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입학생의 진로선택에 미치는 요인 연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motivation of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fisheries and Maritime sector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fisheries and Maritime sectors tend to be self-directed in admission, and their parents have a great influence. Second, stud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fisheries and Maritime sectors are thinking positively about the future of the fisheries and Maritime industries along with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fisheries and shipping sectors. Third,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fisheries and Maritime sectors differed in the factors affecting career choice depending on their location. Fourth,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fisheries and Maritime sectors differed in the factors affecting career choice depending on the department. The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fisheries and Maritime sectors should seek discriminatory ways to secure new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and department.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positive expectations for the fisheries and shipping sectors of student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fisheries and Maritime sectors.
Keywords: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s, Specialized high school, Career choiceII. 서 론
특성화고등학교는 우리나라의 급격한 경제성장에 따른 전문인력 수요에 맞는 중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1980년대 후반부터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 소득증가와 서비스업의 비중의 증가함에 따라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인식도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 대학을 목적으로 고등학교 진학을 하는 학생들이 증가하여 대한민국은 심각한 학력인플레 현상을 겪고 있다(Lee, 2023). 정부는 고졸 취업자를 증가시키고 특성화고등학교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시행중에 있다. 2011년 ‘진로와 직업’ 교과목을 중학교에 신설하고 진로진학상담교사를 중·고등학교에 도입하였으며, 2016년부터 자유학기제를 중학교에 도입하여 효과적인 진로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정부는 ‘중등 직업교육 학생 비중 확대 계획’을 실시하여 직업계고등학교 학생의 양적 확대를 목표로 하였다(The Ministry of Education, 2016). 이후‘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 사업’을 통해 직업계고등학교의 질적 향상을 추진하고 있다(The Ministry of Education, 2018).
하지만 현재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는 만성적인 신입생 확보에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현재 정부의 특성화고등학교 정책들은 4차산업혁명과 같은 미래산업 및 지식산업으로 집중되어 있어, 전통산업이자 국가기간산업인 수산·해운계열의 경우 상대적 박탈감을 겪고 있다(Lee et al, 2023). 따라서 미래 수산·해운업의 인력부족을 예방하고 전문 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에 입학을 유도할 수 있는 요인들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러한 요인들을 바탕으로 미래 입학자원인 중학생들에게 전략적으로 소구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23년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입학에 대한 진로선택의 중요 요인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들이 신입생 모집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4차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보다 많은 미래 인재로 성장시켜 한국 수산·해운분야 산업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수산·해운계고등학교
직업계고는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 및 종합고등학교를 포괄하는 단어이다. 하지만 실업과정과 인문과정을 함께 설치한 고등학교인 종합고등학교를 제외하고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를 지칭한다.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는 졸업 후 바로 취업을 할 수 있는 미래 인재를 양성한다는 목표는 동일하지만 다소 차이가 있다. 특성화고등학교는 특정분야의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현장실습 등 체험 위주의 교육을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고등학교로 교육을 통해 우수한 기술·기능인재를 키우고, 좋은 일자리로 취업을 지원하는 학교이다(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91조). 마이스터고등학교는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로 유망분야의 기술인재 조기육성을 목적으로 산업수요와 직접 연계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특수목적고등학교이다(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90조).
직업계고는 그 전공분야에 따라 수산·해운계열, 농생명산업계열, 공업계열, 상업·정보계열, 가사·실업계열의 5가지 계열로 구분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학과개편과 학과재구조화로 인해 한 학교 내에 2개 이상 계열의 학과를 포함하고 있는 학교도 증가하고 있다. 이 중 수산·해운계고등학교는 수산 및 해운업에 관한 교육을 하는 고등학교로 2015년 개정 교육과정 기준 식품가공(수산식품과), 수산해양(수산양식과, 해양레저과, 해양생산과, 동력기계과, 공조냉동과), 선박운항(기관과, 항해과)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의 수산·해운계고는 11개 학교가 있으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 <Table 1>과 같다.
2. 진로선택
진로(career)는 단순히 보수를 통해 일을 하는 직업보다 상위의 개념으로 개인이 생애 전체의 과정에서 일, 여가, 심리적 만족과 관련한 일체의 활동을 포함하고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Kim et al., 1997). 또한, 한 개인의 직업뿐만 아니라 일과 관련된 개인의 태도, 행동, 동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평생 동안 일과 관련하여 경험하고 거쳐가는 일체의 체험을 의미한다(Choi, 2012).
