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2, No. 1, pp.246-257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9 Feb 2020
Received 06 Jan 2020 Revised 28 Jan 2020 Accepted 31 Jan 2020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0.2.32.1.246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 다문화 효능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장순양 ; 서인주
대구대학교(교수)
대구보건대학교(교수)
Influence of Cultural Competency and Multicultural Efficacy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Soonyang JANG ; Inju SEO
Daegu University(professor)
Daegu Health College(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3-320-1437, christina2740@hanmail.ne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on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243 nursing students in A city. Questionnaires including demographics, cultural competency, multicultural effica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utilized.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5, 2018 to December 14, 2018.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with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multicultural efficacy, cultural competency, and major satisfaction. Also,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model showed these factors explained 38.1% of the variance in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these factors, multicultural efficacy was the strongest predictor, followed by cultural competency, major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it is ne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considering these factors to improve nursing professionalism. Through these efforts will contribute to improve quality of nursing education and to enhance nursing professionalism of undergraduate students.

Keywords:

Cultural competency, Multicultural efficacy, Nursing professionalism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과거와 달리 한국 사회는 국제결혼, 외국인 근로자, 장기체류자, 탈북 새터민, 유학생 등이 유입되면서 급속하게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2016년 176만 명을 넘어섰고 2020년에는 250만 명으로 예측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우리나라 총 인구의 5%를 차지한다(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MIS], 2017). 다문화 사회로 급속히 이행하는 상황에서 한국인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 수준은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외국인들과 직접 교류하고자 하는 의지는 낮고, 이주민이 일방적으로 한국에 동화하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Moon, 2019).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교육에서 다문화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됨에(Banks and Banks, 2009) 따라 초・중・고등학교 과정에서 의무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학교육에서는 다문화 교육이 의무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대학의 자율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Moon, 2019). 대학생은 미래의 사회 구성원이므로 대학에서 다문화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각 나라의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타문화와 소통할 수 있는 세계 시민의식을 함양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Hwang et al., 2015).

최근 다문화 대상자의 건강관리를 위해서 국가에 다문화가족지원법과 같은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이들의 의료기관 이용이 늘어나고 있지만, 다문화 대상자들은 여전히 편견이나 의사소통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의료서비스에 접근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Nam and Jeong, 2013).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의료현장에서는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인의 역할과 업무의 전문성(Hwang and Shin, 2017), 다문화사회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변화(Yang et al., 2012)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간호대상자가 증가하면서 국내 간호사는 이들의 다양한 문화적, 사회적 배경 등에 대해 이해하고 대상자의 고유한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간호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이 요구된다(Peek and Park, 2013). 특히 예비 의료인으로서 간호대학생이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다문화 사회에 대해 편견 없이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해야 할 것이다(Kim and Yu, 2012). 이에 국내 간호교육에서도 다문화에 대한 내용을 간호학문과 연계할 수 있도록 다문화 관련 교과목을 개발하여 정규 교육과정에 도입하고 있다(Chae and Kim, 2016; Kim and Lim, 2014; Yoo and Lee, 2014). 앞으로 간호대학생은 민족이나 인종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 등에서 벗어나서 다문화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화적 역량(Kim and Kim, 2013)과 다문화 효능감(Kim and Lim, 2014)을 함양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맞춘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확립이 요구된다.

