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3, No. 3, pp.768-782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1
Received 03 May 2021 Revised 24 May 2021 Accepted 10 Jun 2021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1.6.33.3.768

소규모 지방사립대 재학생의 학업지속의도 향상방안 연구

정주영
고신대학교(교수)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Persistence of Small-scale Local Private University Students
Joo-Young JUNG
Kosin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1-990-2535, jyjung@kosin.ac.kr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ademic continuity intentions of small-scale local private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management competen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y, and career-decision self-efficacy on academic continuity intention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one's communication competencies, self-management competenci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hile attending a small local private university, the higher the degree of academic continui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plan was sought to increase the academic continuity of students enrolled in small local private universities.

Keywords:

Academic persist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ommunication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Ⅰ. 서 론

지난해 2020년은 COVID-19로 인해 계획과 준비 없이 대학교육에서 비대면 수업이 갑작스럽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비대면 수업방식은 대학생들에게 학업 지속에 대한 새로운 고민을 안겨주었고, 학습 의욕이 낮거나 자기조절능력이 부족한 학습자뿐만 아니라 학습 성취도가 높은 학습자도 중도탈락을 선택할 우려가 발생하였다.

재학생의 감소는 대학의 재정과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자퇴, 휴학 등의 중도탈락을 막고 대학에 소속시키는 것은 대학 경쟁력 확보에 매우 중요하다. 특히 소규모 지방사립대의 경우에는 소수의 중도탈락자가 발생해도 대학의 재정확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에 많은 대학에서 재학생의 이탈률을 관리하고, 학생들이 학업을 중단하는 이유를 찾는 데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학생의 학업중단 방지와 지속을 위해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대학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학생들을 대학에 붙잡아 두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될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학업을 유지하는 본질적인 이유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Hwang, 2020).

학업지속의도는 중도탈락률 및 재학생 충원율과 같은 대학지표와 연관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Tinto, 1975), 대학생의 학업지속, 학업지속의도에 관한 선행연구는 중도탈락 요인 분석과 연계되어 있는데,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이유는 다음과 같다. 대학 서열화에 따른 노동시장 진입과 임금 격차(Oh, 2015), 수도권, 비수도권의 대학 소재지(Kim, 2006), 진로를 결정하는 자기결정력 부족(Choi and Kang, 2008) 등이었다.

이와 같이 대학생의 학업지속과 중도탈락에 대한 연구는 대학기관 특성 연구(Lee, 2003)에서 학생들의 개인 요인 분석 연구(Kang, 2010; Kim, 2006), 1학년 학생들의 학업유지 및 적응과정 분석연구(Kim, 2012) 등으로 확장되었다. 또한 중도탈락 위기 학생 중재연구(Kim and Kim, 2015) 위기학생 사전 선별연구(Kim, 2019; Jung and Kwon, 2008)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상의 선행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중도탈락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학문적, 비학문적 요인을 모두 포괄하고 있으나,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제 요건인 학생들의 기본역량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았다. 사회생활을 앞둔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기본역량에 대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핵심역량을 정의하고, 몇 가지 기본역량을 제시하였다.

그중에서도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자기개발능력이 직업현장에서 필요한 작업기초능력으로 분석되었다(Hwang, et al., 2018). 대학에서의 교육을 모두 직업교육이나 사회생활과 연관지을 수는 없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자율성이 절실한 비대면 학습상황에서 학업지속의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에 주목하고자 한다.

사이버 대학에서 주로 수행되었던 온라인 학습이 COVID-19로 인하여 일반대학의 원격수업으로 일반화하게 됨에 따라 Kim(2021)의 연구에서는 3S(Self-direction, Sociability, Self-efficacy)가 학업지속의지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즉, 학습자의 능동적인 학습자세가 요구되는 자기주도성(Self-direction), 개인의 감성 관리와 더불어 관계된 인성과 대인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사회성(Sociability), 교육적 목표 달성에 수반되는 행동과정에서 자신의 통제 역량에 대한 신뢰인 자아효능감(Self-efficacy)이 비대면 학습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대학의 현실에서 재학생들의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Kim(2021)이 제시한 3S에 근거하여 대학에서 학문적, 비학문적 활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인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을 주요 요인으로 선별하였다. 이를 통해 대면-비대면 상황이 공존하는 현실에서 학습자의 대학생활 전반에 관한 문제와 재학생들이 안정적으로 학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대학 차원에서의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들의 학업지속의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업지속의도 간 관계는 어떠한가?