과거에는 직업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아 진로란 곧 직업을 선택하는 의미였으나, 현재 다양한 직업의 등장으로 인해 진로선택은 진학선택과 직업선택을 포함한다(Jung and Lee, 2005). 특히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우 진로결정과정은 취업이나 진학을 선택하는 과정으로 여러 변인들의 영향을 통해 결정되며, 중학교 시절에 형성된 직업가치관의 영향이 중요하다(Lee, 2007; Kim, 2011).
특성화고등학교는 졸업 후 바로 취업을 할 수 있는 미래 인재를 기른다는 목표로 입학에 있어, 자신의 취업과 관련된 학과를 선택해야 하기에 진로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특성화고등학교 입학에 따른 진로선택 요인을 연구한 선행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다. 권효성(1990)은 중학생들의 고등학교 계열 결정에 대해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직업(62.8%)과 안정성이 있는 직업(21.9%)을 높게 고려한 것으로 연구하였다. Oh(2012)는 중학생의 고등학교 계열선택에 있어 특성화고등학교 진학희망자들은 타 고교계열 진학희망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개인 특성 및 인식수준을 보인 것으로 연구되었다. Lee and Kim(2015)은 중학생이 특성화고등학교를 진학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를 통해 부모의 기대, 진로활동경험, 학업성적이 특성화고등학교 진학결정의 주요요인으로 연구되었다. Jeon(2020)은 IT특성화고등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진로선택에 미치는 요인 중 미래에 대한 기대요인은 교육과정과 전공만족도에 있어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Lee and Kim(2022)은 군(軍)특성화고 학생의 진로 선택 요인 분석을 통해 진로 선택의 영향은 교사, 부모를 통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택동기는 직업군인의 직업적 안정성이 73.7%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으로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입학자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한 상황이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방법
본 연구를 위해 각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 각각 1개교를 선정하였다. 조사 대상은 입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를 위해 1학년 신입생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은 2023년 4월 10일 실시하였으며, 총 160명의 학생이 참여하였고 이중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141개의 설문을 바탕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Jeon(2020)이 사용한 설문을 바탕으로 수산·해운분야 교육에 종사 중인 교수 2분의 자문을 통계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인배경변인 5개 문항, 진로 선택 요인 중 교육활동 9개 문항, 진로 선택 요인 중 눈 홍보활동 2개 문항, 진로 선택 요인 중 직접 참여활동 2개 문항, 진로 선택 요인 중 미래에 대한 기대 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아래 <Table 2>와 같다.
Ⅳ. 연구 결과
1. 기술통계분석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입학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진로선택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기초적인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술통계분석 결과는 아래 <Ttable 3>와 같다. 전체 영역에서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진로선택에 있어 중요하게 생각한 상위 5개 요인은 ‘수산·해운계 특성화고가 취업에 유리하다고 생각한다.’, ‘장래 희망하는 직업과 관련이 있어서 수산·해운계 특성화고를 선택했다.’, ‘수산·해운에 대한 미래 전망이 좋아서 수산·해운계 특성화고를 선택했다.’, ‘진로 체험의 날 활동(직업체험)은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었다.’, ‘진로탐색활동 중 진로진학상담이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었다.’로 나타났다. 특히 상위 3개 요인이 미래에 대한 기대 요인으로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 학생들은 수산·해운에 대한 긍정적 미래를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소재지에 따른 진로선택 요인 차이 분석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 1학년 학생의 소재지에 따라 진로선택에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소재지에 따른 독립표본 T검증의 결과는 아래 <table 4>와 같다. “자유학기제의 ‘주제선택활동’이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었다”, “자유학기제의 ‘동아리활동’이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었다”, “진로탐색활동 중 ‘진로진학상담’이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었다”, “진로탐색활동 중 ‘진로적성검사’가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었다”, “진로 전문가초청 특강은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었다”, “고등학교 카카오톡 입학상담이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었다”, “중학교에서 진행하는 진로 설명회가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었다”, “수산·해운계 특성화고가 취업에 유리하다고 생각한다”의 요인에서 비수도권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가 수도권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3. 학과에 따른 진로선택 요인 차이 분석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학과에 따라 진로선택에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과에 따른 일원배치 분산분석의 결과는 아래 <Table 5>와 같다.
