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ishries And Sciences Educa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ol. 33, No. 6, pp.1473-1487
ISSN: 1229-8999 (Print) 2288-204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1
Received 09 Nov 2021 Revised 13 Dec 2021 Accepted 20 Dec 2021
DOI: https://doi.org/10.13000/JFMSE.2021.12.33.6.1473

장애유아의 놀이에 관한 유아교사의 메타포 분석

김소희 ; 이연우* ; 황희숙
부경대학교(학생)
*부경대학교(교수)
부경대학교(교수)
Metaphor Analysis on the Pla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o-Hee KIM ; Youn-Woo LEE* ; Hee-Sook HWA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stud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Pukyong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Correspondence to: 051-629-5494, hshwang@pknu.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he pla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metaphor analysis. For the purpose, 202 teachers who are working in the day care center or kindergarten in the city of Busan were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describing the reason and presenting the metaphor about the perception on the pla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192 teachers’ metaphors on the play of young children were drawn as 157 metaphors in the categories of 10 themes. The characteristics of play were classified as everyday life, pleasure, pureness, diversity, difficulty, and individual support. And the function of play was classified as growth, learning, communication, and self expression. Second, in the characteristics of play, the theme with high frequency was the individual support(20 teachers, 10.4%), showing that the pla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s the attention, observation, and care with individual approach. In the function of play,the theme with high frequency was the growth(42 teachers, 21.9%), meaning that a total of 33 metaphors shows a play a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on the development and growth on the pla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the discussion and implication were suggested in terms of providing the related services and the institutional services for suppor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the inclusive setting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Keywords:

Early chidhood teachers, Play,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Metaphor analysis

Ⅰ. 서 론

유아에게 있어서 놀이는 일상의 삶 그 자체이며 즐거움인 동시에 배움의 장이 되며, 놀이를 통해 주변세계를 탐색하고 적응함으로써 전인적인 발달을 이루어가게 된다. 놀이의 이러한 특성은 장애유아와 일반유아를 포함한 모든 유아에게 적용된다. 놀이는 모든 유아의 발달에 있어 중요한 활동(Park and Choi, 2002)이 되므로, 유아교육에서 놀이는 유아들에게 가장 좋은 교수-학습방법이자 유아들의 발달적 특성을 이해하고 지원할 수 있는 통로로 활용되고 있다(Bredekamp and Copple, 1997). 발달적 측면에서 놀이는 유아가 다양한 지식 및 기술들을 습득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를 여러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NAEYC, 1991). 이를 통해 유아는 관심있는 대상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창의성, 의사소통,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을 주요 방향으로 제시하고 있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으로서 유아들이 몰입할 수 있는 놀이환경 제공을 위해 교육계획안을 유아교육기관의 상황에 맞게 기술하도록 자율성을 부여하고, 교사가 유아의 놀이지원을 위한 역할 수행에 충실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Ministry of Education an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이러한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장에서 이를 실행하는 유아교사들의 역할에 있다. 교육과정 운영의 주체로서 교사의 신념 및 인식은 교수 실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Nespor, 1987)이기 때문이다. 즉, 유아교사가 가지는 가치관 및 사고는 현장에서 유아와의 놀이 및 상호작용을 통해 반영된다.

최근 2019 개정 누리과정 시행 이후,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들(Kang and Kim, 2021; Park and Lee, 2020; Bang, 2020; Lee and Kim, 2021; Lee and Lee, 2021; Jeong and Choi, 2021)은 매우 활발히 시행되고 있으나, 장애유아와 또래의 일반유아가 함께 하는 통합교육환경에서의 놀이와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과 관련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으로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메타포 분석 방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Lakeoff and Johnson(1980)에 의하면 메타포적 개념은 단순히 경험을 바탕으로 정의되는 비메타포적 개념과는 다른 측면에서 이해되고 구성된다고 보았다. 한 종류의 대상이나 경험을 다른 종류의 대상이나 경험으로 개념화하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즉, 대상이 갖는 특성을 표현하는 방법으로서의 메타포는 단순히 언어의 수식적 표현을 넘어, 개인의 경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통찰을 표현할 수 있게 한다(Lakoff and Johnson, 1980; Saban, 2010). Moser(2000) 또한 메타포는 비유적 추론의 일반적인 인지능력을 대표함과 동시에 문맥에 민감하고 자기 정의에 대한 사회적·문화적 과정을 반영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메타포의 다측면적 특성은 양적 및 질적 접근을 통해 인지와 문화 사이의 밀접한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 즉, 표현되는 대표 메타포들을 통해 공유된 문화적 이해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교육학 분야에서 메타포 분석은 개념적 메타포(conceptual metaphor) 형태의 질문을 통해 교사의 이해 및 인식체계를 살펴보는 데 주로 활용되어져 왔다(Kim and Hwang, 2017; Seo, 2016; Lee and Son, 2015; Lee, 2021; Jeong and Kim, 2021; Cho et al., 2021; Han, Go and Kim, 2019; Hong and Ahn, 2016; Bas, 2017; Saban, 2010; Saban, Kocbeker, and Saban, 2007; Thomos and Beauchamp, 2011). 즉, 메타포 분석을 통해 지식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교사가 가지고 있는 감정 및 정서들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교사의 신념이나 태도를 알아보는 데 활용하기 좋은 방법에 속한다. 따라서,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메타포 표현을 살펴봄으로써 장애유아의 놀이 및 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나 가치관을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장애유아의 통합교육 현황을 보고한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20)Ministry of Education(2020)의 자료에 따르면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장애유아 중 약 48%와 유치원에 재원 중인 장애유아 중 약 86%의 유아가 또래 일반유아들과 함께 통합반에서 교육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육의 중요성은 단순한 물리적 환경에서의 양적 통합이 아닌 질적인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정에서의 통합 및 실행 측면에서 더욱 강조된다(Kang, Lee, and Park, 2014). 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가 함께 상호작용하는 통합교육 환경 안에서 공동체 의식이 함양되며 모든 유아가 능동적인 참여자로 성장할 기회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Jang, 2016). 이를 위해 통합반의 유아교사는 장애유아가 또래들과의 놀이과정에서 적절하게 상호작용하고 반응할 수 있도록 개정 누리과정을 장애유아에게 적합한 교육내용과 방법으로 조정하여 놀이 지도를 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메타포를 분석하여 장애유아를 위한 통합교육 안에서 놀이중심 교육이 안정화되어 실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놀이중심 교육과정 안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와의 놀이가 상호협력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실질적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교사나 부모들을 대상으로 영아나 유아들의 놀이에 대한 인식을 메타포를 통해 분석한 연구들(Kang and Son, 2018; Kim and Jeong, 2020; Kim and Seo, 2017; Song and Kim, 2021; Lee, 2021; Lee, Lee and Kim, 2021)은 행해져 오고 있으나, 발달이 또래보다 지체되거나 장애를 가진 유아들의 놀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는 실행되어 있지 않다. 또한 장애유아와 관련된 메타포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교육(Kim, 2019)과 장애유아(Kim, 2015)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거나 예비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역할(Kim, 2017)에 대한 메타포를 분석한 연구 총 세 편으로 그 주제 및 내용 측면에서 제한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실행되고 있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가 함께 상호작용하며 놀이할 수 있는 환경 제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이를 실천하고자 하는 유아교사의 역할에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사 지원 측면에서 그들이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은 분명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유아의 놀이에 관한 인식을 메타포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가 장애유아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발달적 특성이나 능력이 어떠한 형태로 표현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가 현장에서 장애유아의 특성 및 놀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고려한 놀이지원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장애유아를 위한 통합교육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안에서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기 위한 교사교육 실행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메타포 주제와 빈도는 어떠한가?

