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역량에 대한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간 인식 비교
Abstract
As lifelong education field has grown, the number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re constantly increasing.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 to be more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Unlike teachers at school,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have more influence on lifelong education learners because they take all the responsibility for the operation from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o implementation of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and adult learner on instruction competency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To achieve research goal,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an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s a result,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perceived the competency of implementation of teaching materials 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while they perceived the competency of supporting learning activities as the least important one. On the other hand, adult learners perceived the competency of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whereas they perceived the competency of supporting learning activities as the least important one like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While both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and adult learners have the same priority perceptions on the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previous teaching that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he study shows that they have different priorities when the same subordinate competencies are given.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 are suggested.
Keywords: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Instructor competency, Adult learnerⅠ. 서 론
지식의 창출, 공유, 확산으로 인하여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평생교육의 양적 성장과 함께 질적 수준의 제고를 위해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교육의 패러다임이 교수자중심의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수업으로 변화하면서 교수자는 교수역량 강화를 위해 지식 전달의 관점에서 지식 구성의 관점으로 전환하여 교육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교수역량이란 수업의 과정에서 성공적인 수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수 관련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총제적인 교수자로서의 자질을 의미한다(Lim & Kim, 2007).
Jung(2012)은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교수학습기획은 교수자의 학습목표 수립 및 교육내용 설계, 개발에 관한 역량, 둘째, 교수학습실행은 기획된 교수학습 과정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역량, 셋째, 교수학습관리는 체계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여러 요소들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역량, 넷째, 학습활동지원은 학습자의 학습력 향상을 위해 학습자를 지원하고 학습활동을 촉진하는 역량이라 하였다. 이렇게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평생교육교수자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평생교육기관에서 종사하는 평생교육교수자는 학교 교사와 달리 커리큘럼을 직접 개발하고 진행하는 모든 과정에 책임을 가지고 있어 성인학습자들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그러나 평생교육교수자에 대한 연수 및 지원의 기회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학교 교사와 비교하면 평생교육교수자는 전문성에 대한 세부 기준이나 공공연한 자격 검증이 없으며 이렇다 할 평생교육교수자들의 정규 양성과정도 없다. 따라서 다수의 평생교육교수자는 교수방법이나 성인학습자에 대한 이해는 물론, 평생교육에 대한 학문적·제도적 지식이 부족한 상태로 평생교육현장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평생교육은 누구나 배울 수 있으며, 누구나 가르칠 수 있다는 이념이 전제되어 있지만 교수능력이 없는 교수자로 인하여 교육효과의 저하는 물론 성인학습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Choi, et al., 2005). 또한 Park(2015)은 성인학습자들의 평생교육기관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 비용보다는 교육서비스와 교수자, 접근성, 정보제공 등의 만족도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이와 같이 평생교육교수자는 교육의 전체적 수준을 결정하는 데 큰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평생교육교수자에 대한 보다 많은 실질적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Jung(2012)은 평생교육교수자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파악하는 것이 시급하며 그 중에서도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고 언급하였다.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부각되고 있지만(Kim & Ahn, 2016; Lee, 2013), 평생교육교수자의 관점과 동시에 성인학습자의 인식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학교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연구(Mun, 2002; Han, 2016)는 있으나, 평생교육교수역량에 대한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 간의 인식 차이를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자질을 능가할 수 없다는 말이 있다. 이처럼 평생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한 지와 성인학습자에게 질적인 평생학습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현실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교수자가 지녀야 할 교수역량에 대한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 간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해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 간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한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 간 인식내용의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기대효과는 평생교육교수자는 자신의 역량 수준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되고, 성인학습자 간 인식 차이를 통해 부족한 역량 강화와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리라 본다.
Ⅱ. 이론적 배경
1.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
평생교육교수자는 평생교육기관에서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 및 학습자에 대한 이해와 교수능력을 가지고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가르치는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을 말한다(Choi, et al., 2005; Song, et al., 2016). 본 연구에서 평생교육교수자는 교수자의 개인적 특성과 강의영역, 활동하고 있는 기관의 유형 등과 상관없이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교수자 모두를 포함한다.