Ⅱ. 이론적 배경

1. 대학생의 학업지속의도

학업지속은 일정한 기간 동안 학생이 설정한 학습목적을 성취하고 해당 프로그램을 성공적인 성과를 얻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교육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뜻한다(Jung, 2002). 그리고 학업지속의도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적성 또는 흥미로운 수업을 선택, 지속하는 것이며, 현재 진행 중인 학습 뿐 아니라 졸업을 위해 차기 학기에도 학업을 지속하고자 하는 의지를 말한다(Lee, 2003). 즉, 학업지속의도는 학생이 교육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참여하고 있는 교육과정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유지하려는 행동을 뜻한다(Kim et al., 2021). 이러한 학업지속의도는 자퇴, 휴학, 편입 등과 같이 학생이 소속되어 있는 대학을 변경하거나 학위 과정 자체를 포기하지 않고 대학에 등록하여 목표한 학위과정을 마무리하고자 하는 의도로, 중도탈락률 및 재학생 충원율과 같은 대학지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into, 1975).

학생이 다음 학기에 재등록하고자 하는 의지는 졸업까지의 학업지속의도와 연관성이 높다고 볼 수 있는데, Kim et al.(2020)의 연구에서는 학업지속의향이 높은 신입생이 코로나19로 인한 원격교육 상황에서도 자신이 입학한 대학에서 학습을 지속하려는 의향과 행동, 그리고 다음 학기에도 재등록하여 더욱 학업을 계속해서 유지하려는 의향과 행동을 학업지속의도라고 하였다. 소규모 지방사립대 재학생의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재학 중인 현 대학에서의 졸업의지를 학업지속의도라고 좁게 해석하고자 한다.

2.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우리나라 대학생의 학업지속, 중도탈락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선행연구에서는 사회측면, 기관측면, 개인측면 등에서 여러 요인들이 제시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핵심적인 기초역량과 학업지속의도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을 주요 영향요인으로 선별하였다.

의사소통역량은 의사소통이 갖는 사회적 속성에 대해 사람들이 갖는 지식을 말하며, 개인적 차원만이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도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을 말한다(Spitzberg and Cupach, 1989).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대학생 핵심역량을 6가지로 측정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의사소통역량이다. DeSeCo 프로젝트 보고서에서도 미래사회에 필요한 핵심역량으로 의사소통능력을 들며, 직종과 관계없이 성공적인 사회생활을 위해 누구나 갖추어야 할 역량이라고 하였다(Kim, 2020). 특히 직장에서의 의사소통능력은 조직의 목표 달성과 업무성과를 높여주기 때문에 기업의 가치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Bochner and Kelly, 1974). 본 연구에서는 K-CESA에서 측정하는 의사소통역량의 하위변인 구분을 그대로 적용하여 적극적 경청과 이해능력, 효과적인 의사전달능력, 토론과 조정능력으로 의사소통역량을 측정하고자 한다.

자기관리역량은 개인이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장애를 극복하며 인내하는 능력으로,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과 자율성을 강조한다(Heo, 2003). 이러한 자기관리역량은 지식, 기술, 태도를 배우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주도적인 학습역량 또는 적극적인 문제해결능력과 긍정적인 연관성을 갖는다(Kim and Kim, 2018).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관리역량을 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 계획수립 및 실행능력으로 구성하였다. 즉, 자기관리역량은 대학생들이 졸업 후 취업이나 진로를 위한 목표 설정이나 설정된 목표의 실행력, 목표 달성을 위한 학습전략, 목표를 구체화 시키고 학습을 수행하거나, 이런 요소를 아우르며 이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다양한 능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Kwon, Kim and Lee, 2015).

