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에 대한 개념분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and clarity the concept of 'leadership activities' in the nursing students. A hybrid model was applied for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leadership activities of nursing. The model included a field study were practiced in B city, Korea.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eight nursing students who were engaged in variety of activities included in living activities, discussion, academic activities and volunteering. The concept of leadership activities in the nursing students were found to be a complex phenomenon having mean in to dimensions: Personal competence and Organizational competence dimensions. Six attributes and Six indicators were defined. Leadership activities in the nursing students were defined as the state of open-mind, satisfaction and autonomy (personal competence) and have a ability of problem solving, mind of challenge and responsibility (organizational competence). Therefore, we would approached the nursing students with considering of the concept of leadership activities for better helping their competence.
Keywords:
Concept analysis, Leadership, Activity, Nursing, StudentⅠ. 서 론
현대사회에서 대학생 시기는 급변하는 사회적 동향과 더불어 이전 세대보다 더욱 다양한 경험과 학습의 시기이며, 성인기의 출발점으로서 사회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대학생 시기에 부여되는 자율성과 책임감은 성장 또는 갈등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대상자 간호실무 능력을 학습하는 간호대학생에게 자율성과 책임감은 자기조절력과 관련되어 리더십으로 발전될 수 있다(Kim, 2019).
간호교육에서는 다양한 학습 기회와 수업방법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들의 역량에 중점을 둔 학습성과를 설정하고 있다(Dong and Choi, 2016). 특히, 간호학사 과정은 임상실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학습성과에 기반을 둔 목표를 달성하도록 운영되고 있다. 또한 교과과정에서 이론과 실제를 접목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등 적극적인 교육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다양한 간호학 교육방법이 적용되는 간호대학생들은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역량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자기조절력은 자율성과 책임감으로 리더십과 관련된다(Kim, 2019). 선행연구에서 메타인지와 감성지능(Kim, 2019), 전문직 자아개념(Dong and Choi, 2016), 성취동기(Park and Kim, 2017), 통제위(Choi and Im, 2017), 비판적 사고성향(Kim, 2017) 등이 리더십과 관련된 요인으로 확인된 바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리더십은 자기조절력을 발휘하고 영향력을 행사하여 학업에 성과를 올리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Choi and Im, 2017). 미국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리더십의 가치는 돌봄, 의사소통, 정확성, 팀워크, 전문직 발전이 주요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Grobbel et al., 2016). 구체적으로 간호대학생의 리더십은 여성, 종교가 있는 경우, 기숙사 생활이나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 동아리 활동을 하는 경우, 대학생활에 만족도가 높은 경우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Choi and Im, 2018). 또한 과업지향성과 책임감, 도전의식이 리더십의 영향요인이었다(Park and Kim, 2017).
국내 간호학사 과정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중 리더십은 사회적 역량으로 설정되어 교과내·외 활동을 모두 포함한다(Jang et al., 2016). 이는 리더십 개발이 정규교과 과정이외의 프로그램에서 다양하게 학습성과를 설정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전문분야 간 교육 프로그램(Reitsma et al., 2019) 및 다양한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의 적용이 리더십 역량을 향상시키고 있었다(Oh and Lim, 2018).
