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수업 참여 대학생들의 스포츠 재미와 여가만족 및 지속적 참여의도와의 관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sport enjoyment, leisur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in ski class. The study conducted a research survey through purposive sampling method. 280 questionnaires distributed and 271 were selected as final valid sample by removing 9 questionnaires that have insufficient answers. Hypothesis test on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by using SPSS 20.0 and AMOS 18.0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sport enjoyment factors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Second, sport enjoyment factors had effect on re-participation intention, word of mouth intention. Third, leisure satisfaction had effect on re-participation intention, word of mouth intention. In addition, it had effect on continuos participation intention as the partial mediation of the leisure satisfaction.
Keywords:
Sport enjoyment, Leisure satisfacti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Ski class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입시교육의 교육과정 속에서 여가선용에 대해 자율성과 판단력마저 잃어버린 채 청소년기를 보내왔던 것이 사실이다. 또한 대학을 입학한 후에도 일반인들이 즐기는 여가의 개념과는 동떨어져 취업의 강박관념에 시달리는가 하면, 적극적인 여가활동보다는 취업 준비에 중점을 둔 대학생활이 일반적이라 하겠다. 이러한 문제들과 더불어 대학에 갓 입학한 신입생의 경우 고등학교 졸업 후 갑자기 늘어난 여가시간에 대해 올바른 여가의식과 여가기능을 인지하지 못하고 쾌락적인 여가로 낭비하거나, 혹은 자신에게 맞는 여가활동을 선택하지 못하고 많은 시간을 빈둥거리며 낭비하는 경우도 적잖게 보고되고 있다(Han, Seung-Yu, 2010).
이러한 이유로 대학교에서는 대학생들의 여가선용의 해결방법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도하고 있으며, 자연친화적인 야외스포츠의 하나로서 계절 학기를 통해 스포츠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Choi, Eun-Young, 2004). 실제로 최근 많은 대학대학들은 전공이나 교양과목으로 계절스포츠 종목을 개설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수업을 통한 스포츠 참여는 평생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흥미와 노력을 고취시킴으로써 지속적인 스포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Cho & Kim, 2008). 또한 전공과목과는 차별화된 맥락으로 지식과 소양을 쌓게 하는 중요한 교육적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다.
Seo, Hee-Jin(2003)에 따르면, 사회화 과정이 대부분 이루어지는 대학교에서 스포츠에 흥미를 가지지 못한다면 성인기 이후 스포츠 참가 및 운동지속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Weinberg & Gould(1995)에 의하면, 지속적 참여의사는 특정개인이 스포츠 종목에 직접 참여하고 그 활동을 규칙적으로 행하고자 하는 인식 후 스포츠 참여에 대한 집착 또는 애착을 의미하는 것이며, 재참여 및 구전의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대학생들의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스포츠 재미와 여가만족에 관한 연구는 대학생들이 대학 정규과목 수업에서 자연스럽게 접하는 문화·환경적인 요인으로서 지속적인 참여의도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요건이 된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스포츠 참여에 있어서 재미는 즐거움, 기쁨, 만족 등에 관한 감정 상태로 스포츠 경험에 대한 의미부여를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범주이며(Kim & Park, 2005), 운동욕구나 운동을 지속, 유지할 수 있는 주요요인으로 작용한다(Han, Lee & Koo, 2010). 일반적으로 재미라는 요소는 거의 모든 여가활동 참가자들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체험으로 보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스포츠를 즐기는 참가자들은 긍정적인 정서로서의 스포츠재미를 공통적으로 체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Cho, Lee & Kim, 2008).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스포츠 현장에서 재미나 즐거움과 같은 긍정적 정서에 관한 선행연구(Deci & Ryan, 1985; Izard, 1991)들은 신체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심리적 효과와 함께 스포츠 참여의 지속적인 행동을 이끌어낸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참여 대학생들의 재미요인과 운동지속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Ko, Won & Kim, 2012), 그리고 각 교양체육 과목 특성에 따른 운동 몰입과 운동지속의사에 관한 연구(Jin & Oh, 2009; Park, Chung & Jeon, 2015)등 다방면에서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왔다. 특히, 교육현장에서의 재미요인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Yoon, Gui-Hyun(2006)의 연구에서는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재미요인으로 자유로움, 향상성 경험, 유능성 경험 등이 중요하다고 하였고, Lim & Kim(2006)는 스포츠 활동에서 느끼는 체험을 재미요인으로 강조하였다.