대인관계역량은 다양한 인간관계와 사회적 상황 속에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으로, 다른 사람의 마음, 감정, 느낌을 잘 이해하여 다른 사람과 효과적이고 조화롭게 일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Gardner et al, 1995). K-CESA는 정서적 유대, 협력, 중재, 리더십, 조직에 대한 이해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협력, 중재, 리더십의 3개 하위요인을 대인관계역량의 하위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대학생의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기초적인 핵심역량과 함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도 주목하였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사회인지진로이론에서 소개된 개념으로, 진로결정과 관련된 일들을 수행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의미한다(Lent, Brown and Hackett, 1994). 불안정적인 자기개념 및 정체성이 있는 정서·성격적 진로문제 수준이 높은 대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대학생들에 비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ye, et al., 2015). 또한 핵심역량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미래계획을 주도적으로 세우고 있으며, 진로와 관련된 어려움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Ha, et al., 2017). 실제로 Park(2013)의 연구에서는 자기주도학습, 창의성, 대인관계능력과 진로결정 수준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진로준비행동과도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학업지속을 하고자 하는 의지와 관련성이 높다고 판단하여 주요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기초적인 역량들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업지속의도 간 관계에 대해 분석한 선행연구 몇 가지를 살펴보면, 대학 졸업 후 진로방향성이 비교적 명확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장벽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각 변인들 간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Shim, 2017). 또한 효과적인 시간 관리는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시간 사용에 대한 전략적 태도를 기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할당된 시간에 효과적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Jeong(2002)는 미국 전문대학의 학생 유지를 위한 정책을 소개하였는데, 미국 일리노이의 한 전문대학은 대학에서의 성공적 학업 생활을 위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시간관리전략, 학생지원프로그램 안내 등을 진행하였음을 보고하면서 결론적으로 학생유지에 있어서의 대학 고유의 정책 기획 및 운영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Hwang(2020)의 연구에서는 졸업장이 취업에 필수 조건임을 인지할 때 결국 학생들은 학업을 지속한다고 하였다. 이는 명확하고 구체적인 계획이 없는 상태에서 학업을 중단하게 될 경우 자신에게 몰아칠 심리적 압박감과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학업복귀 뿐인 환경적 압박감으로 인해 학업을 지속하기로 결정하는 것은 Han(2018)의 연구결과와도 일맥상통한 결론이다. Kim(2010)은 중도탈락과 학업지속 원인을 파악하는 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학업지속 경향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는데 사회적 통합성, 진로정체감, 학교 지원서비스 수용 정도 등의 요인이 기관 차원에서 학습자에게 적절한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고, 학업지속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소규모 지방사립대 재학생들의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학업지속의도 향상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신입학정원 1000명 미만인 소규모 지방사립대인 A대학의 재학생을 편의 표집하였다. 학년과 학과의 다양성을 반영하기 위해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를 활용하여 공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64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성별 비율을 살펴보면 남학생이 36.6%, 여학생이 63.4%로 연구대상자들이 재학하고 있는 A 소규모 지방사립대의 재학생 성별 비율과 유사하게 도출되었다. 조사에 참여한 총 164명의 학과는 사회복지학과, 유아교육과 등 21개이며, 계열별로 구분해보면 인문사회계열 43.9%, 이공자연계열 56.1%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대상의 특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Fig. 1]

Research Model.

Characteristics

2. 측정도구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학업지속의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지속을 다룬 Jung(2020)의 연구에서 도출되었으며, 일반대학생 대상 문항으로 수정한 후 교육학 박사 이상 전문가 2인의 자문을 통해 확정하였다. 주요 독립변수인 의사소통역량(적극적 경청과 이해능력, 효과적인 의사전달능력, 토론과 조정능력), 자기관리역량(자기주도적학습능력, 계획수립 및 실행능력), 대인관계역량(협력, 중재, 리더십)은 Ko(2019)의 저서에 제시된 대학생 역량 문항을 선별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K-CESA 문항 분류대로 하위변인을 구분한 후 전문가 자문을 통해 문항을 확정하였다.

분석 문항의 구체적인 내용과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는 다음 <Table 2>와 같다. 변인별 신뢰도를 Cronbach의 알파값으로 살펴본 결과, 학업지속의도 .871, 진로결정자기효능감 .836, 의사소통역량 .914, 자기관리역량 .947, 대인관계역량 .952로 모든 잠재변인이 일반적으로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도출되었다.