이상과 같이 리더십은 자기주도적인 역량으로 간호대학생들에게 중요한 학습성과의 하나이며,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선행연구에서 교과과정의 성과평가를 위해 문헌을 근거로 하여 간호사의 리더십을 개인의 성장, 협력, 간호탁월성, 창의적 문제해결, 영향력의 속성을 가진 개념을 제시하였다(Kim, Kim, Jang, Kim and Jeong, 2015). 그러나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하기에는 폭넓은 개념이며 국내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리더십에 대한 측정으로 자신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인 셀프리더십이 적용되고 있었다(Jang and Moon, 2016; Kim, 2017; Kim, 2019; Oh and Lim, 2018; Park and Kim, 2017).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의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리더십 활동에 대한 포괄적 개념 정의와 속성을 반영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문헌을 토대로 리더십 개념을 구별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리더십 활동의 개념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혼종모형은 모호한 개념을 현장적용을 위해 이론적 분석과 현장작업 단계의 실증적 분석으로 적용하는 방법이다. 즉, 이론적 토대를 가지고 대상자의 상황을 실무에 적용 가능한 개념분석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혼종모형(Hybrid model)을 이용하여(Schwartz-Barcott and Kim, 2000)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특성을 반영한 리더십 활동의 실재적 개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 방법
본 연구는 혼종모형을 이용한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에 관한 개념분석 연구로, 혼종모형(Schwartz-Barcott and Kim, 2000)의 분석방법에 따라 이론적 단계, 현장작업 단계, 최종분석 단계의 3단계로 분석하였으며, 각 단계는 순환적인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1. 이론적 단계
이론적 단계에서는‘리더십’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속성을 이해하고자 본질적 의미를 찾기 위하여 사전적 의미와 학술문헌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간호학 학술문헌 검색 사이트인 ‘CINAHL’에서 ‘nursing student’,‘leadership activities’또는‘leadership’을 주요어로 최근 5년 이내, 학술저널로 검색하여 13편 중 리더십 활동과 관련이 없는 국외 홍보용 신문기사 2편과 국내 교육프로그램 연구 1편을 제외하고 국내외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과 관련된 국내논문 7편, 국외논문 3편을 분석하였다(<Table 1> 참조).
2. 현장작업 단계
본 연구의 참여자는 다양한 리더십 활동을 하고 있는 간호대학생 8명을 인터뷰하여 현장단계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참여자는 21세~23세의 간호학과 2~4학년으로, 학기 중과 방학기간동안 교내 동아리 활동, 봉사활동, 독서클럽, 학업 등 교과활동과 비교과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해 본 연구자는 참여자에게 연구 목적과 면담내용을 미리 알리고 동의를 받아 참여자의 자발적인 의지로 참여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자는 연구절차에 따라 이론적 단계에서 고찰한 내용을 토대로 면담질문을 작성하여 직접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남학생 2명과 여학생 6명이었으며, 수업 이후 시간을 이용하여 리더십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구체적인 면담 질문은 ‘리더십을 발휘하여 교과외 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나요?’, ‘리더십 활동을 하게 된 동기는 무엇이었나요?’, ‘리더십 활동으로 얻은 유익/ 장애요인, 촉진요인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등이었으며, ‘자신의 리더십 활동에 대한 동기와 목표’에 대해서도 자유롭게 이야기 할 수 있도록 개방적인 질문을 하였다.
1회 면담 시간은 30분~50분 정도이었으며, 면담내용은 필사하여 현장단계에서의 참여자의 경험은 개념의 속성을 추출하고 개념의 전후관계를 연결할 수 있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적 방법의 1단계 비교분석 과정을 적용하여 현장단계의 추출된 개념들의 내용분석으로 리더십 활동의 차원과 속성과 지표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방법은 혼종모형으로 이론분석과 더불어 경험분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경험분석에서 근거이론적 방법으로 타당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현장단계와 이론단계의 분석과정을 통해 개념을 선정하고, 주제를 도출하여 영역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본 연구자이외의 질적연구의 경험이 있는 교수 1인의 의견을 수렴하여 검증과정을 거쳤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내용을 토대로 도출된 개념과 참여자의 경험에 근거한 개념을 접목하여 내용의 타당성을 기할 수 있었다.