2.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메타포 주제별 의미는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메타포를 분석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총 20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연구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교육기관 유형 및 장애유아 담당 유무, 장애유아 관련 교육 경험과 같은 교사 변인의 다양성을 고려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회수된 총 202부의 설문 가운데 무응답 3부, 중복응답 5부, 불성실한 응답이거나 메타포 표현으로 볼 수 없는 응답 2부를 제외한 총 192부의 설문을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교사의 인구학적 배경 변인은 위의 <Table 1>과 같다.

Participa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2. 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는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교사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포 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포는 하나의 대상을 다른 언어 형태로 표현하는 것으로 언어의 창조적인 사용과 더불어 그 대상에 대한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Yob, 2003). Saban(2010)은 메타포를 통해 새로운 어떤 것을 증명하거나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하고 있거나 경험하는 것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볼 수 있게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유아들의 놀이를 지원하고 있는 교사들이 인식하는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해 탐색하기 위해 개념적 메타포 질문을 활용하였다.

연구도구인 질문지는 선행연구(Lee and Son, 2015; Lee, 2021; Han, Go and Kim, 2019; Lee, Lee and Kim, 2021)들에서 사용된 방법을 참조하여 반구조화된 문장형태로 구성하였다. “장애유아의 놀이는 (______)이다. 왜나하면 (________)이기 때문이다.”와 같은 문장 형식을 통해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메타포와 이에 대한 의미나 이유에 대해서 기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설문지 작성을 돕기 위해 메타포를 활용한 예시 “유아는 씨앗이다. 왜냐하면 흙 속의 씨앗처럼 아직 아무것도 드러나지 않은 작은 존재지만 무엇을 배우며 어떻게 자라는가에 따라 훌륭한 어른이 될 가능성이 무궁무진하기 때문이다.”를 함께 제시하여,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참여자의 의견을 생각해 볼 수 있게 하였다.

3. 자료 수집

본 연구 실행 전의 단계로 유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15-20일 동안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은유를 표현하는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 연구에서의 설문지 응답시간은 10분 미만 소요로 어려움 없이 진행되었으며, 메타포 작성 예시에 대한 어려움이 없는지 확인한 후 예시문장을 이해하기 쉽도록 수정하여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12월 한 달 동안 약 4주에 걸쳐 인터넷 설문(google form)을 통하여 진행되었다. 인터넷 설문은 참여교사의 경력, 연령, 근무기관 등에 대한 인구학적 변인 관련 정보와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메타포 질문을 포함하였다. 참여의사를 밝힌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메일 또는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인터넷 설문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4.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Moser(2000)가 제시한 메타포 분석의 6단계에 기초하여, Han, Go and Kim(2019), Lee, Lee ad Kim,(2021), Saban, Kocbeker, and Saban(2007)의 연구를 참조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자료 분석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딩단계로서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문지에 기재된 응답을 코드화하였다. 메타포와 이유에 대해 그대로 입력하고, 핵심키워드를 입력하였다. 코딩과정에서 메타포 표현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지 않은 문장, 은유적 표현이 아닌 응답 2부를 제거하여 최종 192부로 확정하였다. 둘째, 분류단계로 정리된 자료를 통해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메타포를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핵심키워드를 중심으로 동일하거나 유사성을 가지는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셋째, 분석단위 생성단계로 동일한 메타포로 제시된 경우라도 메타포의 근거를 분석하여 적합한 범주로 분류하였다. 예를 들어, ‘풍선’이라는 메타포의 경우, 다양한 색깔을 가진 의미의 풍선은 ‘다양성’, 외부의 힘을 받아 커지는 의미의 풍선은 ‘성장’으로 분류하였다. 넷째, 범주화 확정단계로 초기 범주화된 메타포 표현들을 반복하여 확인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들 간 의견 차이가 있는 경우 지속적인 합의를 통해 재범주화하였다. 분석 결과, 놀이의 특성 측면에서 6개의 주제, 기능 측면에서 4개의 주제로 범주가 확정되었다. 다섯째, 평정자 간 신뢰도 확인 및 양적 분석 단계에서 연구자들은 먼저 확정된 주제별 메타포 유형에 대하여 연구자들 간 전원 합의에 이를 때까지 상호토의를 거쳐 합의하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박사학위과정 수료자로서 유아교육현장 경력이 있는 전문가 2인을 대상으로 분석한 자료 전체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양적 데이터 분석을 위해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배경변인과 최종적으로 유형화된 메타포에 대한 빈도 및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장애유아의 놀이에 관한 메타포 유형과 빈도