Research Tools and Reliability

3. 자료분석

소규모 지방사립대 재학생들의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요인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주요 변인을 중심으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학업지속의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주요 변인 간 관계분석을 위해 2단계 접근법(Two-Step Approach)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적합도 지수별 적합기준은 RMSEA .06 이하(Hu and Bentler, 1999)를, TLI는 .9 이상(Tucker and Lewis, 1973)을, CFI 역시 .9이상(Bentler, 1990)을 기준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의 합치도에서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범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였다. 이상의 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결과

연구모형에 투입될 학업지속의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을 중심으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고, 정상분포 가정의 충족 여부를 판단해주는 지표인 왜도값이 2보다 크지 않고, 첨도값이 4보다 크지 않지 않아서(Curran, West and Finch, 1996), 최대우도법을 통한 추정에 무리가 없다고 판단되었다. 상관관계 분석결과는 다음 <Table 3>과 같다.

Correlation Results

2.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이 소규모 지방사립대 재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 간에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이 존재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공차한계(tolerance)와 분산팽창요인(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등의 지표를 활용하였다. 주요 변인의 공차한계가 0.10보다 크고, VIF 값이 10보다 작게 나타나 다중공선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 <Table 4>와 같다.

Analysis Results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대한 독립변인들의 설명력(R2)은 .505로 나타났다. 이는 소규모 지방사립대 재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이 미치는 영향이 50.5%라는 의미이다. 자기관리역량 중 ‘계획수립 및 실행능력’, 대인관계역량 중 ‘리더십’ 변인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적 영향을 미쳤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변인의 표준화계수값을 살펴보면, 계획수립 및 실행능력이 리더십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자신의 계획수립 및 실행능력과 리더십을 높게 판단하는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역시 높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3.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이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이 소규모 지방사립대 재학생들의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역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 간에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이 존재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공차한계(tolerance)와 분산팽창요인(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등의 지표를 활용하였다. 주요 변인의 공차한계가 0.10보다 크고, VIF 값이 10보다 작게 나타나 다중공선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 <Table 5>와 같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학업지속의도에 대한 독립변인들의 설명력(R2)은 .434로 나타났다. 이는 소규모 지방사립대 재학생들의 학업지속의도에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이 미치는 영향이 43.4%라는 의미이다. 의사소통역량 중 ‘토론과 조정능력’, 자기관리역량 중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계획수립 및 실행능력’, 대인관계역량 중 ‘리더십’ 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적 영향을 미쳤다. 표준화계수값을 비교해보면, 학업지속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인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었고, ‘토론과 조정능력’, ‘리더십’, ‘계획수립 및 실행능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이 있다고 인식하는 소규모 지방사립대 재학생일수록 학업지속의도가 강하다는 의미이고, 자신의 토론과 조정능력, 리더십 등의 역량을 높게 판단할수록 학업지속의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Analysis Results

4.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성한 구조모형을 2단계접근법(two-step approach)에 따라 먼저 측정모형 추정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통한 잠재변인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잠재변인은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이므로 이들로 구성된 측정모형에 대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χ2=67.187, df=17, p=.000, TLI=.903, CFI=.941, NFI=.924, IFI=.903, RMSEA=.058로 나타나 모든 적합도가 통계적으로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모든 측정 변인들이 각각의 잠재변인에 잘 포함되어 있을 뿐 아니라 각각의 측정 변인들이 해당 잠재변인을 잘 설명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적합도 지수는 χ2=97.755, df=27, p=.000, TLI=.890, CFI=.934, NFI=.912, IFI=.935, RMSEA=.061로 나타나 모든 적합도가 통계적으로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모형의 측정변수 각각의 관계에 대한 가설 검정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 <Table 6>과 같다.

SEM Analysis Results

표준화 경로계수(β)는 회귀분석의 표준화 회귀계수에 상응하는 것으로 잠재변수 간 경로의 상대적 효과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가설 검정 결과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경로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관리역량과 대인관계역량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소규모 지방사립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자신의 자기관리역량과 대인관계역량을 높게 인식할수록 진로자기결정효능감 역시 높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관리역량과 대인관계역량의 표준화 회귀계수값을 비교해보면, 자기관리역량이 대인관계역량보다 높게 도출되었다. 둘째,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학업지속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소규모 지방사립대에 재학 중인 자신의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게 인식할수록 학업지속의도 역시 높다는 것으로 의미한다. 그리고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세 요인의 표준화 회귀계수값을 비교해보면, 자기관리역량 값이 가장 높았고, 의사소통역량,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Fig. 2]