3. 최종분석 단계
본 연구의 최종분석 단계에서는 이론적 단계와 현장단계에서의 분석과정을 통합하여 최종분석 단계에서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의 정의, 속성 및 지표를 도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이론적 단계
‘리더십'의 사전적 의미는 ‘무리를 다스리거나 이끌어 가는 지도자로서의 능력’이며,‘활동'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일의 성과를 거두기 위하여 힘씀’으로 정의한다(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21). 또한 ‘리더십은 공동의 일을 달성하려고 한 사람이 다른 사람들에게 지지와 도움을 얻는 사회상 영향 과정’이다.(Wikipedia, 2021). 따라서 리더십 활동의 사전적 정의에서 나타난 바에 의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의미는 ‘성과를 얻기 위해 공동체를 이끌어가는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리더십에 관한 문헌은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즉, 신학에서 변혁적 리더십(Jeon and Hwang, 2020), 사회체육학에서는 감성적 리더십(Jung, 2021), 교육학에서는 공유리더십(Lee and Jung, 2021), 정치학에서는 창의적 리더십(Jung, 2021), 심리학에서는 코칭리더십(Piao et al., 2019) 등 다양한 리더십 유형에 대해 다루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코칭리더십은 부하직원의 지속적 학습활동의 영향요인으로, 부하와 상사와의 상호작용에서 관계적 에너지는 지속적 학습활동과 코칭리더십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iao et al., 2019). 즉, 리더십의 영향력은 대인간의 상호작용에서의 심리적 요인이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어, 리더십 활동은 학습과 관련된 정적인 에너지원이 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신학에서의 변혁적 리더십은 카리스마, 동기부여, 지적자극, 개별적 배려의 속성을 가지고 사도바울의 사역에서 이러한 리더십의 속성을 탐색하고 있었다(Jeon and Hwang, 2020). 또한 체육지도에서 감성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감정을 이해하여 스포츠 현장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영향요인이 되었다(Jung, 2021). 공유리더십은 팀 구성원 전체가 리더십을 발휘하여 책임과 지식을 공유하며, 총체적으로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으로 성인교육에서 효과적이었다(Lee and Jung, 2021). 창의적 리더십은 문제해결에 있어서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리더십 역량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었다(Jung, 2021).
최근 문헌을 중심으로 간호학에서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은 교과목 내에서의 리더십 활동과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자질과 성향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먼저, 교과목 내에서는 팀 기반 시뮬레이션 학습활동과 임상실습활동에서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었다(Dong and Choi, 2016; Yang, 2019). 이러한 교과목에서는 교수자 중심의 강의보다 간호대학생들간의 협업이 학습동기와 성과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리더십을 향상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자질과 관련된 요인으로 셀프리더십을 측정하고 있었으며,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과 성취동기(Bae and Kim, 2017), 진로준비행동(Jang and Moon, 2016) 등이 셀프리더십을 발휘하는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자질은 학생들의 기본적인 성향으로 과업지향성, 책임감, 도전의식, 미래지향성, 대인관계, 만족도와 관련되고 있었다(Bae and Kim, 2017).
간호학에서 리더십 활동과 유사한 개념으로 자기주도성 활동을 들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활동에는 주로 교과목과 관련된 자기주도성 활동이 연구되고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간호대학생은 학습관련 디브리핑에 참여한 경험이 학습자 주도의 경험으로 자기주도성을 향상시키는 요인이 되었다(Choi, 2019). 또한 심리상태인 분노나 행복감(Kim, 2020), 사회적 성숙도, 전공만족도가 자기주도성의 영향요인이었다(Choi, 2017).
이상의 문헌고찰로 도출한 간호학에서의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을 종합적으로 파악 하면, 리더십 활동은 학업과 관련한 리더십 활동을 중심으로 간호대학생의 성향을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타학문에서는 다양한 리더십을 연구하고 있었으며, 대학생 리더십 향상을 위해 교육연극을 통해 심리적 접근을 시도한 사례연구도 있었다(Kim, 2018).
이러한 문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타 학문에 비해 간호대학생의 리더십은 개인 특성과 간호 특성을 함께 가지는 차원으로 융합되어 있었다. 문헌에서의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의 선행요인은 두 가지 측면(자기조절, 대인관계성)으로 구별할 수 있었다.
먼저, 자기조절의 측면에서 리더십 활동은 셀프리더십으로 측정되었다. 셀프리더십은 자기 스스로에게 영향력을 행사하여 성과를 올리는 속성의 개념으로(Dong and Choi, 2016), 리더십 활동의 선행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 자기조절을 구체화한 지표는 ‘활동의 다양성’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에서 리더십 생활기술과 성취동기(Bae and Kim, 2017), 진로준비행동(Jang and Moon, 2016), 디브리핑 경험(Choi, 2019) 등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리더십 활동의 다양성은 ‘개방적 사고’의 속성으로 통합되어 ‘개인 특성’의 차원으로 발전시킬 수 있었다.