유아교사의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인식은 <Table 2>와 같이 총 192개, 157종의 메타포로 표현되었으며, 놀이의 특성에 따른 주제는 6가지, 놀이의 기능에 따른 주제는 4가지로 구분되었다. 놀이의 특성은 일상, 즐거움, 순수, 다양성, 어려움, 개별지원으로 분류되었으며, 놀이의 기능은 성장, 배움, 소통, 자기표현으로 분류되었다. 놀이의 특성에서 가장 많은 빈도수를 나타낸 주제는 개별지원으로 20명이 응답하였으며, 다음으로 장애유아의 놀이가 가진 어려움에 대해 17명이 응답하였다. 놀이의 기능에서 가장 많은 빈도수를 나타낸 주제는 성장으로 42명이 응답하였으며, 다음으로 자기표현(26명)과 소통(25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주제별 메타포 표현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동일한 단어의 경우 메타포의 근거를 분석하여 이에 해당하는 범주 안에 포함하였다.

Teachers’ Metaphors about the Pla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N=192)

2. 장애유아의 놀이에 관한 메타포 표현에 나타난 의미 분석

메타포 분석을 통해 총 10개의 주제로 범주화된 유형에 대하여 메타포 이유에 대한 내용을 근거로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하여 유아교사가 가진 인식의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장애유아 놀이의 특성

1) 일상으로서의 놀이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메타포를 일상에 비유한 유아교사들은 총 13명(6.8%)으로 일상으로서의 놀이에 해당하는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이와 관련된 10개의 메타포들은 놀이동산, 공감, 인사, 책, 생활(2), 밥, 일상(3), 도구, 물, 생명수에 해당하며, 생활과 일상은 중복된 반응으로 나타났다. 일상으로서의 놀이가 의미하는 표현들은 유아의 놀이가 갖는 기본적인 특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반복된 활동인 동시에 삶의 일부분이 되는 놀이의 특성을 담고 있다. ‘놀이동산’, ‘공감’으로 표현된 메타포는 장애유아의 놀이와 일반유아의 놀이가 본질적으로 같음을 전제하고 있으며, ‘인사’, ‘책’은 놀이가 일상 가운데 반복적으로 나타남을 의미한다. ‘일상’과 ‘생활’의 메타포 표현은 놀이 자체가 유아 삶의 일부분이며 생활이라는 측면에서 같은 의미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도구’, ‘물’, ‘생명수’와 같은 표현들은 놀이가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불가결한 수단으로 간주됨을 의미하고 있다. 이를 통해 놀이는 장애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서 주요한 근원이 되는 것이다. 즉,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놀이는 유아에게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 <예시>
  • - 인사: 사람을 만났을 때 제일 먼저 하는 인사를 반복적으로 하듯 놀이 또한 그래야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 생활: 일상생활처럼 놀이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 - 도구: 무엇을 만들고자 할 때 도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놀이가 이와 같다.
  • - 밥: 놀이는 가장 기본적인 주식과 같다.

2) 즐거움으로서의 놀이

장애유아의 놀이를 즐거움과 유사한 표현으로 유아교사들은 총 12명(6.3%)에 해당하였다. 즐거움으로서의 놀이로 범주화된 메타포들은 자연, 기쁨, 행복(2), 즐거움(4), 친구, 사탕, 춤, 환희이며, ‘행복(2)’과 ‘즐거움(4)’은 중복된 표현으로 나타났다. 기쁨, 행복, 즐거움, 환희, 사탕, 춤에 대한 메타포들은 유아의 놀이가 전달하는 긍정적인 감정들과 활기찬 에너지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친구로 표현된 메타포는 즐거움을 표현하는 놀이 속에 규칙을 지키고자 하는 모습이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놀이가 주는 즐거움에 대한 메타포들은 장애유아가 놀이를 통해 긍정적이고 즐거운 감정들을 마음껏 누리고 표현할 수 있는 존재임을 의미하고 있다.

  • <예시>
  • - 자연: 유아의 놀이는 자연처럼 아주 큰 선물이며 자연 속에는 무엇이 있을지 모르는 기쁨과 신비함이 있기 때문이다.
  • - 행복: 놀이할 때 자신이 하고 싶은 행동들이 나타나며 즐거움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 - 즐거움: 놀이를 통해 기쁨을 느낄 수 있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 - 친구: 놀이의 즐거움을 마음껏 표현하기 때문이다. 친구와 놀면 즐겁고 행복하듯이 놀이하는 모습을 살펴보면 규칙도 있고 조심스 러움도 있고 친구 대하듯이 하는 모습이 보이기 때문이다.

3) 순수함으로서의 놀이

본 연구에서는 장애유아의 놀이를 순수함에 비유한 메타포들로 표현한 유아교사들은 총 7명(3.6%)으로, 이는 천사, 나무, 솜사탕, 즉흥적, 기차, 본능(2)에 해당한다. 이러한 메타포들은 놀이가 가진 순수함을 기본적인 특성으로 꼽고 있다. 솜사탕처럼 환경에 따라 변화되기 쉬우며, 즉흥적, 기차나 본능이 의미하는 것처럼 자극에 민감하며 본능에 충실한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예시>
  • - 나무: 아이들의 놀이를 보면 티없이 맑고 순수한 자연처럼 깨끗한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 - 솜사탕: 누군가가 손대지 않으면 그 자체로 놀이가 이루어지는데 성인의 손이 생기는 순간 솜사탕처럼 오염되기 때문이다.
  • - 즉흥적: 자기자극관련 놀이는 주제와 관련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 본능: 생각한 행동이 바로바로 나오기 때문이다.