간호전문직관은 전문직으로서 간호에 대한 체계화된 견해와 간호활동 과정, 간호사 직업에 대한 의식적인 견해를 의미한다(Hwang and Shin, 2017). 바람직한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사가 자신이 제공한 간호에 대해 만족하고 대중으로부터 간호의 가치를 인정받는데 필수적인 개념이다(Adams and Miller, 2001). 간호전문직관이 긍정적일수록 직무만족이 높고 이직률이 감소하며, 효과적인 간호업무 수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Han et al., 2008). 최근 다른 전공에 비해 취업률이 높다는 이유로 자신의 적성을 고려하지 않고 간호학과를 지원하는 간호대학생이 늘어나고 있다(Kim and Jang, 2012). 이렇게 진학한 간호대학생들은 학업에 대한 부담감, 학업에 대한 동기 부족, 진로에 대한 고민, 임상실습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고(Cook et al., 2003; Park, 2017), 학교생활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Choi and Park, 2013). 간호대학생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할 경우에 신체질환이나, 자신감 저하, 전공 불만족, 학업 성취도 저하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Jun and Lee, 2016; Park and Jang, 2010). 대학교육과정에서 임상수행능력을 함양하지 못한다면 졸업 후 신규간호사가 되었을 때, 간호현장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Jo and Kang, 2015).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성공적 대학생활은 졸업 후 간호현장에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데 중요하며(Jun and Lee, 2016), 간호교육을 통한 바람직한 간호전문직관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Ko and Kim, 2011). 간호대학생은 대학생활을 통해 미래의 간호사로서의 전문가적 소양, 간호 지식, 임상수행능력을 배우고(Park and Jeong, 2013), 이러한 과정에서 간호전문직관을 지속적으로 형성하게 된다(Kim, 1995). 간호전문직관은 전문직 간호사로서 역할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 대학생활을 통해 성취해야 할 기본 자질이며(Park, 2015), 간호대학생 때 형성된 간호전문직관이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으로 이어진다(Kim, 1995). 이에 한국간호교육평가원(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8)은 3주기 간호교육 인증평가에서는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졸업 학년에 달성해야 하는 학습성과 중 하나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문화의 대상자에게 간호를 제공해야 하는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 형성을 위해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와 관련된 연구에서 간호전문직관은 셀프리더십, 비판적 사고성향, 전공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나타났고(Park, 2015), 전공만족도(Ahn and Song, 2015; Hwang and Shin, 2017),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무력감(Hong and Park, 2014), 자아탄력성(Lee, 2016) 등을 주요 관련요인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는 사회적 배경을 고려하여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관련요인으로 문화적 역량, 다문화 효능감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문화적 역량과 다문화 효능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바람직한 간호전문직관을 정립하기 위한 교과목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 다문화 효능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문화적 역량, 다문화 효능감과 간호전문직관 정도를 파악한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적 역량, 다문화 효능감과 간호전문직관 정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셋째, 대상자의 문화적 역량, 다문화 효능감과 간호전문직관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넷째,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다문화 효능감과 간호전문직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는 D시에 소재한 2개 4년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출한 후에 자발적으로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자를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G-power 3.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에 필요한 표본수를 유의수준 .05, 효과크기는 중간 효과크기인 .15, 검정력 95%, 예측요인 16개를 기준으로 산출하였을 때 최소 204명이었으며, 탈락율을 고려하여 260부를 배부하였다. 실제 연구 참여에 동의한 252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나 설문지 응답을 누락한 9명를 제외하고, 최종 243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3.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D대학교 연구윤리위원회의 연구승인(승인번호 104621-201811-HR-002-02)을 받은 후 시행하였다. 연구자는 참여자의 자발적인 연구 참여를 위해 연구자는 자료수집 전에 연구의 목적, 설문 소요시간, 수집한 자료의 익명성 보장, 연구 참여를 원하지 않을 경우 어떠한 불이익도 없는 것, 연구가 종료된 후 수집한 자료의 폐기 방법 등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내용이 포함된 연구 참여 동의서에 연구대상자가 직접 서명을 하도록 하였다. 연구자는 수집된 설문지 자료와 부호화한 자료를 연구종료 보고 3년 후에 영구 폐기할 것이다.

4. 연구도구

가. 문화적 역량

Han(2014)이 개발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은 문화적 인식 4문항, 문화적 지식 9문항, 문화적 민감성 3문항, 문화적 기술 6문항, 문화적 경험 4문항으로 구성된 총 27문항의 도구이다.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문화적 역량이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Cronbach's α는 .91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4이었다.