위의 선행연구들은 스포츠 활동에서 느끼는 재미 또는 즐거움 요인이 스포츠참여에 대한 지속적 행위임을 밝혀냈다. 하지만, 대부분 교양체육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 그리고 심리적인 요인에만 치중하여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사회심리적인 변인인 여가만족과 인과관계를 설명하는데 한계를 드러냈으므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한편, 여가만족이라는 개념을 살펴보면 어떠한 상황에서 적어도 중요한 목표를 성취하였다고 느끼는 정도, 그리고 효율적으로 주위의 환경과 잘 대응해 나아가 정서적으로나 상호적으로 어려움을 겪지 않고 수업상황에서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도로 정의할 수 있다(Choi, Ja-Kyung, 2002). 여가만족은 수업에 참가하는 학생들의 수업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긍정적이고 유쾌한 감정 상태라고 할 수 있다(Park, Kim & Cho, 2010). 이러한 여가만족은 수업재미 요인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으며(Kim, Jung-Ha, 2005), 지속적 참여의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yeon, Seon-Hee, 2006).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스포츠 참여에 있어서 여가만족이라는 요인은 지속적 참여의사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매개변인의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으나, 현재까지 스키수업 참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세 개의 변인들의 인과적 관계를 종합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동계스포츠 중 가장 대표적인 수업인 스키수업은 학생들이 지금까지 쉽게 접할 수 없었던 계절스포츠로 상당히 유익한 수업이라고 할 수 있으며(Kim, Ro & Kim, 2009), 대자연의 설원 속에서 스피디한 쾌감과 스릴을 느낄 수 있어 대학생들의 수업만족도도 매우 높은 편의 과목이라고 할 수 있다(Lim & Lee, 2011). 그러므로 스키수업에 참가하는 동안 과목을 통해 느꼈던 즐거움과 여가만족 및 지속적 참여의도를 알아보는 것은 그들의 감정과 체험을 깊이 이해한다는 점에서 상당히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스키수업 참여를 통해 느끼는 스포츠 재미요인을 바탕으로 참여대학생들의 여가만족과 지속적 참여의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대학스키수업의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수업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2.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가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스키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느끼는 스포츠 재미요인은 여가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스키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느끼는 스포츠 재미요인은 지속적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스키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여가만족은 지속적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앞서 설명한 가설 1, 2, 3은 세 변인 간에 인과관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여가 만족은 스포츠 재미에 영향을 받고, 동시에 지속적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들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2016년 12월 21일 ~ 24일까지 강원도 W스키리조트에서 실시된 M, G, H대학교의 동계스키수업에 참가한 대학생들을 대상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비확률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가운데 임의표집법(purposiv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총 28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의 배포와 회수의 절차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우선 연구자 본인과 다수의 설문조사 경험이 있는 석사급 보조연구원 3명이 함께 수업이 이루어지는 해당 스키장을 방문하였다. 설문 전 각각의 대학교 스키수업 담당교수와 강사에게 연구의 취지를 자세히 설명하고 충분한 동의와 협조를 구한 뒤에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 작성은 모든 수업일정을 마친 뒤 임의의 장소에서 이루어졌다.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에 의해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현장에서 즉시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조사내용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답변한 9부를 제외한 271부의 자료를 본 연구를 위한 최종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2. 조사도구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 조사도구는 설문지로서 모든 문항과 변인들은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 선행연구와 이론에 근거하여 구성한 후, 전문가집단(panel of expert)의 자문을 받아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를 확보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크게 4부분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5문항, 스키수업 참여 시 재미요인에 관한 14문항, 여가만족에 관한 14문항, 그리고 지속적 참여의도에 관한 8문항이며, <Table 2>와 같이 총 4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스포츠 재미요인은 Son, Jung-Min(2008)이 사용한 척도를, 여가만족은 Kim, Seung-Hyun(2014)이 사용한 여가만족 척도를 그리고 지속적 참여 의도는 Oh, Ji-Hyun(2015)이 사용한 척도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응답형태는 개방형 설문지(open-ended question)로 구성된 인구통계학적 문항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문항을 리커트(likert-scale)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3. 타당도와 신뢰도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먼저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과정 중 탐색적 요인분석을(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생략하여 진행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들은 선행연구에서 충분히 구성타당도가 검증되었기 때문이다(Kline, 2005). 