4) 다양성을 지닌 놀이

13명(6.8)의 유아교사들이 제시한 메타포들은 다양성을 지닌 놀이로 범주화되었으며, 이는 풍선, 유동적, 별빛, 무지개, 파도(2), 새로움, 공, 우주, 바다, 자기주도, 자유, 날개에 해당한다. 이 가운데 중복된 반응은 파도이며, 장애유아 놀이의 예측불가능한 특성을 의미하고 있다. 풍선, 별빛, 무지개와 같은 메타포들은 장애유아의 놀이가 담고 있는 다양한 감정들에 표현하고 있다. 또한 장애유아의 놀이가 가지고 있는 자유로움은 자기주도, 자유, 날개에 비유하여 표현되었다.

  • <예시>
  • - 풍선: 장애유아의 놀이는 어떤 놀이에서든 통통 튀면 풍선의 색깔이 여러 가지이듯이 여러 장애아들이 있으며, 풍선이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것처럼 장애아들도 기쁨을 주거나 슬픔을 주기 때문이다.
  • - 유동적: 정해진 규칙 없이 가변적인 성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 - 별빛: 장애유아의 놀이는 별빛처럼 놀이 가운데 잔잔함도 있고 밝음도 있으면서 일상의 그리움도 있기 때문이다.
  • - 무지개:무지개처럼 우리가 느끼지 못한 감정과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5) 어려움을 가진 놀이

장애유아의 놀이가 가진 특성을 어려움으로 나타낸 유아교사들은 17명(8.8%)으로 15개의 메타포로 표현되었다. 이는 기적, 카레이싱, 학습, 네모난 바퀴, 도전, 물음, 모험(2), 깜짝 선물, 마니또 선물, 스무고개, 나무늘보, 거북이, 시계추, 클립, 거울(2)로 제시되었다. 어려움을 가진 놀이로 분류된 메타포들은 장애유아의 놀이가 가지고 있는 한계 또는 제한된 특성과 관련된 의미들을 포함하였다. 기적, 카레이싱, 네모난 바퀴로 표현된 메타포들은 장애유아 놀이 이해에 대한 어려움을 기술하고 있는 반면에, 도전, 모혐, 물음과 같은 메타포들은 장애유아의 놀이가 가지고 있는 새로움이나 긴장감 등으로 인한 어려움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나무늘보, 거북, 거울과 같은 메타포들은 장애유아 놀이의 특성을 느림이나 단순함에 비유하여 놀이 이해의 어려움으로 표현하였다. 즉, 어려움을 가진 놀이에 해당하는 메타포들이 의미하는 바를 통해 유아교사들은 장애유아 놀이 자체에 어려움을 느끼며, 놀이의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우며, 반복된 특성을 보이며, 느리게 진행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예시>
  • - 기적: 놀이하는 것 자체도 일반유아에 비해 쉽지 않고 그 자체만으로도 힘이 드는 일이 기에 기적과도 같은 일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 - 네모난 바퀴: 굴러가고 있지만 제대로 되지않는 네모난 바퀴처럼, 놀고 있지만 제대로 놀고 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 - 물음: 어떤 방향과 어떤 상황으로 흘러가게 될지 모르기 때문이다.
  • - 모험: 모험처럼 장애유아를 경험해본 적이 없거나 새로운 도전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 - 마니또 선물: 어떤 선물이 있을지 항상 궁금하고 긴장되기 때문이다.(134)
  • - 거북이: 다른 유아에 비해 느리지만 시간이 흐르면 변화되는 모습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6) 개별 지원이 필요한 놀이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특성들에 해당하는 주제 중에서 개별 지원에 관한 메타포들을 표현한 유아교사들은 20명(10.42%)으로 나타났다. 총 18개의 메타포들은 ‘개별화’, ‘주의관찰’, ‘돌봄’과 관련된 표현들로 구분된다. ‘개별화’와 관련된 메타포들은 ‘개별적’, ‘개별화’, ‘눈맞춤’, ‘현재’와 같은 표현들로 장애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맞는 지원이 요구되는 놀이와 연관된다. ‘주의관찰’과 관련된 메타포들은 ‘아메리카노’, ‘돋보기’, ‘유리창’, ‘유리(2)’, ‘암벽등반’, ‘안전’, 기다림(2)‘, ’상상‘과 같은 어휘들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표현들은 장애유아의 놀이를 지원해주기 위해서는 교사의 관찰과 집중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돌봄‘과 관련된 메타포들은 ’돌봄‘, ’식물‘, ’어둠‘, ’사랑‘, ’사골‘과 같이 표현되었으며, 이는 보육교사로서 장애유아의 놀이를 관심과 보살핌으로 지원해주어야 함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 <예시>
  • - 개별화: 장애유아에게는 개별적 놀이지원이 가장 필요하기 때문이다.
  • - 돋보기: 놀이에 대해서 조금더 세심하게 보고 관찰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 - 암벽등반: 줄 하나에 의지하고 손 끝부터 발끝까지 모든 신경이 한 곳에 집중되어 한눈을 팔 수가 없기 때문이다.
  • - 기다림: 스스로 할 수 있게끔 지원하고 교사가 기다려줘야 하기 때문이다.
  • - 상상: 유아의 행동들을 유추해내어 이해하고 소통해야 하기 때문이다.
  • - 어둠: 어둠속에서 누군가 빛을 밝혀주어야 하는 도움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나. 장애유아 놀이의 기능