나. 다문화 효능감

Lim and Oh (2010)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연구자가 간호대학생에 맞게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하위영역은 일반기능 측면 4문항, 인간관계 측면 3문항, 다문화가정 배려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매우 그렇다’5점의 Likert 5점 척도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다문화 효능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Cronbach’s α는 .87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는 .92이었다.

다. 간호전문직관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Yeun, Kwon and Ahn(2005)가 개발한 29문항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29문항으로 이루어진 Likert 5점 척도이며, 하위영역은 전문직 자아개념 9문항, 사회적 인식 8문항, 간호의 전문성 5문항, 간호실무 역할 4문항, 간호의 독자성 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매우 그렇다’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전문직관이 높은 것을 의미하며 Yeun, Kwon and Ahn(2005)의 연구에서 전체 Cronbach's α는 .92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3으로 나타났다.

5.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D시에 소재한 2개 4년제 대학의 간호학과장에게 사전에 연구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자료수집에 대한 허락을 받은 후 2018년 12월 5일부터 12월 14일까지 실시하였다. 간호대학생들의 수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수업 종료 후 쉬는 시간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이들이 자발적으로 연구동의서에 서면하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자가 직접 강의실 앞에 배치한 수거함에 작성한 설문지를 자율적으로 넣도록 하였다. 총 260부의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배부하여 252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응답내용이 불성실한 9부를 제외하고 243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6. 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문화적 역량, 다문화 효능감과 간호전문직관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문화적 역량, 다문화 효능감과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여자가 201명(82.7%), 남자 42명(17.3%)으로 여학생이 더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20.77세이고, 20세 이하가 156명(64.2%), 21세 이상이 87명(35.8%)으로 나타났다. 종교는 무교가 159명(65.4%)으로 많았다. 전공만족도는 만족하는 경우가 108명(44.4%), 보통 이하 135명(55.6%)이었다. 간호학과 선택 동기는 취업을 고려해서가 87명(35.8%), 내적요인 86명(35.4%), 외적요인 70명(28.8%)으로 나타났다. 인간관계가 좋은 경우는 124명(51.0%), 보통 이하인 경우는 119명(49.0%)이었고, 다문화 교육을 받은 경우는 192명(79.0%)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은 195명(80.2%)으로 나타났고, 해외체류 경험이 없는 경우가 216명(88.9%)로 많았다. 외국인 친구가 있는 경우보다는 없는 경우가 191명(78.6%)로 더 많았다. 또한 다문화 교육이 필요하다고 대답한 경우가 216명(88.9%)으로 더 많았고, 다문화 교육 수강의도가 있는 경우 151명(62.1%)으로 나타났다(<Table 1>참조).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N=243)

2. 문화적 역량, 다문화 효능감 및 간호전문직관

대상자의 문화적 역량은 5점 만점에 3.46±0.53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에서 문화적 인식이 4.12±0.61점으로 가장 점수가 높았고, 문화적 민감성 3.93±0.63점, 문화적 경험 3.33±0.75점, 문화적 기술 3.26±0.75점, 문화적 지식 3.11±0.69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효능감은 3.99±0.57점으로 문화적 역량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다문화 효능감 중에서는 인간관계 증진이 4.07±0.68점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일반적 기능 4.01±0.59점, 다문화 가정에 대한 배려 3.86±0.63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3.78±0.50점으로 나타났다(<Table 2>참조).

Scores of Cultural Competency, Multicultural Effica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N=243)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적 역량, 다문화 효능감 및 간호전문직관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적 역량은 전공만족도(t=2.112, p=.036), 인간관계(t=4.521, p<.001), 다문화 교육 경험 유무(t=-2.780, p=.006), 다문화 교과목 수강 여부(t=-2.809, p=.005), 외국인 친구 유무(t=-2.697, p=.009), 다문화 교육 필요성 유무(t=4.078, p<.001), 다문화 수강의도 유무(t=-3.759,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 효능감은 인간관계(t=2.238, p=.026), 다문화 교육 경험 여부(t=-3.290, p=.001), 다문화 교과목 수강 여부(t=-4.533, p=.002), 외국인 친구 유무(t=-2.323, p=.021), 다문화 교육 필요성 유무(t=5.511, p<.001), 다문화 수강의도 유무(t=-3.307,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전공만족도(t=2.866, p=.005), 인간관계(t=3.380, p=.001), 다문화 교육 경험 여부(t=-3.358, p=.001), 다문화 교과목 수강 여부(t=-3.875, p=.001), 다문화 교육 필요성 유무(t=4.294, p<.001), 다문화 수강의도 유무(t=-3.557, p<.001)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Table 3>참조).