본 연구에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한 적합도 지수는 Bentler와 Bonett(1980)이 제시한 NNFI(non-normed fit index), Bentler(1990)가 제시한 CFI(comparative fitindex) 그리고 Steiger와Lind(1980)가 제시한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를 활용하였다. 그 중 NNFI의 경우는 본 연구가 사용한 AMOS 20.0 프로그램 특성 상 NNFI가 TLI(Tuker-Lewis index)로 제시되었다. 또한 기준치를 바탕으로 TLI와 CFI의 경우 .900 이상, RMSEA의 경우 .080 이하를 적합도 지수 기준치로 제시하였다. 더불어 개념신뢰도(construct reliability: CR)와 분산추출지수(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값을 산출하여 집중타당도를 검증하였다. CR값과 AVE값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각각 .7과 .5를 기준치로 설정하였다(Hair, Black, Babin, & Anderson, 2006).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3>과 같이 나타나 모든 적합도 기준 수치를 만족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측정도구의 내적일관(internal consistency)신뢰도 측정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살펴본 결과, 모두 .70이상으로 나타나 신뢰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자료처리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20.0과 AMOS 18.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구체적인 자료처리 방법은 가장 먼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SPSS 20.0을 이용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요인별 문항의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한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했다. 그 다음으로 AMOS 20.0을 통해 타당도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과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확인을 위한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했다. 마지막으로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요인분석을 거친 측정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는 <Table 4>와 같이 변인 간의 상관관계가 모두 .80보다 낮게 나타나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된다(Bollen, 1989).
2. 연구모형의 적합도
본 연구에서는 구조모형의 모수 추정방법으로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ML)을 이용하였으며, 항목묶음 (item-parceling)을 실시하였다. Cho & Kang(2007)의 연구에 의하면 항목묶음은 각 구성개념의 측정지표들이 단일차원성(unidimensionality)전제를 충족시킬 경우 사용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구성개념에 대한 설문 문항의 수가 많을 경우, 모델의 적합도 지수가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설문 문항의 수가 많은 경우 항목묶음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항목묶음을 통해 스포츠 재미요인은 성취감, 건강, 부담감, 사회성으로 4가지 측정변수로 구성하였으며, 여가만족은 심리적 만족, 환경적 만족, 사회적 만족, 교육적 만족으로 4가지요인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지속적 참여 의도는 재참여 의도와 구전의도로 2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Table 5>와 같이 x²=519.376, df=215, TLI=.913, CFI=.903, RMSEA=.071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이 적합도 지수를 충족시키고 있으므로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3. 변인 간 인과관계 검증
본 연구에서는 변인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고 <Table 6>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스포츠 재미요인은 여가만족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만족의 경로계수는 .613, t값은 7.456으로 나타났고, 환경적 만족의 경로계수는 .321, t값은 3.753로 나타났고, 사회적 만족의 경로계수는 .124, t값은 1.710으로 나타났고, 교육적 만족의 경로계수는 -.056, t값은 -.086으로 각각 나타났다. 스포츠 재미요인은 여가 만족 중 심리적 만족과 환경적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재미요인은 지속적 참여의도 하위요인인 재참여 의도의 경로계수는 .260, t값은 3.756으로 나타났고, 구전의도의 경로계수는 .417, t값은 5.105로 나타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만족은 지속적 참여의도 하위요인인 재참여 의도의 경로계수는 .788, t값은7.319으로 나타났고, 구전의도의 경로계수는 .815, t값은 8.255로 나타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논 의
본 연구의 목적은 동계스키수업 참여 대학생이 지각하는 스포츠 재미, 여가만족, 지속적 참여의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연구방법의 절차에 따라 통계처리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스포츠 재미는 여가만족 하위요인인 심리적 만족과 환경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만족과 교육적 만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포츠 재밋거리가 여가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An & Seo, 2014; Kim, Ji-Young, 2009)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포츠 참여를 통해 느끼는 재미요인이 여가만족의 향상과 생활만족의 증진에 기여한다는 선행연구들(Brown & Franke, 1993; Keller, 1983)이 본 연구를 지지해 주고 있다. 스키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자연 그대로의 설원에서 이루어지는 스키수업을 통해 긍정적인 정서경험을 갖고 스키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뀌게 되면서 주관적 만족감을 상승시켜 나가기 때문에 여가만족에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스키수업을 통해 여가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 참여에 있어 참여동기와 지속적 참여의도로 작용하는 스키수업의 재미요인을 극대화 시키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스키수업에서의 만족요소를 높여주는 것은 대학생들의 여가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스포츠 재미는 지속적 참여의도인 재참여의도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포츠 참여에 있어서 재미요인은 지속적 참가의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Son & Kim(2013)의 연구와 스포츠 재미가 운동지속의사와의 밀접한 연관성을 제시하였던 Lim & Kim(2006)과 Ko, Won & Kim(2012)의 연구결과가 본 연구결과를 간접적으로 지지해 주고 있다. 