1) 성장으로서의 놀이

성장으로서의 놀이와 관련된 메타포는 장애유아 놀이의 기능과 관련된 주제 중 가장 높은 빈도수(42명, 21.9%)를 차지하였다. 놀이의 기능을 성장에 비유한 총 33개 메타포들의 대부분은 놀이가 장애유아의 발달 및 성장에 영향을 주는 측면에서 하나의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새싹, 양파, 가능성, 이정표, 씨앗 등의 메타포들은 유아교사들이 장애유아의 놀이를 발달가능성 차원에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자극, 바다, 기둥, 생존미래, 뿌리와 같은 표현들은 놀이가 장애유아 발달의 밑바탕이 되는 요소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이와 더불어, 희망, 빛, 나무, 변화, 걸음마, 물, 영양제 등은 유아교사가 놀이를 장애유아 발달의 촉진제이자 핵심 요소로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예시>
  • - 양파: 놀이의 접근에 따라서 유아의 숨겨진 잠재력이 하나둘씩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 - 자극: 작은 자극일지라도 장애유아가 반응하기 때문이다.
  • - 생존미래: 놀이로써 유아가 조금씩이라도 발전해야 살아갈 수 있는 발판이 되기 때문이다.
  • - 걸음마: 천천히 자기 발달 속도에 맞추어 성장하여 완전함을 갖기 때문이다.
  • - 희망: 장애유아들에게 놀이는 아주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놀이를 통해서 장애 영유아들이 많은 발전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물: 식물이 자라도록 하는 물뿌리개의 물처럼 유아를 자라게 하기 때문이다.

2) 배움으로서의 놀이

장애유아 놀이의 기능을 배움으로 표현한 유아교사들은 17명(8.9%)으로 나타났다. 총 13개의 메타포들은 선생님, 경험, 지혜, 생활, 날개, 물, 공부, 터득, 배움(5). 하얀종이, 흰도화지(2), 하얀 반죽으로 표현되었다. 배움과 관련된 메타포에서 하얀종이, 흰도화지, 하얀반죽은 백지상태로서의 놀이가 지닌 학습 가능성을 의미하며, 선생님, 경험, 지혜, 물, 공부, 터득 등의 메타포는 놀이를 통해 지식과 기술을 학습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즉, 배움으로서의 놀이에 해당하는 메타포에 대한 의미 분석을 통해 교사들이 인식하는 장애유아의 놀이는 성장과 발달에 도움을 주는 기능과 더불어 배움을 통한 학습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예시>
  • - 하얀종이: 아직 아무것도 없지만 어떻게 그려지는 것에 따라 멋진 작품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 - 하얀 반죽: 어떤 모양, 색깔로 빚어질지 모르기 때문이다.
  • - 선생님: 놀이를 통해 학습되어지고 기술과 기능을 습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터득: 놀이를 통해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소통으로서의 놀이

장애유아 놀이의 기능을 소통으로 표현한 유아교사들은 총 25명(13%)으로, 23개의 메타포로 표현되었다. 이와 관련된 메타포들은 친구, 테이프, 관계, 문, 창문, 관계의 출발점, 관계맺기의 시작, 세상(2), 자연, 우주, 살아가는 방법, 적응, 사회적응, 삶(2), 적응기, 자유, 협동, 거름, 경험(2), 소통수단, 다리, 디딤돌에 해당하였다. 즉, 소통으로서의 놀이에 해당하는 메타포들은 장애유아가 놀이를 통해 소통하고 사회성 기술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소통과 관련된 메타포들 중에서, 테이프, 관계, 관계 맺기의 시작, 창문, 문, 세상, 소통수단과 같은 표현들은 장애유아의 놀이가 외부와의 소통을 넓히고 친구들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통로가 됨을 의미한다. 또한 적응, 삶, 협동, 경험, 자유, 거름, 다리, 디딤돌의 표현들은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회화 및 사회 적응과정으로서의 놀이가 갖는 기능들과 연결된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들은 장애유아의 놀이를 사회적 소통의 측면에서 중요한 기능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예시>
  • - 테이프: 놀이를 통해 사회를 배우고 모방하며 소통하기에 놀이는 장애유아에게 테이프와 같이 붙어져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 - 관계 맺기의 시작: 유아와 메체 혹은 유아와 유아 간의 관계를 쉽게 맺을 수 있는 시작이기 때문이다.
  • - 적응기: 학기 초반처럼 적응하는 아이들과 같이 하나씩 적응하면서 놀이하기 때문이다.
  • - 자유: 자유로운 놀이를 통해 사회성을 배워 가는 아이들이기 때문이다.
  • - 소통수단: 장애유아, 비장애유아 구분없이 놀이자체는 아주 중요하고 소통할 수 있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 - 다리: 의사표현이 어려운 장애유아들이 놀이를 통해 자신의 의식을 표현하고 규칙을 경험하면서 세상과 연결될 수 있는 다리를 만든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4) 자기표현으로서의 놀이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교사들 중 자기표현으로서의 놀이와 관련된 메타포를 제시한 교사는 26명으로 나타났다. 중복된 반응을 제외한 총 20개의 메타포들은 유리, 거울, 미리보기, 등불, 유리온실, 그림, 표현(2), 가무, 그림일기, 자기표현, 소통의 출발점, 폭죽, 신호탄, 감정(2), 악기, 내적표현, 치료(4), 치유, 정서안정, 언어(2)에 해당하였다. 유아는 놀이를 통해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나타내기 때문에 자기표현에 해당하는 메타포들은 자기공개 또는 자기표현의 수단이 되는 놀이에 대한 의미를 담고 있다. 자기표현에 해당하는 메타포 중에서 유리, 거울, 미리보기, 등불, 유리온실은 놀이를 통해 유아 자신을 공개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그림, 표현, 가무, 그림일기, 폭죽, 신호탄, 감정, 악기, 내적표현과 같은 메타포는 놀이가 갖는 자기표현의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와 더불어 자기표현으로서의 놀이는 치료, 치유, 정서안정의 메타포가 담고 있는 의미처럼 놀이를 통한 정서적 치유와 치료의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장애유아 놀이의 기능은 외적으로 사회적 소통을 위한 통로의 기능과 더불어 내적으로 자기표현을 위한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예시>
  • - 등불: 깜깜한 자신의 내면을 비춰주기 때문이다.
  • - 가무: 놀이를 통해 자신의 생각이나 상상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마치 즐거운 춤, 노래처럼 자신을 표현한다.
  • - 그림일기: 자신의 하루 중 특정한 상황을 놀이 중 표현하기도 하고 간단한 단어나 사람을 가리키며 표현하는 것이 그림일기를 쓰는 것 같다.
  • - 폭죽: 폭죽 안에 있는 여러 가지를 터뜨려야 볼 수 있고 폭죽을 터뜨렸을 때 기분이 좋아지는 것처럼 장애유아들이 놀이할 때 에너지가 발산되고 여러 방법으로 자신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 - 치료: 장애유아의 놀이 속에서 발달을 돕고 성장하면서 치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 정서안정: 놀이 하면서 기분전환을 할 수 있고 차분함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Ⅳ. 논의 및 제언

