1.222 Assent
6 It will be necessary to secure the leader's safety and ethical awareness. 75.5 High 1.111 Assent
8 It will be necessary for the leader to thoroughly cultivate theoretical knowledge as well as practical skills. 75.5 High 1.444 Assent
4 There will be a need for a generalized curriculum to foster leaders. 73.0 High 1.444 Assent
7 Individual feedback will be needed 73.0 High 1.333 Assent
9 Prior learning will be required by distributing class materials. 73.0 High 1.556 Assent
1 Professional leadership training will be needed. 70.5 High 1.222 Assent
10 Facilities will be used on a consignment basis, but classes will have to be conducted directly by the professor in charge. 65.4 Exist 1.444 Assent
2 It will be necessary to introduce a self-directed method rather than an injection-type education method. 57.8 Exist 1.333 Assent
3 There will be a need for leader’s personality education on a regular basis. 55.3 Exist 1.333 Assent

<Table 10>

Changes to the University Yacht Class Program

Item Item content the potential for change (%) about possibility hope for change hope level
2 A systematic follow-up critique will be required after practice. 78.1 High 1.222 Assent
5 Intensive classes will be required due to weather problems. 73.0 High 1.556 Assent
7 It will be necessary to add detailed content and time for theoretical education. 67.9 High 1.778 Assent
10 Rather than an experiential class, it is necessary to apply a systematic class program step-by-step. 67.9 High 1.556 Assent
8 Repeated simulation training for land atmospheric personnel will be needed. 62.9 Exist 1.778 Assent
1 In order to improve professionalism, it will be necessary to organize the number of class members of an appropriate size. 52.8 Exist 1.222 Assent
3 It will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simulation learning time. 52.8 Exist 1.667 Assent
4 It will be necessary to secure a budget to improve expertise. 47.7 Low 1.222 Assent
9 It will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classes per week to improve skills. 47.7 Low 2.111 Assent&objection
6 It will be necessary to prevent elite players from leaving the class by conducting professional classes. 42.7 Low 2.111 Assent&objection

<Table 11>

Changes to University Yacht Class Facilities

Item Item content the potential for change (%) about possibility hope for change hope level
10 Insurance registration of safety-related equipment and transfer to the responsible agency will be required. 73.0 High 1.444 Assent
2 Rescue related equipment supply will be urgently needed. 65.4 Exist 1.000 Assent
1 It will be necessary to secure equipment storage facilities. 50.3 Exist 1.000 Assent
5 It will be necessary to supply launching and landing equipment. 50.3 Exist 1.444 Assent
4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changing and shower facilities. 47.7 Low 1.333 Assent
9 Budget support will be needed at the school level to pursue marine characterization. 47.7 Low 1.333 Assent
3 Improvements will be needed in the use of slipways to overcome tidal differences. 45.2 Low 1.222 Assent
7 Facility and equipment purchase and maintenance costs should be secured. 42.7 Low 1.444 Assent
6 It will be necessary to supply a lot of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lass members. 40.1 Low 1.556 Assent
8 Slipway facilities should be allocated first with specific budget support. 35.1 Low 1.667 Ass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