결국 스키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재미가 지닌 순기능에 의해 발현되는 즐거움과 재미가 다시 스키장에 방문하여 참여하고 싶은 동기를 이끌어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선행연구에서도 재미는 참여자의 궁극적인 긍정적 정서를 이끌어내고, 이는 재참여 과정에 관여하기 때문에(Kim & Sung, 1996), 재미요인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핵심요인의 탐색과 현장 적용을 위한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여가만족은 지속적 참여의도인 재참여의도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가만족이 지속성이나 참가지속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ho, Oh & Koo, 2009; Oh, Jin-Sook, 2006). 스키 수업으로부터 느끼는 여가만족은 대학생들이 지속적 참여의도에 궁극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여가활동의 선택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상당히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단지 스키수업뿐만 아니라 대학생들이 평소에 쉽게 접할 수 없는 계절스포츠 수업이 확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여러 스포츠 종목을 다양하게 접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거시적인 측면에서 우리나라 여가 및 스포츠산업 발전을 위해 긍정적으로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동계스포츠 종목인 스키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스포츠 재미와 여가만족 및 지속적 참여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앞서 기술한 연구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 재미는 여가만족 하위요인인 심리적 만족과 환경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스키수업을 통해 긍정적인 정서경험을 갖고 스키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뀌게 되면서 주관적 만족감을 상승시켜 나가기 때문에 여가만족에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업 참여에 있어 참여동기와 지속적 참여의도로 작용하는 스키수업의 재미요인을 극대화 시키는 노력이 요구되었다. 둘째, 스포츠 재미는 지속적 참여의도인 재참여의도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재미가 지닌 순기능에 의해 발현되는 즐거움과 재미가 다시 스키장에 방문하여 참여하고 싶은 동기를 이끌어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미요인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핵심요인의 탐색과 현장 적용을 위한 지속적인 수업개발이 요구되었다. 셋째, 여가만족은 지속적 참여의도인 재참여의도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만족은 대학생들이 지속적 참여의도에 궁극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여가활동의 선택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상당히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이 여러 스포츠 종목을 다양하게 접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거시적인 측면에서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재미와 여가만족 및 지속적 참여의도만을 한정하여 조사하였지만, 지속적 참여의도를 궁극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한 다양한 요인들에 논의가 뒷받침 된다면 보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지속적인 참여가 아닌 1회성 또는 2회성적인 스키수업 참여 대학생들이기 때문에 한계점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었다. 차후 연구에서는 이들에 적용 가능한 맞춤형 조사도구 개발과 더불어 층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병행한다면 보다 종합적이고 실무적인 기여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 An, Kyoung-Il, & Seo, Dong-Kyun, (2014), The effects of fun factors in badminton club members on leisure satisfaction, exercise adherence and intention to dropout, Journal of Sport Science, 23(3), p349-364.
- Bentler, P. M., & Bonett, D. G., (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88(3), p588-597. [https://doi.org/10.1037//0033-2909.88.3.588]
-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p218-238.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238]
- Brown, B. A., & Frankel, B. G., (1993), Development differences in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competitive swimming,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12), p248-263.
- Cho, Bo-Sung, Lee, Yeon-Ju, & Kim, Mi-Lyang, (2008), The effect of sport enjoyment of badminton club members on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32(2), p35-45.
- Cho, Chag-Ok, Oh, Ah-Ra, & Koo, Kyo-Man, (2009), Participation Satisfaction on the Continuous Behavior after particip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Lifetime Sport,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5(1), p679-686.
- Cho, Eun-Young, & Kim, Soo-Hyun, (2008), The Relationships among the degree of Participation Motivation, Constant Intention of Participation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of the General Physical Education Program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22(4), p213-225.
- Cho, Hyun-Chul, & Kang, Suk-Woo, (2007), The Effects of Item Parceling on Causal Parameter Testing and Goodness-of-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17(3), p133-153.