본 연구는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메타포를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와 제언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메타포 유형은 총 192개, 157종으로 표현되었으며, 놀이의 특성과 기능의 측면에서 총 10개의 주제로 분류되었다. 놀이의 특성은 일상, 즐거움, 순수, 다양성, 어려움, 개별 지원의 6가지 주제로 구분되었으며, 놀이의 기능은 성장, 배움, 소통, 자기표현으로 4가지 주제로 나타났다. 놀이의 특성에서 많은 빈도수를 나타낸 주제는 개별지원(20명, 10.4%)과 어려움(17명, 88.8%)과 관련된 메타포 유형에 해당하였다. 또한 놀이의 기능에서 많은 빈도수를 나타낸 주제는 성장(42명, 21.9%)과 자기표현(26명, 13.5%)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교사를 대상으로 영아놀이에 대한 메타포를 분석한 연구(Kim and Seo, 2017)에서 영아의 놀이를 발달, 생활, 경험과 학습, 다양성 등으로 범주화하였으며, 분류하고, 발달을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낸 주제로 인식한 결과와 일치한다. Kim and Jeong(2020)의 연구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유아의 놀이에 관한 메타포를 놀이의 본질, 특성, 기능의 측면에서 구분하고, 즐거움, 다양함, 성장으로서의 놀이를 범주에 포함하였다. 개정누리과정의 놀이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Song and Kim(2021)의 연구에서도 놀이의 범주 안에 즐거움 및 행복, 삶, 배움, 성장과 관련된 메타포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아의 놀이는 장애의 유무와 상관없이 일상에서 나타나며, 즐거움을 표현하고, 다양성을 가진 형태로 인식되며,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개별지원과 어려움에 대한 메타포 유형의 빈도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장애유아 놀이의 이해 및 지원에 대한 요구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Kim(2019)의 연구에서 예비교사들이 장애아동에 대해 도움이 필요한 대상으로 인식한 메타포를 가장 높은 빈도수로 보고한 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Kim(2015)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연구에서 장애유아를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인식한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다루기 조심스러운 존재, 다루기 까다로운 존재로 표현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장애 정도를 고려한 교육적 지원에 따라 교사 인식이 다르게 변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아교사가 장애유아 및 일반유아의 놀이에 대한 의미와 차이를 이해하고 발달적 특성에 적합한 놀이지도를 할 수 있도록 맞춤형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에서의 효율적인 실행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장애유아의 놀이에 관한 메타포 표현에 나타난 의미 분석에서 장애유아 놀이의 특성에 따른 주제 중 일상으로서의 놀이와 관련된 메타포들은 삶 속에서 필수적으로 행해지는 활동으로서 나타나는 놀이의 의미를 공유하고 있었다. 이는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Lee(2021)의 연구에서 삶으로서의 놀이에 대한 메타포로 밥, 물, 일상을 포함한 연구결과와 일맥상통한다. 또한 Kim and Back(2018)의 연구에서 영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놀이에 대해 유아의 삶으로서의 놀이에 대한 범주로서 밥, 생활, 에너지를 대표 메타포로 분류한 결과와도 일치한다.