다음으로 ‘대인관계성’의 선행요인을 들 수 있었다. 문헌에서 간호대학생의 리더십은 대인관계를 통해 발전시켜나갈 수 있는 개념으로 드러나, 자기조절과 다른 측면을 보여주기에 ‘대인관계성’을 선행요인으로 할 수 있었다. 관련된 내용으로 교과목에서의 협동능력(Dong and Choi, 2016; Yang, 2019), 사회적 성숙도(Choi, 2017), 책임감과 만족도(Bae and Kim, 2017) 등으로 팀 활동에서 ‘문제해결력’의 속성으로 연결되어 ‘간호 특성’의 차원으로 발전시킬 수 있었다.
이에 이론적 단계에서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의 잠정적 정의는‘자기 조절과 대인 관계성을 근간으로 활동의 다양성과 협동력으로 나타나는 개방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을 내포하는 주도적 활동’을 의미한다고 파악되었다(<Table 2> 참조).
2. 현장작업 단계
현장작업 단계에서 나타난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은 주도성을 가진 상호작용에서의 활동을 의미한다. 이는 자기 표현 영역과 사회적 성장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자료분석에서 내면의 긍정적 변화, 적성을 찾음은 만족감으로 성과중심의 활동, 팀워크 개발은 자율성의 속성으로 자기표현 영역을 나타내었다. 또한 봉사활동의 다양성, 학업동아리 조성은 도전의식으로 최선을 다함, 다양한 역할을 담당함은 책임의식의 속성을 가지고 사회적 성장영역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현장작업 단계에서 도출된 자기 표현 영역은 만족감과 자율성이 속성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성장 영역은 도전의식과 책임의식을 속성으로 리더십 활동을 실천하고 있었다(<Table 3> 참조).
(1) 만족감
만족감은 참여자들이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면서 느끼는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감정이다. 만족감은 활동 속에서 적성을 찾으면서 긍정적 변화를 느끼는 것이었다. 이는 스스로 할 수 있는 활동에 대해 표현하는 감정으로 학업에 흥미를 가진 리더십 활동을 이끄는 요인이 되었다.
“저는 토론을 했던 것이 좋았어요. 답사가면서, 이중섭 선생님 그림도 보고, 유적지도 가보고 했는데.. 친구들이랑 책이랑 영화같은거 보고 의견을 써옵니다. 같은 것을 보고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질 수 있고, 이런 것에서 하나의 주제로 토론해 가는 것이 재미있었어요.(참여자 2)”
(2) 자율성
참여자들은 학업을 위해 팀으로 공부를 하는 방식에서 자율성을 가지고 성과를 올렸던 경험이 있었다. 이러한 리더십 활동은 구성원의 자유 의지를 가지고 팀워크를 개발하며 성과중심의 활동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팀 활동은 적극적인 편이에요. 저는 약 이름 외우는 원리를 제 방식대로 정리요약을 해서 같이 공부하는 친구들과 공유를 했어요. 친구들도 좋아하고, 자신감을 갖게 되었어요.(참여자 7)”
(1) 도전의식
도전의식을 참여자들이 목적을 가지고 하는 활동에서 나타나는 속성이었다. 참여자들은 학업이외에 간호학과 관련된 분야에서 관심과 흥미로 도전하려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도전의식은 자신을 더욱 발전시키고 성숙된 사회성을 경험하게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었다.
“입학했을 때, 공부보다 봉사해보고 싶어서, 제 스스로 병원을 찾아서 봉사했어요. 챠트정리나 병원내 약국에서 했어요. 봉사활동 사이트에서 찾아서 병원 관련된 봉사를 했어요. 병원에는 전화해서 봉사활동 신청하면, 날짜 잡아서 하고는 했어요. 실습 전에 병원을 이미 한 번씩 봉사를 한 거니까, 실습적응을 잘 할 수 있었고. 동기부여도 되었고, 자신감도 길러졌어요. 낯선 곳에서도 나 혼자 있어도 잘 할 수 있다는 그런 느낌이 들었어요. (참여자 3)”
(2) 책임감
참여자들은 교과 활동에서 본인이 관심을 가진 활동에서 최선을 다하고 다양한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책임감을 드러내고 있었다. 책임감은 사회적 관계에서 발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책임감은 참여자 본인의 맡은 부분을 성실히 주도적으로 해나가는 리더십 활동의 속성이었다.