평생교육교수자는 평생학습자들의 학습요구를 제대로 반영해야 하며, 평생교육의 전문화와 평생교육의 질적 수준 제고를 함께 담당해야 한다. 이것은 단순한 양적인 증가를 말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요구, 교수자의 수 등 늘어나는 수요에 맞추어 질적인 성장이 이루어져야만 평생교육이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평생교육은 교육을 받는 대상과 교육내용이 매우 다양하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평생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들은 학교교육처럼 정해진 대상과 교육내용에 맞추어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성을 가진 교육이 조화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이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평생교육 담당자인 평생교육교수자이다(Kim, 2006; Ryu & Ahn, 2017).
평생교육현장에서 활동하는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에 관련하여 McGreal(1983)은 목표설정, 계획수립, 수업진행, 평가 능력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고, Brookfield(1986)는 학습자 욕구파악, 수업설계, 교육과정개발, 학습 촉진, 학습동기 유발을 강조하였다. Knowles(1989)는 성인학습자들의 발달특성과 학습자의 학습 경험 고려,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실천하는 능력,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성 신장, 학습방법 및 프로그램 설계 및 실행, 효과적인 관계유지 능력을 제시하였고, Galbraith(1998)는 교육과정 개발, 학습 분위기 형성,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비판적 사고와 자기주도성 촉진을 언급하였다.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을 평생교육 실천현장에서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효과성, 효율성, 매력성을 높이기 위해 차별화된 전문성으로 새로운 교육적 가치를 창출하고 학습자의 교수학습활동을 지원 및 촉진하는 능력이라 하였다(Jung, 2012; Jung, 2016).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을 특정 교수맥락에서 성공적인 가르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교수 개인적 특성과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총체라고 하였다(Ahn & Lim, 2015). 그러므로 교수자, 학습자, 교육환경 및 교육과정 등의 각 요소가 적절히 융화되어야 하는 교수-학습 맥락에서, 교수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평생교육교수자의 역량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과 교수-학습의 질적 향상을 위해 반드시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Joo & Yoon, 2004).
2. 성인학습자
성인학습은 성인학습자들의 생활경험, 직업경험, 학습경험 등에 근거하여 학습활동이 전개된다는 것과 성인학습자가 학습활동의 계획이나 실천에 기본적인 책임을 지니고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과 교육기관이나 지도자가 학습관리에 책임을 지고 있는 타자 주도적 학습으로 운영되고 있다(Kwon & Jo, 2011). 이에 성인학습자는 자기주도성, 내재적 동기, 환경과의 능동적인 상호작용, 생활중심문제, 자기확신, 자기반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주도적이며 경험에 기반한 학습을 하고 있다. 성인학습자는 현실문제에 많은 관심을 갖기 때문에, 내재적 동기를 가지고 학습에 임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리고 연령에 따라 신체적 변화로 학습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교육내용이나 교수법 또는 학습결과에 대해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Kim, 2008). 이러한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감안할 때 평생교육교수자는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 내재적 동기, 환경과의 능동적인 상호작용, 생활중심문제, 자기 확신, 자기성찰이라는 특징을 고려해야 한다(Yun, 2000).
Lee(2012)는 평생교육교수자의 자질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인식을 연구한 결과, 성인학습자들이 교수자의 자질 중 가장 높은 인식을 보인 것은 교수자의 인성 및 태도였으며, 가장 낮은 인식을 보인 것은 교수자의 학습자에 대한 정보제공과 지원이었다. 또한 성인학습자들은 평생교육교수자의 자질을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성인학습자들은 교수자의 자질에 대한 중요도에서 높은 인식을 보일수록 학습만족도가 높다고 하였다. 이처럼 성인학습자가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을 인식한 연구는 있으나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 간의 교수역량에 대한 상호 인식비교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본 연구는 부·울·경 지역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평생학습도시 평생학습센터, 문화센터, 평생학습관, 대학평생교육원, 민간평생학습단체 및 시설 등을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평생교육교수자의 경우, 평생교육기관에서 강의를 최소 1년 이상 근무한 이력이 있는 교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성인학습자의 경우,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최소 한 분기(3개월)이상 수강한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자가 편의표집에 의해 평생교육교수자 130명, 성인학습자 230명을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평생교육기관에 직접 또는 동료의 협조를 얻어 배부하거나 온라인으로 설문을 배부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설문지는 총 360부를 배부하여 평생교육교수자 128부, 성인학습자 225부, 총 353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된 설문지를 제외하고 평생교육교수자는 123부, 성인학습자는 208부, 총 331부(회수율: 91.9%)를 최종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평생교육교수자,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회도서관에서 학술지, 단행본, 석·박사 학위논문, 보고서 등의 연구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Jung(2012)과 Kim & Jeon(2007), Kim et al. (2007)의 연구를 상호 비교하여 공통점이 형성되는 역량을 사용하여 설문도구를 구성하였다.