Research results.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소규모 지방사립대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업지속의도 간 관계를 분석하여 학업지속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한 연구 결론을 종합하면, 첫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자기관리역량과 대인관계역량이었다. 이는 연구대상인 대학생들이 자신의 자기관리역량과 대인관계역량을 높게 인식할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도 높게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었다. 이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을 높게 인식할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학업지속의도를 높게 판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교수학습지원센터 등을 통해 말하기, 쓰기 등의 의사소통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과 진로취업지원센터 등을 통한 자기관리(시간관리, 자기주도학습역량 등) 특강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Cho et al(2008)은 그동안의 대학교육이 학생들에게 협력과 소통, 화합과 상생을 위한 것보다 글쓰기, 말하기 등 화자의 표현력을 키우는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어 의사소통능력을 위한 형식적인 교육에 그쳤다고 하였다. Keller(1999)는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지속시키기 위한 문제해결접근방법으로 ARCS모형을 제시하였는데, 동기이론에 근거하고 있는 이 모형은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의 네 가지 구성요인이 학습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비게임 분야에 게임적 사고와 기법을 활용해 사용자의 몰입을 유도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교수법 역시 학습자의 재미와 흥미를 주어 학업성취감을 높일 수 있다고 한다(Jeon, 2016). 의사소통역량과 자기관리역량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업지속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도출된 만큼 형식적인 역량향상 교육에서 탈피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모형 분석결과 중 대인관계역량의 경우 학업지속의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업지속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역할을 잘 보여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대인관계역량은 다른 사람의 마음, 감정, 느낌을 잘 이해하여 다른 사람과 효과적이고 조화롭게 일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Gardner et al, 1995), 본 연구에서는 협력, 중재, 리더십의 3개 하위요인이 측정되었다. 다중회귀 분석결과를 보면, 리더십 요인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학업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리더십 역량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소규모 지방사립대 재학생들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인식 및 학업지속의도가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특히 리더십 역량이 학업지속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발현된다는 결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리더십에 관한 다양한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대학생의 리더십 역량 향상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였고, 대학생들이 재학 중인 학교에서의 학업지속을 결정하고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라는 것이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밝혀졌다. 우리나라의 많은 대학에서는 재학생들의 리더십 향상 교육을 다양한 교과, 비교과 프로그램을 통해 기획, 운영하고 있고, 각 대학의 핵심역량 측정도구에도 리더십은 빠지지 않는 주요 요인이기도 하다. 향후 리더십 프로그램 기획 시 재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업지속의도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소규모 지방사립대 재학생들의 학업지속의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몇 가지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학생들의 학업지속의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유의미한 정책수립을 위해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을 포함한 재학생들의 기초적인 역량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K-CESA 등의 공인된 도구 이외에 대학 고유의 교육목표와 인재상을 잘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검증이 되어야 할 것이고, 재학생들 각각에 대한 역량변화 그래프를 위해 빅데이터가 잘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많은 대학에서 교육성과관리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므로, 재학생들의 역량 향상 정도의 측정을 위한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재학생 역량 수준 파악과 함께 중요한 것이 각 역량 향상을 위해 유용한 프로그램의 기획일 것이다. 많은 대학에서 교수학습지원센터, 진로취업지원센터 등을 통해 비교과프로그램으로 역량강화를 주도하지만,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적극적인 도입을 통한 교과 영역에서의 역량강화 커리큘럼 변화가 필요하다. 학과 및 전공차원에서 재학생들의 역량강화를 목표로 전공별 필수역량을 설정하고, 이의 달성을 위한 학년별 로드맵을 구축하여야 한다. 또한 전공별 역량의 변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각 전공별 역량의 측정도구가 함께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매년 학과 및 전공 재학생들의 역량을 추적 관찰하고, 커리큘럼 및 학과별 비교과 프로그램의 단계별 변화를 통해 시대와 사회의 요구에 민감하게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소규모 지방사립대 중 특정한 A대학을 임의선정하여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지속의도를 분석한 제한점을 갖는다. 향후 대학의 설립유형, 소재지, 성별 등 여러 배경요인을 포함한 연구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 Bentler PM(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 https://psycnet.apa.org/record/1990-13755-001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238]
  • Bochner AP, and Kelly CW(1974). Interpersonal competence: Rationale, philosophy, and implementa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279~301. [https://doi.org/10.1080/03634527409378103]
  • Choi MS and Kang JH(2008). Qualitative Study about Experience of Students’ Dropping Ou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5(7), 203~225.
  • Curran PJ, West SG. and Finch JF(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 https://psycnet.apa.org/buy/1996-03170-002 [https://doi.org/10.1037/1082-989X.1.1.16]
  • Gardner H, Kornhaber ML and Wake WK(1996). Intelligence: Multiple perspectives.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https://psycnet.apa.org/record/1996-97024-000
  • Ha JY, Kim JM, Kang JY and Cha JC(2017). Analysis of the Differences Among Core Competency of Collegiat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Barrier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5), 80~89.
  • Heo JH(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thletes` Self-Management Questionnaire (ASMQ).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14(2), 95~109.
  • Hu LT and Bentler PM(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 Hwang HS, Jeoung SE and Cho EH(2018). A study on the use of narrative education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2(2), 217~239.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421238