“제가 하고 싶은 활동을 주도적으로 하게 된 것 같아요. 시뮬레이션할 때, 책임감을 가지고 하니까, 조금더 적극적이게 되고, 팀을 구성해서 내가 맡은 부분이니까 좀 더 공부하고 가야지 하는 마음이 생기게되요. (참여자 5)”
3. 최종분석 단계
최종분석 단계에서는 본 연구자가 이론적 단계의 문헌 분석과 현장작업 단계의 경험적 분석의 결과를 종합하여 분석하여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의 속성과 지표를 규명하였다. 이론적 단계에서의 차원과 속성은 개인특성와 간호특성 차원에서 개방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속성이 도출되었고, 현장작업 단계에서는 자기표현과 사회적 성장 차원에서 만족감, 자율성, 도전의식, 책임감의 속성이 도출되었다. 이론적 단계와 현장작업 단계에서 도출된 차원과 속성을 비교분석하여 의미가 서로 유사한 내용을 통합하고 보완하여 최종 분석을 하였다. 이에 최종적으로 개인역량 차원에서는 개방적 사고, 만족감, 자율성의 속성으로, 조직역량 차원에서는 문제해결력, 도전의식, 책임감 속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에 따른 지표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Table 4>).
본 연구는 혼종모형을 적용한 개념분석으로 이론적 단계와 현장단계를 분석하여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의 속성을 도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은 자기 조절력과 대인관계성을 기반으로 자기주도성을 가진 역량개발의 활동에 대한 경험으로 구성되었다. 리더십 활동으로 명명한 간호대학생들의 활동에는 자기주도성을 가지고 참여한 교과내·외의 다양한 활동이 포함되어서 성인기인 대학생 시기에서 간호 분야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괄적인 활동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의 차원은 개인역량 차원과 조직역량 차원으로 개인의 자질을 향상시키는 측면과 조직에서의 상호작용에 의해 성장되는 리더십의 속성까지 포함하였다. 개인역량 차원의 속성은 개방적 사고, 만족감, 자율성이었으며, 조직역량 차원의 속성은 문제해결력, 도전의식, 책임감이었다. 즉,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은 개방적 사고, 만족감, 자율성에 기반하여 자기조절을 할 수 있는 능력과 조직 내에서 문제해결력, 도전의식, 책임감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사회적 관계 속에서 발전시킬 수 있는 활동이라고 볼 수 있었다.
또한 이론적 단계와 현장작업 단계를 통합하여 각 속성에 대한 구체적 지표를 제시하였다. 개인역량 차원의 속성에서 개방적 사고의 지표는 활동의 다양성, 만족감의 지표는 학업성취도, 자율성에 대한 지표는 재량권을 발휘함이었다. 조직역량 차원의 속성에서 문제해결력의 지표는 협동력, 도전의식의 지표는 선호도, 책임감의 지표는 관계성으로 도출되었다.
이론적 단계와 현장작업 단계에서 추출된 속성에 근거하여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은 개인역량 차원에서 개방적 사고, 만족감과 자율성으로 조직역량 차원에서 문제해결력, 도전의식, 책임감을 발휘할 수 있는 간호대학생의 포괄적인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은 개인역량 차원과 조직역량 차원으로 도출되었으며, 속성은 개방적 사고, 만족감, 자율성, 문제해결력, 도전의식, 책임감으로 나타났다. 리더십 활동은 리더십 역량과 연결되어 간호학사 과정의 학습성과의 영역이다. 장래 병원조직에서 필요로 한 간호사의 자질로 함양되어야 하며, 리더십 활동으로 자기 발견과 성장의 기회가 된다(Grobbel et al., 2016).