‘자유학기제의 예술체육활동이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었다.’라는 요인이 항해과와 기관과에서 에너지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진로탐색활동 중 진로적성검사가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었다.’라는 요인이 식품과가 에너지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진로와 직업 과목이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었다.’라는 요인이 식품과가 항해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산·해운계 특성화고가 취업에 유리하다고 생각한다.’라는 요인이 항해과가 식품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입학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함에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은 입학에 있어 자기 주도적 경향이 크며, 부모님이 영향이 크게 작용한다. 이는 상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Jeon(2020)의 연구에 대비하여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는 부모님의 영향이 크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이는 Hwang et al.(2022)의 연구에서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많은 학생들이 부모의 가업을 고려한다는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둘째,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은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와 함께 수산·해운계 산업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수산·해운계열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Lee et al.(2022)의 연구에서 현재 수산·해운계열 고등학교의 현실은 부정적인 부분도 있으나 미래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부분을 통해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은 자신들의 학교와 학과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은 소재지에 따라 진로선택에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비수도권 지역의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가 수도권 지역의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에 비해 자유학기제나 진로탐색활동을 비롯한 요인들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비수도권 지역이 고등학교 진로선택에 있어 정보획득이 학교를 통한 공식적인 경로에 의존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넷째,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은 학과에 따라 진로선택에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이는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는 수산·해운산업이라는 영역 내에서도 각 학과마다 독립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한 정책적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는 학교별 및 학과별에 따라 차별적인 신입생 확보 방안들을 모색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2개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는데 각 학교에 따른 진학요인에 있어 많은 차이를 보였다. 특히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는 타 계열에 비해 학교 수와 학과 수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각 학교와 학과의 진학요인을 보다 세밀하게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차별적인 신입생 유치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산·해운계열에 대한 긍정적 기대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입학 동기 중 가장 평균점이 큰 요인들은 미래에 대한 기대와 관련한 부분이었다. 현재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는 여러 가지 어려움에 놓여있지만, 앞으로 우리나라 수산·해운계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도 수산·해운계열 산업계-교사-학생-학부모의 일치단결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통해 수산·해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미래에 대해 희망적인 비전들이 실행 가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2023년 수산해양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을 바탕으로 작성함.
이 논문은 부경대학교 자율창의 학술연구비(2023년)에 의하여 연구 되었음.
References
- Choi HA(2012). The Factors of High school student' career choice: Comparing general high schools to specialized high school. Jeonju University, Jeollanam-do.
- HIFIVE(2023). Specialized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Portal. https://www.hifive.go.kr
- Hwang MY, Park JW, Lee GB, Moon HS, Kim JW, and Hwang YU(2022).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Current Status Recognition of Fisheries and Shipping High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41(5), 51~68. [https://doi.org/10.37210/JVER.2022.41.5.51]
- Jeon JE(2020).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Decision to Enroll in IT Specialized High School and Level of Satisfaction. Konkuk University, Seoul
- Jung YK and Lee SE(2005). Career maturity and related variables of Korean youth: Focusing on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characteristics. Korean Educational Employment Panel Conference.
- Kim BS, Kim HJ and Park SM(199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Counseling Model.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 Kwon HS(1990).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High School Division of Middle School. Hongik University, Seoul.
- Kim KY(2011). A longitudinal study into the effects of different high school on students' occupational aspiration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9(4), 121~145.
- Lee EA(2007). Adolescence`s Course View Determinants and Changes through the Grade. Journal of social Research 8(1), 121~162.
- Lee GB(2023).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Major Flow,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in Specialized High School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 Lee GB, Park JW and Hwang MY(2023).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Percep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by Middle School Teachers in Busan. Research on Vocational Education 42(1), 133~147. [https://doi.org/10.37210/JVER.2023.42.1.133]
- Lee HI and Kim HC(2015). Exploring the Factors Affecting Career Decision and of Stud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Choice of Vocational High School.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1(6), 169~190. [https://doi.org/10.24159/joec.2015.21.6.169]
- Lee SJ and Kim YJ(2022). A Study on the Needs for Career Decision and Curriculum Improvement of Military-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r Convergent Recearch Interchange 8(1), 189~198. [https://doi.org/10.47116/apjcri.2022.01.16]
- National Statutory Information Center(2001.1.29.). Article 90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 National Statutory Information Center(2001.1.29.). Article 91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 Oh SY and Lim JM(2012). The Study on Career Recogn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Comparison by Their Expected High School Track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3(4), 275~296.
- The Ministry of Education(2016). A plan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students.
- The Ministry of Education(2018). Vocational High School Restructuring Support Project.