- Choi, Eun-Young, (2004), The study on the attitudes of general undergraduate students toward and adpted physical activity as a selective cours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 Choi, Ja-Kyung, (2002), , The research of the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and satisfaction on the general physical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 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Y, Plenum. [https://doi.org/10.1007/978-1-4899-2271-7]
-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 Anderson, R. E.,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7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Han, Sang-Duk, Lee, Sang-Duk, & Koo, Chang-Mo, (2010),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s Between Sports Fun, Flow Experience and Exercise Addiction, Via MTB Mania Take Part in Competition,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9(5), p25-36.
- Han, Seung-Yu, (2011), Effect that college sports facilities users experience gets to college image,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42(1), p249-257.
- Hyeon, Seon-Hee, (2006), The Influence of Dance sport Fun Factors and Exercise Environment Satisfaction on Leisure Flow and Exercise Adherenc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5(4), p103-112.
- Izard, C. E., (1991), The psychology of emotions, NY, Plenum.
- Jin, Hyun-Joo, & Oh, Se-Yi, (2009), The Effects of Enjoyment and Goal Orientation of University`s Physical Activity Class on Flow,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7(1), p105-114.
- Keller, M. J., (1983), The relatioship between leisure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women,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national recreation and park association, Kansas City, MO.
- Kim, Byung-Jun, & Sung, Chang-Hoon, (1996), Enjoyment in Sport : Concepts-and Current Research,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7(1), p153-171.
- Kim, Dong-Whan, Ro, Do-Hyun, & Kim, Seung-Yong,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llege ski class-participants recognition of a professor`s behavior and intrinsic motivation, Learning flow, satisfaction with class & re-participation intention, Journal of Sport Education, 16(4), p105-124.
- Kim, Hyung-Ryong, & Park, Sun-Mun, (2005),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Motivations to Attend Leisure Sports and the Fun of the Spor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5(1), p489-499.
- Kim, Ji-Young, (2009), The Influence that the Participating Satisfaction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have on the Intent to Continue Spor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 Kim, Jung-Ha, (2005), Relationship between Tennis Fun and Exercise Immersion Experience Leisure Satisfaction, Korea Sport Research, 16(3), p883-887.
- Kim, Sa-Yeob, & Yang, Jong-Hun, (2009), The influence of the Fun Elements on leisure satisfaction and Self-Actualization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Journal Sport, 7(1), p61-70.
- Kim, Seung-Hyun, (2014), The relationship among leisure identity,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ing leisure activ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gin University, Yongin.
-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ublications.
- Ko, Young-Joo, Won, Hyung-Joong, & Kim, Mi-Hye, (2012), Relationship among Enjoyment Characteristics, Class Satisfaction and Exercise Adherence of University Student in Sport Fishing,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36(4), p1-12.
- Lim, Jin-Sun, & Lee, Chul-Won, (2011), The Relationships Between Satisfaction About Ski Class, Leisure Attitude and Leisure Flow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0(4), p251-262.
- Lim, Woo-Tak, & Kim, Young-Jae, (2006), Relationship between enjoyment of University Students' sports circle member and activity attitude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5(3), p265-272.
- Oh, Ji-Hyun, (2015), The impact of sport participant's 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on enjoyment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 Oh, Jin-Sook, (2010), The Relationship among Dance for Participation of Women, Flow Experience and Dance Adherence, Offici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22(1), p1-16.
- Park, Hee-Bae, Kim, Ji-Tae, & Cho, Nam-Heung, (2010), Relationship among Fun Factor, Leisur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a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Marine Sports Classes,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34(3), p257-267.
- Park, Sung-Un, Chung, Sam, & Jeon, Jeong-Woo, (2015), Relationship between enjoyment factor of water sports class as general physical education in college, sports value and exercise adherenc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4(4), p179-188.
- Seo, Hee-Jin, (2003), Relationships among Sport Participation, Peer Relations and Deviant Behaviors in Youth,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2(3), p143-152.
- Son, Jung-Min, (2008), The Consideration on the Amusement Element and Participation Recognition and Lesson Satisfaction of a University Culture Dance Sports Less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 Son, Seung-Bum, & Kim, Chun-Jong, (2013), An Examination of Model on Relationship among Risk Perception, Fun Factors and Continuous Participate Intention in Water-Sports Club Member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2(4), p389-399.
- Weinberg, R. A., & Gould, D. G., (1995), Foundations of sports and exercise psychology, Champaign, IL, Human Kinetics.
- Yoon, Gui-Hyun, (2006), An Analysis about the Structure of Enjoyment Factors in Junior College P. E. Classes, Korea Sport Research, 17(1), p505-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