  • Hwang SY(2020). Explor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Academic Persistence in University Students Who suffered a Dropping-out Crisi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6(2), 327~352.
  • Jeon YS(2016). The Effect of the Gamification Factor applied Lessons on Academic Interest and Academic Self-efficacy : Focused on the High school Technology Class. Master's thesis at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Jeong TH(2002). Implications of Student Retentio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Focused on the Period of Student Attrition.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1(2), 327~342.
  • Jung JY(2020). A Study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Cyber University Education for Academic Persistence. Soonchunhyang Journal of Humanities, 39(4), 195~220. [https://doi.org/10.35222/IHSU.2020.39.4.195]
  • Jung SY and Kwon ST(2008). Development of the Drop-outs Prediction Model Using Association Rule and Decision Tre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6(5), 202~210.
  • Jung TH(2002). Implications of Student Retentio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Focused on the Period of Student Attrition. The korean society for study of vocational education, 21(2), 327~342.
  • Kang SH(2010).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Dropout Think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3(1), 29~53.
  • Keller JM(1999). Using the ARCS motivational process in computer‐based instruction and distance education.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1999(78), 37~47. [https://doi.org/10.1002/tl.7804]
  • Kim GJ and Na YB(202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Online Dance Education on User Satisfaction, Intention to Continue Use, and Intention to Continue Stud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9(1), 401~410.
  • Kim HY and Kim GU(2018). Structural Analysis of Self-Development Competency and Employment Readiness to improve the Job Achievement of Women’s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4), 29~37.
  • Kim HJ, Oh SN and Cho, MS(2020). The Effects of Self-efficacy, Depression, and Anger on First Year Students Regarding Their Learning Persistence in Online Classes under Covid-19.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4(6), 299~308. [https://doi.org/10.46392/kjge.2020.14.6.299]
  • Kim MS(2019). The Improvement Strategy of Student Care System for the Prevention from Adequacy of College Life: A Case Study of C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Correctional Counseling, 4(1), 73~90. [https://doi.org/10.33614/KCCPA.2019.4.1.73]
  • Kim NM and Kim HW(2015). Th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a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through a Peer-Mentoring System of College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12), 875~900.
  • Kim SY(2006). A Study on Exploring the Academic Persistence and Dropout of Korean Universities and Colleges'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3(4), 33~62.
  • Kim SY(2012). A Study on College Freshmen’s Adaptation Process Influencing on the Dropout - A Basic Research of the College Dropouts' Mobility Path and Structure.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5(3), 139-160.
  • Kim YE(2020). Basic research for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impovement program of NCS-based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8(1), 1~14. [https://doi.org/10.31352/JER.18.1.1]
  • Kim YS(2021). A Exploratory Study on Persisiting Learning Conation Depending upon 3S Factor(Self-direction, Sociability, Self-efficacy) in Untact Classes. Jouanal of Digital Convergence, 7(2), 73~79. https://www.earticle.net/Article/A391706
  • Ko SI(2019). Easy to understand organizational behavior. Seoul: PAKYOUNGSA.
  • Kwon SC, Kim SB and Lee IH(2015). The Collegiate Self-Management Competencies Improvement Program and an Analysis of Its Effec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3(1), 143~166. https://www.earticle.net/Article/A244056
  • Kye JA, Woo SB, Park KR, Park KB and Yang EJ(2015). Exploring Subtypes of Temporal Changes in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2015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roceeding, 306.
  • Lee SW(2003). Comparing Learners' with Institutions' Factors that Influence on Persistence in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9(1), 117~147.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09136356
  • Lent RW, Brown SD and Hackett G(1994).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 79~122. [https://doi.org/10.1006/jvbe.1994.1027]
  • Oh HY(2015). A Study on the Hierarchical Ranking Structure of University and Educ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8(2), 8~13. [https://doi.org/10.18108/jeer.2015.18.2.8]
  • Park JY(2013). Study on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creativity, personal relationship in regards to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octoral dissertation, Kwand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 Shim CS(2017).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s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11), 147~158.
  • Spitzberg BH and Cupach WR(1989). Handbook of interpersonal competence research. NY: Springer-Verlag.
  • Tinto V(1975). Dropouts from higher education: An theoretical synthesis of recent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5(1), 89~125. [https://doi.org/10.3102/00346543045001089]
  • Tucker LR and Lewis C(1973).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38(1), 1~10. [https://doi.org/10.1007/BF02291170]