본 연구결과의 사회적 관계 지표인 책임감 속성의 조직역량 차원에서의 리더십은 건강전문직 분야의 상호교류적인 교육에서의 리더십(Reitsma et al., 2019)이 있었다. 또한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은 전문직 자아개념, 대인관계와 리더십에 영향을 받았다(Dong and Choi, 2016). 즉, 임상수행능력은 대인관계를 통해 리더십을 발휘하는 속성으로 본 연구의 사회적 관계 지표를 뒷받침해 주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은 교과내 의 학업 및 과제 활동, 일상생활에서의 주도적 의사결정이 필요한 비교과 활동 등을 포함하여 리더십 활동을 하고 있었다. 리더십 활동의 일반적 정의는 성과를 얻기 위해 공동체를 이끌어가는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이다. 이는 항상 변동될 수 있는 역동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리더십 활동은 자기주도적 활동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리더십 활동의 학업성취는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성을 경험하는 단계에 따라 인식과 학습전략에서 학습능력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Lee and Kim, 2018).
또한 본 연구결과의 조직역량의‘도전의식’와 개인역량의‘학업성과’와 연결된 개념으로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의 선행연구에서‘새로운 활동에 도전하기’와‘성취감’(Kim, 2017)이 있었다. 이는 본 연구의 개념분석이 선행연구의 개념을 포괄하는 통합적인 분석이 되었음을 나타낸다. 그밖에 국외문헌의 간호실무프로그램의 활동에서의 자기주장훈련과 리더십 기술은(Green, 2018), 리더십 활동이 간호실무역량을 발전시킬 수 있는 역량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인역량의 개방적 사고와 자율성의 속성은 내적영역으로 중요성을 가진다. 이와 관련하여 간호대학생의 인지과정, 감정의 조절력과 타인의 이해가 리더십의 영향요인이었다(Kim, 2017). 또한 외향성과 친화성의 성격이 감성지능과 관련되어 리더십을 높이며, 개방성과 성실성은 부분적으로 감성지능을 높였다(Ha, 2017).
본 연구에서는 조직역량의 협동력의 속성과 관련하여 참여자들이 팀워크로 학습하는 과정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학생의 리더십 사례연구에서 교육연극에서 나타나는 협동력 활동(Kim, 2018)이 팀워크의 다양한 형태였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방적 사고, 만족감, 자율성, 문제해결력, 도전의식, 책임감을 리더십 활동의 속성으로 도출하였다. 이와 달리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한 간호리더십의 개념의 속성은 개인의 성장, 협력, 간호탁월성, 창의적 문제해결, 영향력이었다(Kim et al., 2015). 이러한 결과는 문헌고찰의 범위, 연구방법 및 대상의 차이에 따른 것이지만,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이 간호리더십으로 연속될 수 있는 속성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이상의 문헌과 비교하며 통합해 보면,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은 개인이 영향력을 갖고 조직을 아우르는 활동으로 볼 수 있으며, 개방적 사고, 만족감, 자율성, 문제해결력, 도전의식, 책임감의 속성이 내포된 포괄적인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으로 리더십 역량의 기초를 형성할 수 있는 활동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에 대해 문헌고찰과 자기주도적 교과내·외 활동에서의 리더십 활동의 경험을 인터뷰를 통해 이론과 실제가 조합된 포괄적 속성, 지표, 정의를 밝혀 그 의미를 형성한 것이 의의를 둘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로 후속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활동의 속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과 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재프로그램으로 활용할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References
- Choi JY and Im SB GY(2018). Factors influencing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locus of control. JKANA, 24(3), 182∼192.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3.182]
- Choi D(2017). A convergence study on social maturity,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in nursing students. JKCS, 8(10), 75~84.