이와 더불어 장애유아 놀이의 특성에 따른 유형 가운데 다양성에 대한 메타포들은 풍선, 무지개, 새로움, 파도 등의 표현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장애유아의 놀이가 가진 예측불가능과 자유로움을 포함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영아의 놀이에 관한 메타포 분석 연구(Kim and Seo, 2017)에서 영아놀이의 다양성에 대한 메타포로 무지개, 공, 롤러코스터 등으로 표현한 것과 유사한 맥락에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는 장애유아의 놀이가 획일적이지 않은 자유로운 활동으로 표현되어야 하며, 놀이의 방법 또한 제한되지 않고 무한히 나타날 수 있도록 촉진하고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장애유아 놀이의 기능에 따른 메타포 유형에 대한 의미 분석에 있어서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인 주제는 성장으로서의 놀이로서 새싹, 이정표, 자극, 뿌리, 햇살, 희망, 나무, 영양제 등의 메타포로 표현되었다. 이는 유아교사들이 장애유아의 놀이를 발달가능성을 보여주며, 발달의 밑바탕이 되며, 발달촉진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Kim(2015)은 예비유아교사 대상 메타포 분석 연구에서 장애유아를 발달가능성을 지닌 존재로 아기, 새싹, 나무와 같은 메타포로 표현하였다. 또한 예비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Kim, 2017)에서 유아특수교사의 역할을 자극제공자, 양육자, 잠재력 개발자로서 분류하고, 자극제공자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메타포는 햇빛으로 표현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와 일맥상통하는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유아의 놀이는 발달가능성 및 잠재성을 보여주며, 발달 및 성장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됨을 알 수 있다. 유아교사들의 이러한 긍정적인 인식은 통합교육에서 장애유아의 발달적 특성 이해 및 놀이 지원에 있어 좋은 밑거름이 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장애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효율적인 교사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장애유아 놀이의 기능에 따른 메타포 분석에서 성장으로서의 놀이 외에 유아교사들이 주요하게 인식한 기능은 소통 및 자기표현과 관련된 영역으로 나타났다. 소통은 친구, 창문, 소통수단, 관계, 세상, 다리, 디딤돌처럼 외부와의 사회적 소통 및 적응에 대한 메타포들이 주를 이루었으며, 자기표현에 대한 메타포 유형은 유리, 등불, 그림, 폭죽, 치료와 같이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드러내고 표현하며, 이를 통해 치유와 정서적 안정을 유지하게 되는 기능에 대한 표현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놀이에 대한 메타포 분석(Lee, Lee and Kim, 2021)에서 기능과 수단의 놀이 범주 안에 소통과 치유의 하위범주를 포함하였으며, 친구, 창문, 소통경험, 놀이터, 치유, 치료와 같은 메타포로 표현한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Lee(2021)의 연구에서 놀이의 기능에 자기표현과 심리적 치유로서의 놀이를 하위 주제로 분류하여 정서적 측면에 대한 메타포들을 유형화시킨 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은 장애유아의 놀이가 갖는 기능으로 성장 및 배움에 도움을 주는 역할과 더불어 외부와 연결하는 사회적 통로 및 적응하는 방법이 됨과 동시에 유아 자신을 표현하고 드러내는 수단의 역할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놀이의 사회·정서적 측면에서의 기능은 통합환경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가 함께 어울려 놀이하는 가운데 활성화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통합교육 안에서의 놀이지원에 대한 실천적인 지원이 유아교사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기는 하지만, 장애유아를 담당하는 유아특수교사와 일반유아를 담당하는 유아교사의 협력적 지원은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며, 이에 대한 방안 또한 마련되어 있지 않다(Cho and Lee, 2021). 통합반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를 함께 가르치는 유아교사의 경우, 직무교육에서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사교육보다는 관련 지식 및 현장 경험이 풍부한 유아특수교사 또는 전문가와의 컨설팅이나 코칭을 통한 훈련이 실제적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통합교육 현장에서 장애유아의 발달적 특성이나 능력에 적합한 놀이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부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일반화와 확장성 측면에서 대상자를 전국으로 확대하고, 어린이집 및 유치원 교사 수의 비율을 균등하게 맞추어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유아교사 뿐만 아니라 주양육자가 인식하는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메타포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통합교육에서의 부모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메타포를 통해 알아보았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교사배경 변인에 따른 메타포 표현의 차이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장애유아 담당 경력 및 관련 연수 경험, 유아특수교사의 지원유무 등에 따른 메타포 분석을 통해 장애유아 관련 교사교육이나 통합교육 경험이 장애유아 놀이의 인식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를 위한 실제적 지원 및 요구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장애유아의 놀이와 관련된 가장 두드러진 인식을 살펴보는 데 도움이 되었으나, 장애유아의 놀이와 관련된 다양한 생각들을 알아보는 데는 한계를 가진다. 후속연구에서는 심층 면접이나 조사연구를 혼합함으로써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생각과 어려움을 깊이 있게 파악하고, 장애유아의 놀이 지원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 Lee KH and Son YJ(2014). Early childhood educators’ awareness of parents: A metaphor analysi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5(3), 5~25. [https://doi.org/10.18023/kjece.2015.35.3.001]
  • Bang HS(2020).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2019 Revised Nuri course and needs for teacher training. The Society for Constructivist Early Childhood Education 7(1), 67~98.
  • Bas G(2017). Perceptions of teachers abou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ces(ICT): A study of metaphor analysis. Contemporary Educational Teachnology 8(4), 319~337. [https://doi.org/10.30935/cedtech/6203]
  • Bredekamp S and Copple C(1997).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Rev. ed.). Washington, DC: NAEYC.
  • Cho IY and Lee YW(2021). Exploring building process and mearning of the cooperativ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childcare teachers in inclusitve classroom.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6(5), 291~319. [https://doi.org/10.20437/KOAECE26-5-12]
  • Cho YH, Koh HJ, Kim DI, and An YJ(2021). Metaphor analysis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on ‘Educational Blind Spot’. The Korean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18(2), 175~195. [https://doi.org/10.47635/KJLD.2021.18.2.175]
  • Go JY(2020). Analysis of parents’ play beliefs using metaphor.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6), 193~211. [https://doi.org/10.22251/jlcci.2020.20.6.193]
  • Han YJ, Go JY, and Kim KC(2019). Analysis of the metaph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revised nuri curriculu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20), 947~969.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20.947]
  • Hong KP and Ahn YS(2016).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bout educational technology through metaphor.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8(1), 91~105. [https://doi.org/10.13000/JFMSE.2016.28.1.91]
  • Jang JH(2016). Perception of kindergarten directors regarding the prerequisite for inclusive education and its improvement plan.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8(6), 1683~1694. [https://doi.org/10.13000/JFMSE.2016.28.6.1683]
  • Jeong YJ and Choi JY(2021). A study on play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Journ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 16(1) 195~205.
  • Jung HY and Kim MJ(2021).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observing young children through metaphor analysi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6), 431~444.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6.431]
  • Kang JE and Kim JJ(2021).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hanges and difficulties in regarding implementation of the 2019 national nuri-curriclum.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20(1), 101~131. [https://doi.org/10.21183/kjcm.2021.03.20.1.101]
  • Kang SJ and Son YJ(201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learning’: Focusing on metaphor analysi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8(5), 211~231.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5.009]
  • Kang YS, Lee MA and Park JY(2014). The effect of awareness towards inclusive education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intention to implement instructional adapt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6(5), 991~1002. [https://doi.org/10.13000/JFMSE.2014.26.5.991]
  • Kim HJ and Seo HA(2017). Metaphorical analysis of infant teachers’ perceptions on infant play activities.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18(4), 229~253. [https://doi.org/10.22154/JCLE.18.4.10]
  • Kim JH and Hwang HS(201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aphorical images of creativity education. Journal of Cognitive Enhancement and Intervention 8(3), 35~50.
  • Kim JY(2019). A study on the pre service teachers’ recogni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y for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Focusing on metaphor analysi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8(3), 189~207.
  • Kim KM(2015). Prospective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early special education: A study of metaphors.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50(3), 121~141. [https://doi.org/10.15861/kjse.2015.50.3.121]
  • Kim KM(2017). Examin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a teachers’ role through metaphor analysis. The Journal of Welfare and Counseling Education 6(2), 323~351. [https://doi.org/10.20497/jwce.2017.6.2.323]
  • Kim MH and Jeong HJ(2020). Metaphor analysi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5(3), 69~93. [https://doi.org/10.20437/KOAECE25-3-04]
  • Kim YJ and Back JU(2018). Recognition of play in the play metaphor of infant and toddler’s teacher.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1), 211~219.
  • Lakoff G and Johnson M(1980). The metaphorical structure of the human concpetual system. Cognitive Science 4, 195~208. [https://doi.org/10.1207/s15516709cog0402_4]
  • Lee EH and Kim JS(2021). Meanings and difficulties of high career childcare teachers in applying the revised nuri cours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13), 365~378.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13.365]
  • Lee JH, Lee JW, and Kim SY(2021). The metaphor analysis of maternal recognition on infant play. The Journal of Play Therapy 25(2), 1~15. [https://doi.org/10.32821/JPT.25.2.1]
  • Lee SB(2021). Anaylsis on metaphor for play recogniz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9), 879~897.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9.879]
  • Lee SH and Lee MY(2021). 2019 revised Nuri course on-site application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3), 467~496.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3.467]
  • Ministry of Education an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9). 2019 National Nuri-curriclum Guidelines.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 Ministry of Education(2020). Annual Report on Special Education in 2020.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20). 2019 Childcare Statistics. Sejong: MHW.
  • Moser KS(2000). Metaphor analysis in psychology—Method, theory, and fields of application. In Forum Qualitative Sozialforschung/ Forum: Qualitative Social Research [On-line Journal], 1(2).
  • NAEYC(1991). Guidelines for appropriate curriculum content and assessment in programs serving children age 3 through 8. Young Children, 30, 21~67.
  • Nespor J(1987). The role of beliefs in the practice of teaching.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9(4), 317~328. [https://doi.org/10.1080/0022027870190403]
  • Park JM and Lee YS(2020).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play implementation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2(4), 26~45. [https://doi.org/10.15409/riece.2020.22.4.2]
  • Saban A(2010). Prospective teachers’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s of learner.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6(2), 290~305. [https://doi.org/10.1016/j.tate.2009.03.017]
  • Saban A, Kocbeker BN and Saban A(2007). Prospective teachers’ concep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revealed through metaphor analysis. Learning and Instruction, 17(2), 123~139.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07.01.003]
  • Schmit R(2005). Systematic Metaphor Analysis as a Method of Qualitative Reserach. The Qualitative Report, 10(2), 358~394.
  • Seo BS(2016). Metaphors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concerning young children’s rights and teachers’ right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6(3), 79~106.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3.004]
  • Song SJ and Kim HJ(2021). The meaning of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16), 339~354.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16.339]
  • Thomos L and Beauchamp C(2011). Understanding new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ies through metaphor.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7(4), 762~769. [https://doi.org/10.1016/j.tate.2010.12.007]
  • Yob IM(2003). Thinking constructively with metaphors. Studies in Philosophy and Education, 22, 127~138. [https://doi.org/10.1023/A:1022289113443]