Cultural Competency, Multicultural Effica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N=243)

4. 문화적 역량, 다문화 효능감 및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간호전문직관은 문화적 역량(r=.517, p<.001), 다문화 효능감(r=.579, p<.001)과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참조).

Correlation of cultural competency, multicultural effica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N=243)

5.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간호전문직관을 종속변수로 하였고, 일반적 특성 중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전공만족도, 인간관계, 다문화 교육 경험 여부,다문화 교과목 수강 여부, 다문화 교육 필요성 유무, 다문화 수강의도 유무와 상관관계 분석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문화적 역량과 다문화 효능감을 독립변수로 하여 단계적 방식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전공만족도, 인간관계, 다문화 교육 경험 여부,다문화 교과목 수강 여부, 다문화 교육 필요성 유무는 더미변수로 처리하였다.

각 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을 확인하기 위해 분산팽창인자(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를 산출하였을 때 1.000∼1.654으로 10보다 작아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차한계(Tolerance)는 .612∼1.000으로 0.1이상이었으며, Dubin-Watson 통계량은 1.913으로 2에 가까워 각 변수들 간에 자기상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회귀분석모형에서 변수의 설명력은 31.8%로 유의하였고(F=50.54, p<.001),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문화 효능감(β=.42, p<.001), 문화적 역량(β=.23, p<.001), 전공만족도(β=.11, p<.001)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이 가장 큰 변수는 다문화 효능감이었다(<Table 5>).

Affecting factors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N=243)


Ⅳ. 논 의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다문화 효능감과 간호전문직관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다문화 사회에 맞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상자의 문화적 역량은 5점 만점에 3.46점으로 Lee and Cho(2014)의 연구에서 보고한 2.80점과 Park(2011)의 연구에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측정한 2.21점보다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들이 다문화 시대로 이행되는 과정을 현재 경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들의 문화적 역량의 하위영역 중에서 문화적 인식이 가장 높았고 문화적 지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교육과정 중에 다문화 교육의 기회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임상실습 경험이 없는 저학년 때부터 다문화 관련 교육의 기회를 우선적으로 제공한다면 문화적 역량을 갖추는데(Lee and Cho, 2014)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적 역량은 전공만족도가 높고, 인간관계가 좋으며, 다문화 교육 경험과 다문화 교과목 수강 경험이 있는 경우, 외국인 친구가 있고, 다문화 교육 필요성을 인식하는 경우, 다문화 수강의도가 있는 경우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ee and Cho (2014)의 연구에서 다문화 교과목 수강 경험에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과 일부 일치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문화 교육 요구도와 문화적 지식수준을 파악하여 체계적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교과목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은 5점 만점에 3.99점으로 Kim and Lim(2014)의 연구에서의 3.89점과 유사하였다. 또한 다문화 효능감은 인간관계, 다문화 교육 경험 여부, 다문화 교과목 수강 여부, 외국인 친구 유무, 다문화 교육 필요성 유무, 다문화 수강의도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Kim and Lim(2014)의 연구에서 다문화 수업 유무에 따라 다문화 효능감에는 차이가 없는 연구결과와 다르게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다문화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Kim and Lim, 2014).