- Choi D(2019). Effects of learner-directed debriefing o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directed learn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debreifing experience after simulation, based on the clinical judgement model. JKSSN, 7(2), 83~96. [https://doi.org/10.17333/JKSSN.2019.7.2.83]
- Dong HJ and Choi MS(2016). Influenc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leadership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KAFN, 23(4), 373~382. [https://doi.org/10.7739/jkafn.2016.23.4.373]
- Green J(2018). What a difference a year makes: The impact of the district nursing specialist practice programme. BJCN, 23(9), 439~448. [https://doi.org/10.12968/bjcn.2018.23.9.439]
- Grobbel CC, Piscotty RJ, Holka KA, Poly-Droulard LM and Binge AL(2016). An assessment of personal, professional, and leadership values of nursing students: defining a path towards becoming a caring professional. International Journal for Human Caring, 20(4), 193~170. [https://doi.org/10.20467/1091-5710.20.4.193]
- Ha MS(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big-five personal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dership in female college students. KEI, 35(2), 89~118. [https://doi.org/10.22327/kei.2017.35.2.089]
- Jang TJ and Moon M(2016).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JKANA, 22(4), 344~352.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4.344]
- Jeon YS and Hwang IT(2020). An exploratory study abou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Gospel Ministry of Apostle Paul: Focused on Epistle of Romans. LMR, 18(4), 47~68.
- Jung DY(2021). Creative leadership,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enthusiasm of public official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ructural process of impact on innovation behavior. JKCA, 21(1), 162~172.
- Jung WJ(2021). The influence of emotional leadership of elderly sports leaders on well-being pursuit and physical self-efficacy.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83, 77~86.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28720 [https://doi.org/10.51979/KSSLS.2021.01.83.77]
- Kim EJ(2020). Effects of the academic efficacy, self-directedness and ego-resilience on psychological states in nursing university students. KAIS, 21(3), 73~79.
- Kim H(2018). A case study on leadership program based on drama education. JKADTE, 10(2), 43~64. [https://doi.org/10.31342/JKADTE.2018.10.2.43]
- Kim HJ(2017). Path analysi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institutional commitment to impa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s. JFMSE, 29(1), 40~50.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1.40]
- Kim JS(2017). Exploration process of self 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AJMAHS, 7(10), 353~361.
- Kim JS, Kim YM, Jang KS, Kim BN and Jeong SH(2015). Concept analysis of nursing leadership. JKANA, 21(5), 575~586.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5.575]
- Kim MS(2019). Influence of metacogni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JKANA, 25(2), 146~155. [https://doi.org/10.11111/jkana.2019.25.2.146]
- Lee MH and Jung KS(2021). The effect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on the team effectiveness: Mediating effects of the shared leadership. JKCA, 21(1), 243~257.
- Lee Y and Kim JS(2018). Self-regulated experienc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AJMAHS, 8(5), 719~726.
- Nam MH and Kim HO(2020). Effects of metacognition and learning flow on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FMSE, 32(6), 1655~1665. [https://doi.org/10.13000/JFMSE.2020.12.32.6.1655]
-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2021).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http://opendic.Korean.go.kr, on March 16.
- Oh SE and Lim JY(2018). Developing and evaluating a Camp-style leadership enhancement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JKANA, 25(1), 52~61. [https://doi.org/10.11111/jkana.2019.25.1.52]
- Park YB and Kim MS(2017). The influence of leadership life skill and achievement motivation on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JKANA, 23(5), 494~503.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5.494]
- Piao M, Lee S and Sohn YW(2019). Coaching leadership and follower’s Continuous Learning Activitie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elational Energy. KJHRD, 22(2), 31~57. [https://doi.org/10.24991/KJHRD.2019.06.22.2.31]
- Reitsma G, Scrooby B, Rabie T, Viljoen M, Smit K, Preez AD, Pretorius R, Oort AV, Swanepoel M, Naudé A, and Dolman R(2019). Health students’ experiences of the process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 pilot project. JIC, 33(3), 298~307. [https://doi.org/10.1080/13561820.2019.1572600]
- Schwartz-Barcott D and Kim HS(2000). An expansion and elaboration of the hybrid model of concept development. In Rodgers, BL and Knafl KA(Eds),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 and Applications. 2nd ed. PA: Saunders. 129∼159.
- Wikipedia(2021). Wikimedia Dictionary. http://www.ko.wikipedia.org/, on March 17.
- Yang(2019). Effects of team-based problem-based learning combined with smart education: A focus on high-rist newborn care. CHNR, 25(4), 507~517. [https://doi.org/10.4094/chnr.2019.25.4.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