[Fig. 1]

[Fig. 1]
Research Model.

[Fig. 2]

[Fig. 2]
Research results.

<Table 1>

Characteristics

Item Characteristic Number of students Ratio
(%)
Student(N=164)
Gender female 104 63.4
male 60 36.6
subject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72 43.9
Science and Engineering 92 56.1

<Table 2>

Research Tools and Reliability

Item Mean SD Skewness Kurtosis
Academic
Persistence
It is important for me to graduate from our university 3.63 1.106 -.210 -.630
I will continue to develop my studies even if the content of study is difficult. 3.90 .811 .034 -.531
we will finish the study at our school. 3.74 .914 -.253 -.260
I will also register for next semester. 3.67 1.334 -.315 -.841
I think I can continue my studies at our school 3.89 .832 -.745 -.186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 know what I like to do. 4.10 .811 -.610 -.128
I know what's good about my personality. 4.27 .629 -.275 -.614
I have looked for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career 4.00 .903 -.619 -.351
I know what to do now to achieve my future hopes. 3.91 .834 -.359 -.458
I decide my career (major, job) myself. 4.15 .756 -.603 .069
I want to be one of the best experts in my profession 4.24 .810 -1.193 2.190
I want to be someone who plays a more important role than anyone else when making decisions related to my work. 4.22 .754 -1.098 2.692
I can overcome any difficulties to get the job I want. 3.94 .837 -.402 -.423
Active
listening and
understanding
ability
I keep the conversation simple 3.43 1.054 -.738 -.159
I turn around and talk to the other person 4.41 .647 1.121 -.935
I communicate with the other person's eyes 4.33 .721 .114 -.794
I nod and react while listening 4.63 .533 .083 -1.062
I listen and respond. 4.68 .518 .832 -1.336
Effective
communication
ability
It is a form of giving and receiving without speaking unilaterally. 4.32 .701 .258 -.752
Use appropriate questions in conversation 4.32 .585 -.595 -.190
Understand what the other person is saying correctly when talking 4.05 .646 -.542 -.045
It even counts the inner heart of the speaker. 4.17 .644 -.603 -.172
Establish an opportunity to help improve relationships or achieve goals through dialogue. 4.10 .747 .049 -.525
Before making a presentation, make sure to write the material thoroughly. 4.07 .750 -1.193 -.121
understand the content to be presented and digest it as one's own. 4.01 .762 -.286 -.364
Deliver with accurate pronunciation and sufficient volume when presenting. 3.72 .946 -.854 -.211
Actively utilize non-verbal means such as gaze and gestures as well as spoken language. 3.98 .769 -.861 -.125
Discussion and coordination ability When discussing, do not react emotionally and persuade logically. 3.80 .728 -.348 -.075
When discussing, accept the other party's rational arguments. 4.04 .777 .082 -.550
In the discussion, to persuade the other party, it is presented based on statistical data and examples. 3.98 .831 .705 -.615
When mediating a conflict between the two sides, clearly understand each other's position. 4.18 .705 .824 -.708
In arbitration, both sides propose acceptable alternatives. 4.11 .737 .197 -.556
Conduct continuous learning to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3.85 .862 -.788 -.183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stablish an accurate assessment of yourself and personal goals. 3.95 .784 -1.359 .087
monitor and reflect the process of achieving individual goals. 3.84 .853 -.739 -.176
You know what learning style is right for you. 3.87 .886 .350 -.606
Acquire and use new knowledge and skills by using the learning style that best suits you. 3.88 .880 -.476 -.424
Planning and execution ability use new skills and skills acquired, and regularly check the results. 3.71 .909 -.840 -.086
You have your own life vision. 3.98 .860 -.273 -.549
The vision is specifically written or expressed in pictures. 3.28 1.136 -.884 -.110
They have personal goals to achieve their vision. 3.67 .969 .129 -.624
Establish and implement action plans to achieve personal goals. 3.72 .933 .527 -.713
Periodic evaluation of the results of the action and revising the plan as necessary. 3.56 .983 .169 -.535
Cooperation I identify the difficulties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actively resolve them. 4.02 .702 -.034 -.931
I maximize the support of external helpers or experts for organizational development. 3.88 .807 .083 -1.143
I seek efficiency that minimizes input and maximizes performance. 3.98 .720 .036 -1.035
I put the interest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group first, leaving my personal interests aside. 3.73 .861 -.040 -.761
arbitration I am grateful for recognition and praise for the positive efforts and achievements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4.20 .710 -.301 -.963
I coordinate mutual opinions to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forces can gather in one direction. 4.17 .681 -.227 -.819
I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4.17 .681 -.227 -.819
I give appropriate feedback according to the member performance. 4.10 .780 -.173 -1.324
I watch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around my organization and cultivate insights into the future. 3.91 .820 .023 -1.200
leadership I actively take on the role of a leader who leads the organization. 3.85 .833 -.110 -.804
As a leader, I present a vision when I lead an organization. 3.87 .766 .065 -.910
I induce active participation by embodying the benefits of members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of the organizational vision. 3.93 .716 -.305 .020
I assign roles and set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ies to members of the organization. 4.00 .801 -.295 -.663
As a leader, I take the initiative to follow the rules of the organization and set an example. 3.95 .784 -.071 -.978
I create conditions for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o interact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3.95 .701 -.153 -.328