본 연구에서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3.78점으로 나타났고, 이는 Hwang and Shin(2017)의 연구결과 3.91점 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1학년부터 4학년까지 고르게 분포한 Hwang and Shin(2017)의 연구와 달리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아직 임상실습을 경험하지 못한 2학년 학생이기 때문에 간호전문성에 대한 개념이 구체적으로 형성되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와 달리 Cho and Kim(2014) 연구에서 간호전문직관 점수 3.59점(5점 만점)으로 낮았지만, 고학년에 비해 임상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저학년의 간호전문직관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전문직관이 실제로 임상실습을 경험하면서 부정적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에 대상자가 간호학과 3, 4학년 학생인 Lee and Kim(2016)의 연구에서 간호전문직관 점수는 5점 만점에 3.84점으로 저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보다 높았다. Lee and Kim(2016)는 이러한 차이가 고학년부터 간호교육을 전문직으로 배우기 시작하고, 임상실습을 병행하기 때문에 나타난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결과들을 고려하여 고학년, 저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관한 지속적인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간호전문직관은 일반적 특성 중에서 전공만족도, 인간관계, 다문화 교육 경험 여부, 다문화 교과목 수강 여부, 다문화 교육 필요성 유무, 다문화 수강의도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공만족도, 인간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이 유의한 차이를 보인 Lee and Kim(2016)의 연구, 전공만족도가 좋을수록 간호전문직관이 높게 나타난 Cho and Kim(2014)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전공만족도가 좋을수록 예비간호사로서 자신의 직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입생 때부터 간호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고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교과목 및 교수학습방법 개발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간호학에 자부심과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인성 프로그램(Jang, 2018)이나 동아리 활동 등을 통해 간호대학생들이 원만한 교우관계를 형성하고(Lee and Kim, 2016), 다양한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문화 효능감, 문화적 역량, 전공만족도이었으며, 그 설명력은 31.8%였다. 특히 간호전문직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문화 효능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문화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이 중요한 선행요인임을 뒷받침한다. 따라서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간호의 대상자가 다양한 문화권의 사람들로 확대되고 있는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여 다문화 효능감이나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선행연구에서 다문화 효능감이나 문화적 역량과 간호전문직관에 관한 조사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다문화 효능감이나 문화적 역량 등을 포함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간호전문직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전공만족도이 제시되었는데, 이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Ahn and Song, 2015; Hwang and Shin, 2017)와 유사하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신입생 때부터 체계적으로 지도하는 것이 간호전문직관 함양에 기여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간호사 이미지, 기본간호학수강 유무라고 제시한 Cho and Kim(2014)의 연구, 임파워먼트와 자아탄력성이라고 보고한 Lee and Kim(2016)의 연구와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는 반복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간호대학생이 대학 과정에서 형성한 간호전문직관은 졸업 후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Hwang and Shin, 2017), 간호사들이 편견 없이 다문화 이주민에게 간호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며(Cho and Park, 2019), 문화에 따른 건강불평등을 해소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Yang et al., 2012). 따라서 간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학교육에서 체계적으로 예비 간호사의 다문화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문화 관련 교과목을 개발하여 정규 교육과정(Cho and Park, 2019)에 개설하고, 다양한 교과외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경험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다문화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Park and Eo, 2019). 또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지원정책이나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등이 모색되어야 한다(Lee and Park, 2014).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 다문화 효능감을 파악하고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결과에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다문화 효능감과 간호전문직관의 관계는 문화적역량이 높을수록, 다문화 효능감이 높을수록 간호전문직관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문화 효능감, 문화적 역량, 전공만족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하고 향상시키기 위해서 단순히 간호지식만을 전달하는 간호교육은 지양하고, 간호현장에서 다양한 문화권의 대상자의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간호를 제공할 있도록 다른 문화권 대상자와의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리고 다문화 대상자와의 인간관계 증진을 위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Chae and Kim, 2016). 또한 다문화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문화 지식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문화 체험, 다문화 가정 봉사활동 등의 교과외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장려해야 할 것이다(Kim and Lim, 2014).