셋째, 평생교육 현장 실무자와 학계 전문가들에게 설문구성 및 설문내용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설문문항을 수정·보완하였고,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넷째, 자료 수집은 2016년 10월 26일부터 11월 9일까지 실시했으며, 부·울·경 지역에 위치한 평생교육기관에서 활동한 평생교육교수자 130명,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학습자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 연구도구
본 연구의 도구는 Jung(2012), Kim & Jeon(2007), Kim et al. (2007)의 연구를 상호 비교하여 하위역량들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평가준거의 문항을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의 설문문항으로 개발하였다. 설문문항의 수정 및 보완을 통해 조사도구를 개발하였고,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평생교육교수자의 실천정도에 따라 ‘전혀 못하고 있다’, ‘못하고 있다’, ‘보통이다’, ‘잘하고 있다’, ‘매우 잘하고 있다’로 구성하였다. 이를 평생교육현장실무자(평생교육사, 교수자) 10명과 학계 전문가 3명에게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아 문항내용이 어색하거나 복합적인 문항을 수정·보완하였고, 요인분석을 통한 구인타당도를 확보하여 설문도구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에 대한 전체 문항을 Cronbach's Alpha 계수를 통해 산출하였다. 첫째, 평생교육교수자의 신뢰도는 교수학습기획(.91), 교수학습실행(.87), 교수학습관리(.90), 학습활동지원(.86)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신뢰도는 교수학습기획(.94), 교수학습실행(.93), 교수학습관리(.95), 학습활동지원(.93)으로 나타났으며 산출결과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의 교수역량별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자료 분석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한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 간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후, 결과를 활용하여 교수역량의 하위 역량별 우선순위를 비교 분석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 간의 인식분석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한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 간 인식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생교육교수자는 교수학습실행(4.32)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교수학습기획(4.31), 교수학습관리(4.30), 학습활동지원(4.03)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수학습기획역량에서는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는 과제제시(M=4.49), 프로그램의 핵심적인 내용 포함 여부(M=4.47)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학습실행역량에서는 학습자에 대한 성의 있는 답변(M=4.58), 질문을 허용하는 분위기(M=4.57), 활발한 수업분위기 유지(M=4.55)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관리역량에서는 학습자의 자율성 촉진(M=4.47), 수업내용 요약 제시(M=4.37)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습활동지원역량에서는 교육기회에 관한 정보제공(M=4.15), 학습과정 성찰(M=4.12), 진로에 관한 정보제공(M=3.96)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인학습자는 교수학습기획(4.13)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교수학습관리(4.12), 교수학습실행(4.10), 학습활동지원(3.95)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수학습기획역량에서는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는 과제제시(M=4.30), 프로그램의 핵심적인 내용 포함 여부(M=4.24)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학습실행역량에서는 활발한 수업분위기 유지(M=4.37), 학습자에 대한 성의 있는 답변(M=4.29)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관리역량에서는 학습자의 자율성 촉진(M=4.25), 학습자를 고려한 평가기준(M=4.16)의 순으로, 학습활동지원역량에서는 교육기회에 관한 정보제공(M=4.00), 학습과정 성찰(M=4.03)의 순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간 비교 결과, 평생교육교수자는 교수학습실행역량, 성인학습자는 교수학습기획역량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평생교육교수자가 강의준비에 따른 교수학습 실행을 중시하는데 반해 성인학습자는 학습프로그램 수강시 학습목표, 학습내용과 구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평생교육교수자는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한 모든 영역에서 성인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의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 학습활동지원을 제외한 교수학습기획, 교수학습실행, 교수학습관리에서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 간 교수역량 인식 우선순위 분석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한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 간의 인식분석을 통해 나타난 교수역량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Table 2> 참고)
먼저,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을 3순위까지 살펴보면,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는 과제개발(4.49)이 1순위였으며, 그 다음은 프로그램의 핵심적인 내용 포함 여부(4.47),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학습내용 설정(4.38) 순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실행에서는 학습자에 대한 성의 있는 답변(4.58)이 1순위였으며, 그 다음은 질문을 허용하는 분위기(4.57), 활발한 수업 분위기 유지(4.55) 순으로 나타났고, 교수학습관리에서는 학습자의 자율성 촉진(4.47)이 1순위였으며, 그 다음은 수업내용 요약 제시(4.37), 학습자를 고려한 평가 기준(4.37) 순으로 나타났다. 학습활동지원에서는 교육 기회에 대한 정보 제공(4.15)이 1순위였으며, 그 다음은 학습과정 성찰(4.12), 진로에 관한 정보제공(3.96) 순으로 나타났다.