<Table 3>

Correlation Results

Items Academic Persist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Management Competen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y
Academic Persistence 1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581** 1
Communication Competency .492** .468** 1
Self-Management Competency .560** .719** .721** 1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y .580** .658** .733** .858** 1
Mean 3.76 4.10 4.11 3.95 4.03
SD .736 .542 .458 .582 .543
Skewness -.206 -.201 -.095 -.088 .117
Kurtosis -.485 -.262 -.141 -.662 -.823

<Table 4>

Analysis Results

item B SE β t p Tolerance VIF
Active listening and understanding ability .056 .077 .051 .734 .464 .651 1.537
Effective communication ability -.038 .097 -.036 -.396 .693 .394 2.541
Discussion and coordination ability -.047 .083 -.055 -.570 .569 .346 2.892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118 .082 .161 1.442 .151 .257 3.889
Planning and execution ability .260 .062 .394 4.155 .000 .354 2.821
Cooperation -.022 .080 -.026 -.278 .781 .373 2.682
arbitration .052 .086 .059 .603 .547 .330 3.031
leadership .233 .077 .280 3.027 .003 .372 2.689
R2=.505           adj.R2=.480          F=19.793***

<Table 5>

Analysis Results

item B SE β t p Tolerance VIF
Active listening and understanding ability -.036 .111 -.024 -.325 .746 .651 1.537
Effective communication ability .116 .141 .079 .822 .412 .394 2.541
Discussion and coordination ability .413 .121 .352 3.424 .001 .346 2.892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425 .119 .427 3.582 .000 .257 3.889
Planning and execution ability .332 .091 .372 3.665 .000 .354 2.821
Cooperation -.169 .115 -.145 -1.468 .144 .373 2.682
arbitration .202 .124 .171 1.628 .106 .330 3.031
leadership .384 .112 .341 3.442 .001 .372 2.689
R2=.434           adj.R2=.405          F=14.862***

<Table 6>

SEM Analysis Results

Path B S.E. β
*** p<.001, ** p<.05, *p<.05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y -.351 .188 -.358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elf-Management Competency .467** .142 .600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y .499* .223 .453
Academic Persistence Communication Competency .802** .286 .603
Academic Persistence Self-Management Competency .707** .228 .669
Academic Persist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y .454 .321 .304
Academic Persist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705*** .134 .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