본 연구는 첫째, 급속히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문화적 역량과 다문화 효능감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예비 간호사인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셋째, 시대적 변화에 맞는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하기 위한 간호교육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에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넷째,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증진시킴으로써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이나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이직률 감소에도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일부 간호대학생을 편의표출 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다른 지역에서 반복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문화적 역량과 다문화 효능감을 강화할 수 있는 다문화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References

  • Adams D and Miller BK(2001). Professionalism in nursing behaviors of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7(4), 203~210. [https://doi.org/10.1053/jpnu.2001.25913]
  • Ahn TS and Song YA(2015). Affecting fa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1(1), 10~17. [https://doi.org/10.14370/jewnr.2015.21.1.10]
  • Banks JA and Banks CA(2009). Mulit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7th Ed.). NJ: John Wiley & Sons, Inc.
  • Chae MJ and Kim JI(2016). Development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nd evaluation of its effects on mlticultural sensitivity and efficac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1), 70~82. [https://doi.org/10.5932/JKPHN.2016.30.1.70]
  • Cho HH and Kim NH(2014). Relationships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nurse image, and core elemen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that nursing students perceiv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4), 548~557.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4.548]
  • Cho HS and Park EA(2019). Living in Harmony: Clinical nurse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society.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1(1), 196~206. [https://doi.org/10.13000/JFMSE.2019.2.31.1.196]
  • Choi JH and Park MJ(2013).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method to evaluate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associate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7), 339~349.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339]
  • Cook TH, Gilmer MJ and Bess CJ(2003). Beginning students’ definitions of nursing: An inductive framework of professional identify.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2(7), 311~317.
  • Han SY(2014). Development of a cultural competence scale for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 Han SS, Kim MH and Yun EK(2008).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1), 73~79. [https://doi.org/10.5977/JKASNE.2008.14.1.073]
  • Hong SS and Park MJ(2014).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helplessness on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2), 369~377.
  • Hwang EH and Shin SJ(2017). Factors impa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1(1), 97~108. [https://doi.org/10.5932/JKPHN.2017.31.1.97]
  • Hwang HY, Chyn YE and Hur J(2015). Effects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subject on the empathy and multicultural attitude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 106~1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1.106]
  • Jang SY(2018). Stress, resilience, and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seni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0(3), 1075~1088. [https://doi.org/10.13000/JFMSE.2018.06.30.3.1075]
  • Jo EA and Kang JY(2015). Influ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resilience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2(2), 78~86. [https://doi.org/10.5953/JMJH.2015.22.2.78]
  • Jun WH and Lee KL(2016). The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gratitude disposition on the happiness in seni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3), 434~444. [https://doi.org/10.5932/JKPHN.2016.30.3.434]
  • Kim EA and Jang KS(2012). Developing a prediction model regarding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to college lif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312~322.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2.312]
  • Ko YJ and Kim IK(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nursing valu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1), 62 ∼71.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1.062]
  •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2018). 2018 first half nursing education certification evaluation college manual. Retrieved from http://kabone.or.kr/HyAdmin/view.php?&bbs_id=kab01&page=&doc_num=612
  • Kim DH and Kim SE(2013). Cultural competence and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2(3), 159~168. [https://doi.org/10.12934/jkpmhn.2013.22.3.159]
  • Kim KS and Yu M(2012). The Influencing factors associated cultural awareness of immigrants for marriage, foreign workers in Korea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Adult Nursing 24(5), 531~539. DOI: [https://doi.org/10.7475/kjan.2012.24.5.531]
  • Kim NH and Lim SY(2014). Relationships between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efficacy among nursing students.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7(4), 169~184. [https://doi.org/10.14328/MES.2014.12.31.169]
  • Kim YR(1995).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views on nursing profession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2), 169~181.
  • Lee HN and Kim JH(2016). The influencing factors of ego-resilience and empowerment on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8), 292~300. [https://doi.org/10.5762/KAIS.2016.17.8.292]
  • Lee IS and Cho JY(2014). A Study on the cultural competency and demand for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 283~290. [https://doi.org/10.5762/KAIS.2014.15.1.283]
  • Lee KH(2016). Influence of major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ulticultural Health, 6(2), 29~38.
  • Lee KY and Park CU(2014). The impact of awareness of multicultural on efficacy of multiculture in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6(5), 1026~1036. [https://doi.org/10.13000/JFMSE.2014.26.5.1026]
  • Lim JY and Oh YJ(2010). Perceptions and efficacy of the multiculture among adolescent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10), 143~157. [https://doi.org/10.6115/khea.2010.48.10.143]
  •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2017). Status of foreign residents in local governments in 2016. Retrieved from http://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4&nttId=60528
  • Moon HJ(2019). Trends in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e Journal of Multicultural Society, 12(2), 181~215. [https://doi.org/10.14431/jms.2019.06.12.2.181]
  • Nam KA and Jeong GH(2013). Analysis of prejudice toward foreigners by nurses and physicians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3), 437~449. [https://doi.org/10.5932/JKPHN.2013.27.3.437]
  • Park EA(2017). Guarantee of safety for the patient: Subjectivity of unsafe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9(2), 342~353.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2.343]
  • Park HJ(2015). Correlations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2), 227~236.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2.227]
  • Park HJ and Jang IS(2010). Stress, depression, coping styl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14~23.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14]
  • Park HS and Jeong KS(2013).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on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549~557.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4.549]
  • Park JS(2011). Study on cultural competence of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 Park SY and Eo KS(2019). Effects of attitude of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empathy on multicultural competence with citizen: focusing on Gimhae city.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1(1), 183~195. [https://doi.org/10.13000/JFMSE.2019.2.31.1.183]
  • Peek EH and Park CS(2013). Effects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the cultural competence, empathy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5), 690~696. [https://doi.org/10.4040/jkan.2013.43.5.690]
  • Yang SO, Kwon MS and Lee SH(2012). The factors affecting cultural competency of visiting nurses and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3(3), 286~295. [https://doi.org/10.12799/jkachn.2012.23.3.286]
  • Yeun EJ, Kwon YM and Ahn OH(2005).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6), 1091~1100. [https://doi.org/10.4040/jkan.2005.35.6.1091]
  • Yoo IY and Lee JA(2014). Cultural disposition and multicultural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1(6), 925~931. [https://doi.org/10.21086/ksles.2014.12.21.6.925]