성인학습자의 경우, 교수학습기획에서 1순위는 평생교육교수자와 마찬가지로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는 과제개발(4.30)이었으며, 그 다음은 프로그램의 핵심적인 내용 포함 여부(4.24), 체계적인 학습내용 구성(4.23) 순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실행에서는 활발한 수업분위기 유지(4.37)가 1순위였으며, 그 다음은 학습자에 대한 성의 있는 답변(4.29), 질문을 허용하는 분위기(4.27) 순으로 나타났고, 교수학습관리에서 1순위는 평생교육교수자와 마찬가지로 학습자의 자율성 촉진(4.25)이 1순위였으며, 그 다음은 학습자를 고려한 평가 기준(4.16), 학습자의 고민파악(4.14) 순으로 나타났다. 학습활동지원에서는 학습과정 성찰(4.03)이 1순위였으며, 그 다음은 교육 기회에 관한 정보 제공(4.00), 인적자원네트워크 형성(3.93)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정리하면 먼저, 교수학습기획역량에서 두 집단별 1순위, 2순위는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는 과제개발, 프로그램의 핵심적인 내용 포함여부로 같았으며, 평생교육교수자의 3순위는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학습내용설정이고, 성인학습자의 경우 3순위는 체계적인 학습내용 구성이었다. 교수학습실행역량에서는 두 집단의 우선순위 1순위, 2순위, 3순위 모두 서로 흡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교수학습관리역량에서 두 집단의 1순위는 학습자의 자율성 촉진으로 같았고, 평생교육교수자의 2순위는 수업내용 요약제시, 3순위는 학습자를 고려한 평가기준이었고, 성인학습자의 경우, 2순위는 학습자를 고려한 평가 기준, 3순위는 학습자의 학습고민 파악으로 나타났다.
학습활동지원역량에서는 두 집단 사이에 동일한 순위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기회에 관한 정보제공이 평생교육교수자는 1순위를, 성인학습자는 2순위를, 학습과정 성찰이 평생교육교수자는 2순위를, 성인학습자는 1순위를 하여 두 집단 사이에 차이 있는 결과가 나왔다. 평생교육교수자의 3순위는 진로에 관한 정보제공이었으며, 성인학습자는 인적자원네트워크 형성으로 나타났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한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 간의 인식분석과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한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 간 교수역량 인식 우선순위 분석에 대해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교수자 교수역량에 대한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 두 집단 간 인식을 분석한 결과 평생교육교수자는 교수학습실행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교수학습기획, 교수학습관리, 학습활동지원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성인학습자는 교수학습기획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교수학습관리, 교수학습실행, 학습활동지원 순이었다. 평생교육교수자가 교수학습실행역량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은 교수자로서 사전에 미리 강의 준비와 기획된 교수학습과정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성인학습자가 교수학습기획역량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은 학습자들도 프로그램을 수강할 때 학습내용과 구성, 수업계획안을 충분히 고려하여 학습활동을 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한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 간의 인식분석 결과,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 모두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 중 학습활동 지원역량을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평생교육교수자의 관점에서 Kim & Ahn(2017)의 현재수준의 차이분석과 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학습활동지원역량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는 연구결과와 비슷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 간 인식 차이 비교 결과, 교수학습기획, 교수학습실행, 교수학습관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습활동지원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이를 근거로 학습활동지원역량을 낮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은 평생교육교수자 자신과 성인학습자 또한 평생교육교수자가 학습활동 지원을 잘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한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 간의 인식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교수역량별 하위 역량에 대해 우선순위를 1∼3까지 살펴보면,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학습기획에서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는 과제개발이 1순위였으며, 교수학습실행에서는 학습자에 대한 성의있는 답변, 교수학습관리에서는 학습자의 자율성 촉진, 학습활동지원에서는 교육 기회에 대한 정보 제공이 1순위로 나타났다.