<Table 1>

Participa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ype Content N %
Ages 20~29 52 27.1
30~39 56 29.2
Above 40 84 43.7
Years of Teaching Below 3 years 36 18.8
3~9 77 40.1
Above 9 years 79 41.1
Institution Types Public Types’ Childcare Center 111 57.8
Private Types’ Childcare Center 18 09.4
Public Types’ Kindergarten 8 04.2
Private Types’ Kindergarten 55 28.6
Teacher Education o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ver 4 times 28 14.6
1-3 times 91 47.4
None 73 38.0
Years of Teaching o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bove 3 years 23 12.0
1~3 years 94 48.9
None 75 39.1

<Table 2>

Teachers’ Metaphors about the Pla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N=192)

Theme Metaphor N %
Characteristics
of
Play
Everyday Life amusement park, sympathy, greeting, book, life(2), meal, everyday life(3), tool, water, life-giving water 13 6.8
Pleasure nature, joy, happiness(2), pleasure(4), friend, candy, dance, delight 12 6.3
Pureness angel, tree, cotton candy, impromptu, train, instinct(2) 7 3.6
Diversity balloon, mobile, starlight, rainbow, wave(2), novelty, ball, space, ocean, self-directed, freedom, wing 13 6.8
Difficulty miracle, car-racing, learning, square shaped wheel, challenge, question, adventure(2), surpresent, manito present, twenty questions, sloth, turtle, pendulum, clip, mirror(2) 17 8.8
Individual Support individual, individualization, eye contact, present, americano. magnifying glass, window glass, glass(2), rock climbing, safety, wait(2), imagination, similarity, care, plant, darkness, love, beef leg bone 20 10.4
Subtotal 82 42.7
Function
of
Play
Growth sprout(2), onion, possibility, space, milestone, seed, clay, beginning, stimulus, ocean, pillar, balloon, survival future, root, adventure, growth(3), development(2), growing, baby step, sunshine, hope(3), hope and light, three(3), change, developmental process, impression, fruit, step, water(2), wing beat, nutritional supplement, light, life 42 21.9
Learning white paper, white drawing paper(2), white dough, teacher, experience, wisdom, life, wing, water, study, realization, learning(5) 17 08.9
Communication friend, tape, small world, relationship, door, window, starting point of a relationship, beginning of making relationship, world, nature, space, ways to live, adaptation, social adjustment, living(2), adapting, freedom, cooperation, fertilizer, experience(2), means of communication, bridge, steppingstone 25 13.0
Self-expression glass, mirror, preview, lamp, green house, picture, expression(2), songs and dances, picture diary, self expression, firecracker, flare, feeling(2), instrument, internal representation, language(2), starting point of communication, therapy(4), healing, emotional stability 26 13.5
Subtotal 110 57.3
Total 192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