<Table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N=243)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Gender Female 201(82.7)
Male 42(17.3)
Age(year) ≤20 156(64.2)
>21 87(35.8)
Mean±SD 20.77±1.55
Religion Yes 84(34.6)
No 159(65.4)
Major satisfaction Satisfied 108(44.4)
≤Moderate 135(55.6)
Motivation of department choice Considering employment 87(35.8)
Internal factor 86(35.4)
External factor 70(28.8)
Personal realationship Good 124(51.0)
≤Moderate 119(49.0)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Yes 192(79.0)
No 51(21.0)
Taking multicultural class Yes 195(80.2)
No 48(19.8)
Stay in foreign countries Yes 27(11.1)
No 216(88.9)
Foreign friends Yes 52(21.4)
No 191(78.6)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Yes 216(88.9)
No 27(11.1)
Intention to take multicultural education Yes 151(62.1)
No 92(37.9)

<Table 2>

Scores of Cultural Competency, Multicultural Effica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N=243)

Variables Min. Max. Mean±SD
Cultural competency 2.00 5.00 3.46±0.53
 Cultural awareness 2.25 5.00 4.12±0.61
 Cultural sensitivity 2.50 5.00 3.93±0.63
 Cultural experience 1.00 5.00 3.33±0.75
 Cultural skill 1.00 5.00 3.26±0.75
 Cultural knowledge 1.11 5.00 3.11±0.69
Multicultural efficacy 2.40 5.00 3.99±0.57
 Improving personal relationship 2.00 5.00 4.07±0.68
 General function 2.50 5.00 4.01±0.59
 Considering multicultural family 2.33 5.00 3.86±0.63
Nursing professionalism 2.59 5.00 3.78±0.50