성인학습자의 경우, 교수학습기획에서는 평생교육교수자와 마찬가지로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는 과제개발이 1순위였으며, 교수학습실행에서는 활발한 수업분위기 유지가 1순위로 나타났다. 교수학습관리에서는 평생교육교수자와 마찬가지로 학습자의 자율성이, 학습활동지원에서는 학습과정 성찰이 1순위로 분석되었다.
이후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부·울·경 지역 소재 평생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후속연구에는 연구대상 표집이 다양한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가 설문조사 참여를 통해, 주관적 판단에 의해 작성된 자료가 수집되었다. 특히,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에 관한 연구는 평생교육교수자의 주관적 판단은 개인적 성향 및 특성에 따라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향후에는 관찰과 인터뷰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평생교육교수자 자신의 주관적 판단을 제거할 수 있는 질적 연구방법이 설문조사와 같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연구도구 구성 시 리커트 척도를 통해서만 두 집단의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 비교를 진행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교육 요구도 분석을 추가하여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특성과 배경변인에 따라 요구하는 교수역량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교수역량에 대한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 간 인식 비교를 연구하였다. 기존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평생교육교수자와 성인학습자 두 집단 간의 인식 비교를 통해 평생교육교수역량에 대한 상호 선호하는 관점을 살펴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평생교육교수자는 평생교육교수자 개발과정에서 교수역량을 더욱 강화할 수 있고, 평생교육기관 운영자는 성인학습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질을 제고할 수 있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김재은의 석사학위논문 일부를 축약한 것임.
References
- Ahn, S. R., and Lim, K. Y., (2015), Needs analysis for teaching competencies of cyber university instructors in South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7(3), p375-400.
- Brookfield, S., (1988), Training Educations of Adults, London:, Routedge.
- Choi, U. S., Lee, J. I., Kwon, D. S., and Jun, D. K., (2005), A Study on Institutional Conditions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Seoul, KEDI.
- Galbraith, M. W., (1998), Adult Learning Methods: A Guide for Effective Instruction (2nd ed.), Malabar, FL: Krieger Publishing Company.
- Han, J. E., (2016),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s of Secondary English Teacher Capability between English Teachers and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Joo, Y. J., and Yoon, A.H., (2004), Research study on the importance and presence of cyber university instructor support service,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8(1), p5-23.
- Jung, J. Y.,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to reinforce the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instructive competencies, Studies on Education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24(2), p210-223. [https://doi.org/10.13000/jfmse.2012.24.2.210]
- Jung, J. Y., (2016), The development of CHANGE flipped learning instructional model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Fishier and Marin Educational Research, 28(6), p1834-1847.
- Kim, H. S., (2008),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Learning Outcome of Adult Learners and Education Factors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Masters’ Thesis, Changwon University.
- Kim, J. H., (2006), Lifelong Education Practitioners' Perceptions and Evaluations of Their Tasks,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 Kim, M. J., and Ahn, Y. S., (2017), Analysis of education needs for instructional competency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6(4), p41-56.
- Kim, Y. H., and Jun, D. K., (2007), The Job analysis of lifelong education lecturers,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0(3), p63-86.
- Kim, Y. H., Jeon, D. G., and Choi, J. C., (2007), Criteria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lecturer,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4(2), p155-186.
- Knowles, M. S., (1989), The Making of on Adult Educator, San Francisco, Jossey-Bass.
- Kwon, D. S., and Jo, A. M., (2011), Adult Learning and Counselling, Seoul, Kyoyookgwahaksa.
- Lee, Y. K., (2013), A Study on the Awareness of Adult Learners about the Qualifications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Lim, Y. S., and Kim, Y. J., (2007), The analysis of core lecture competency of university professor,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5(4), p414-433.
- McGreal, T. L., (1983), Successful Teacher Evaluation, Alexandria, VA: ASTD.
- Mun, H. G., (2002), A Study of the Recognition and Expectation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on the Class-managing Teacher's Performances,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Park, K. M., (2015), An Influence of Relationship Marketing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on th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of Adult Learner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 Ryu, S. H., and Ahn, Y. S., (2017), Needs analysis for facilitation competency of lifelong educator,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9(6), p1747-1757.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6.1747]
- Song, K. H., Jung, J. Y., and Ahn, Y. S., (2016), Relation research on participation valence and learning flow of adult learner in the credit bank system,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8(5), p1209-1218. [https://doi.org/10.13000/jfmse.2016.28.5.1209]
- Yun, U. S., (2000), Adult learning and development education: Psychological perspectiv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4(4), p3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