<Table 3>

Cultural Competency, Multicultural Effica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N=243)

Characteristics Categories Cultural competency Multicultural efficacy Nursing professionalism
Mean±SD t or F
(p)
Mean±SD t , F
(p)
Mean±SD t or F
(p)
Gender Female 3.45±0.55 -.310
(.757)
4.00±0.57 1.080
(.284)
3.76±0.48 -1.465
(.144)
Male 3.48±0.48 3.90±0.56 3.88±0.53
Age(year) ≤20 3.46±0.49 -.108
(.914)
4.01±0.56 .727
(.468)
3,79±0.48 1.43
(.887)
>21 3.46±0.61 3.95±0.58 3.78±0.53
Religion Yes 3.45±0.57 .017
(.987)
4.00±0.61 .295
(.769)
3.77±0.50 -.125
(.901)
No 3.45±0.51 3.97±0.55 3.78±0.50
Major
satisfaction
Satisfied 3.53±0.50 2.112
(.036)
4.03±0.55 1.275
(.203)
3.88±0.48 2.866
(.005)
≤Moderate 3.39±0.54 3.94±0.57 3.70±0.48
Motivation of
department
choice
Considering employment 3.36±0.55 2.312
(.101)
3.89±0.54 2.631
(.074)
3.72±0.48 2.885
(.058)
Internal factor 3.53±0.49 4.09±0.58 3.88±0.48
External factor 3.47±0.53 3.96±0.56 3.72±0.50
Personal
realationship
Good 3.60±0.51 4.521
(<.001)
4.06±0.52 2.238
(.026)
3.88±0.44 3.380
(.001)
≤Moderate 3.30±0.51 3.90±0.60 3.67±0.52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Yes 3.50±0.53 -2.780
(.006)
4.04±0.56 -3.290
(.001)
3.83±0.48 -3.358
(.001)
No 3.27±0.50 3.75±0.51 3.57±0.48
Taking multicultural
class
Yes 3.50±0.53 -2.809
(.005)
4.06±0.53 -4.533
(<.001)
3.84±0.48 -3.875
(<.001)
No 3.26±0.49 3.66±0.60 3.54±0.46
Stay in foreign
countries
Yes 3.58±0.54 -1.253
(.219)
4.07±0.45 -.861
(.390)
3.74±0.52 .398
No 3.44±0.54 3.97±0.58 3.78±0.49 .691
Foreign friends Yes 3.63±0.55 -2.697
(.009)
4.14±0.49 -2.323
(.021)
3.77±0.43 .107
(.907)
No 3.40±0.52 3.94±0.58 3.78±0.43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Yes 3.50±0.51 4.078
(<.001)
.4.05±0.53 5.511
(<.001)
3.82±0.48 4.294
(<.001)
No 3.06±0.51 3.44±0.54 4.30±0.41
Intention to take
multicultural education
Yes 3.55±0.50 -3.759
(<.001)
4.07±0.53 -3.307
(.001)
3.86±0.48 -3.557
(<.001)
No 3.29±0.54 3.83±0.59 3.64±0.48

<Table 4>

Correlation of cultural competency, multicultural effica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N=243)

Variables Cultural Competency Multicultural Efficacy Nursing Professionalism
r(p) r(p) r(p)
*p < .001
Cultural competency 1
Multicultural efficacy .623* 1
Nursing professionalism .517* .579* 1

<Table 5>

Affecting factors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N=243)

Variables B S.E. β t p R2 Adjusted R2 F(p)
*Dummy variables: Major satisfaction(Satisfied=1, Moderate≤0)
(constant) 1.50 .190 7.90 <.001 50.54(<.001)
Multicultural efficacy .36 .056 .42 6.50 <.001 .335 .333
Cultural competency .22 .060 .23 3.68 <.001 .375 .370
Major satisfaction .11 .051 .11 2.25 .025 .388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